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63556789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3-12-31
목차
제1장 들어가면서
제2장 팀 및 조직의 혁신을 위한 기초로서의 집단 창의 프로세스
Ⅰ. 서 론
Ⅱ. 집단 창의성에 대한 포괄적 관점
Ⅲ. 집단 아이디어 창출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방법
Ⅳ. '실제 생활'의 집단 창의성
Ⅴ. 새로운 방향
Ⅵ. 사회적 정책의 시사점
Ⅶ. 결 론
제3장 창의적 역량 개발: 교육 및 조직의 개입
Ⅰ. 창의적 역량 개발: 교육 및 조직의 개입
Ⅱ. 창의성
Ⅲ. 창의적 사고 훈련
Ⅳ. 훈련의 실전 적용
Ⅴ. 결 론
제4장 사회적 과정으로서의 창의성: 한국의 사례
Ⅰ. 들어가는 말
Ⅱ. 일터에서 창의성에 대한 연구 설계
Ⅲ. 일터에서 창의성에 대한 영향 요인 조사 결과
Ⅳ. 새로운 아이디어 요구 대응 수준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Ⅴ. 맺는 말
제5장 창업동아리와 집합적 창조성
Ⅰ. 서 론
Ⅱ. 창업동아리와 집합적 창조성 관련 이론적 논의
Ⅲ. 창업동아리가 창업계획에 미치는 영향의 실증분석
Ⅳ. 결론 및 정책제언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The Group Creative Process as a Basis for Team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Ⅰ. Introduction
Ⅱ. A Broad Perspective of Group Creativity
Ⅲ. How to Enhance the Group Ideation Process
Ⅳ. Group Creativity in the "Real World"
Ⅴ. New Directions
Ⅵ. Social Policy Implications
Ⅶ. Conclusions
Chapter 3. Developing Creative Capacity: Educational and Organizational Interventions
Ⅰ. Developing Creative Capacity: Educational and Organizational Interventions
Ⅱ. Creativity
Ⅲ. Training Creative Thinking
Ⅳ. Transfer of Training
Ⅴ. Conclusions
Chapter 4. Creativity as a Social Process: Korean Cases
Ⅰ. Preface
Ⅱ. Research Design on Creativity in Workplace
Ⅲ. Survey Results on Factors that Influence Creativity in the Workplace
Ⅳ.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for Response Levels regarding Demand for new Ideas
Ⅴ. Conclusions
Chapter 5. Entrepreneurship Societies and Collective Creativity
Ⅰ. Preface
Ⅱ. Theoretical Discussion of Entrepreneurship Society and Collective Creativity
Ⅲ. Empirical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Society's Effect on Entrepreneurship Plans
Ⅳ. Conclusions and Policy Recommendatio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