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시대 성문의 발굴과 복원

조선시대 성문의 발굴과 복원

조원창 (지은이)
진인진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7,500원 -5% 0원
1,500원
4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43,97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시대 성문의 발굴과 복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시대 성문의 발굴과 복원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63475974
· 쪽수 : 349쪽
· 출판일 : 2024-06-30

책 소개

성문의 구조와 형식의 개념과 사례를 정리한 개론서. 건축고고학 영역에서 연구와 발굴 업적을 쌓아온 조원창 전 한얼문화재연구원장이 비전문화유산연구원 학술총서 1권으로 저술했다.

목차

서문

Ⅰ 머리말

Ⅱ 성문의 주요 용어

1. 문구부(門口部)
1) 평면 형태
(1) 일자형(一字形)
(2) 사선형(斜線形)
2) 종단면 형태
(1) 평지형
(2) 경사형
(3) 계단형
3) 바닥 상태
(1) 흙바닥
(2) 박석(薄石)
2. 전구부(前口部)와 후구부(後口部)
1) 문구부 앞에 전구부가 조성된 경우
2) 문구부 뒤(성내 방향)에 후구부(後口部)가 조성된 경우
3) 문구부의 앞뒤로 전구부와 후구부가 있는 경우
3. 육축부(陸築部)
4. 문루(門樓)
5. 문틀
6. 문비(門扉)
7. 문지도리석
8. 원산석(遠山石)
9. 장군목, 장군석
10. 옹성
11. 체성 돌출부

Ⅲ 성문의 형식
1. 홍예식
2. 평거식
3. 개거식
1) A형식
(1) Aa형식의 개거식 성문
(2) Ab형식의 개거식 성문
(3) Ac형식의 개거식 성문
(4) Ad형식의 개거식 성문
(5) Ae형식의 개거식 성문
2) B형식
(1) Ba형식의 개거식 성문
(2) Bb형식의 개거식 성문
3) C형식
(1) Ca형식의 개거식 성문
(2) Cb형식의 개거식 성문
(3) Cc형식의 개거식 성문
(4) Cd형식의 개거식 성문
(5) Ce형식의 개거식 성문
(6) Cf형식의 개거식 성문
(7) 기타
3-1. 초루식
4. 현문식
5. 복합식

Ⅳ 문지도리석의 위치
1. 전구부+문구부, 혹은 문구부만 있는 경우
1) 문구부 전면부에 위치한 아래(下)문지도리석
2) 문구부 중간부에 위치한 아래(下)문지도리석
3) 문구부 후면부에 위치한 아래(下)문지도리석
4) 성 내부에 위치한 아래(下)문지도리석
2. 전구부+문구부+후구부, 혹은 문구부+후구부가 있는 경우
1) 문구부 후면부에 위치한 아래(下)문지도리석
2) 문구부 전면부에 위치한 아래(下)문지도리석
(1) 후구부 전면 A형식
(2) 후구부 전면 B형식
3. 기타

Ⅴ 맺음말

저자소개

조원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사범대학 역사교육과 졸업 공주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졸업(문학석사) 상명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졸업(문학박사) 현 재단법인 국가문화유산연구원 이사장 전 재단법인 한얼문화유산연구원 원장,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학부 겸임교수 주요 논저 『백제 건축기술의 대일전파』, 『한국 고대 와당과 제와술의 교류』, 『백제의 토목 건축』, 『기와건물지의 조사와 해석』, 『백제사지 연구』, 『역사고고학자와 함께 찾아가는 스토리 가 있는 사찰, 문화재 1‧2』, 『백제 사원유적 탐색』, 『수수께끼의 대통사를 찾아서』, 『고려사지와 건축고고』, 『건축유적의 발굴과 해석』, 『황룡사 터잡고 꽃을 피우다』, 『성왕, 공주에 대통사를 세우다』, 『통일신라 건축유적의 치석과 결구』, 『조선시대 성문의 발굴과 복원』, 『무덤이 들려주는 역사와 문화 이야기』 「황룡사지 출토 대형 치미의 편년과 사용처 검토」, 「백제 사비기 목탑 축조기술의 대외전 파」, 「백제 정림사지 석탑 하부 축기부 판축토의 성격」, 「백제 판단첨형 연화문의 형식과 편년」, 「고고‧문헌자료로 본 황룡사 필공의 의미와 창건가람의 존재」, 「연화문으로 본 능산리 동하총의 편년」, 「기와와 유적 사례로 본 백제 웅진기 대통사 불전 지붕과 처마의 형식 검토 등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