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건축사/건축일반
· ISBN : 9788963640495
· 쪽수 : 193쪽
· 출판일 : 2010-03-05
목차
제1장 서 론 1
제2장 재해이론 5
2.1 재해사고 발생이론 7
2.1.1 하인리히(H.W. Heinrich) 이론 7
2.1.2 버즈(Frank E. Bird's) 이론 8
2.1.3 애덤스(Edward Adams) 이론 9
2.1.4 위버(D.A. Weaver) 이론 10
2.1.5 자베타키스(Michael Zabetakis) 이론 11
2.1.6 기타 이론 11
제3장 국ㆍ내외 건설안전관리 13
3.1 우리나라의 건설안전관리 15
3.1.1 건설안전보건관리 15
3.2 외국의 건설안전관리 16
3.2.1 일본 16
3.2.2 미국 17
3.2.3 영국 17
3.2.4 독일 및 EU 19
제4장 중고령 근로자의 건설재해 23
4.1 우리나라 중고령 근로자의 건설재해 25
4.1.1 중고령 근로자의 고용현황 25
4.1.2 중고령 근로자의 재해 형태 26
4.1.3 중고령 근로자의 사망재해 형태 27
4.2 외국의 중고령 근로자의 건설재해 28
4.2.1 미국 28
4.2.2 일본 29
제5장 중고령 근로자의 심신기능의 변화와 특징 31
5.1 중고령 근로자의 심신기능의 변화 33
5.1.1 심혈관계 33
5.1.2 근력 33
5.1.3 민첩성 33
5.1.4 시?청각기능 34
5.1.5 인지기능 35
5.2 중고령 근로자의 심신기능의 특징 35
5.2.1 신체적 작업요인과 근골격계 상관관계 35
5.2.2 중고령 근로자 작업에 관련된 요인 36
5.2.3 중고령 근로자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기능 38
제6장 중고령 근로자의 안전관리 39
6.1 중고령 근로자의 일반적 특징 41
6.2 중고령 근로자의 건강관련 요인 42
6.3 중고령 근로자의 재해발생 현황 43
6.3.1 재해사고의 유형 43
6.3.2 중대재해의 원인 44
6.4 중고령 근로자의 심신 변화와 안전관리 45
6.4.1 신체적 건강상태와 건설현장 업무와의 관련성 45
6.4.2 건설현장 업무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 및 감각기능 45
6.4.3 신체와 감각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45
제7장 관리자의 안전관리 47
7.1 중고령 근로자의 고용실태 및 채용조건 49
7.1.1 중고령 근로자 고용실태 49
7.1.2 채용조건 및 채용방법 49
7.1.3 고용에 관한 사항 50
7.1.4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 50
7.2 중고령 근로자의 재해현황 51
7.2.1 안전재해 다발 직종 및 원인 51
7.2.2 안전재해와 연령, 질병과의 관계 51
7.2.3 사망재해 발생현황과 특성 51
7.3 중고령 근로자가 인지하는 재해원인 및 예방대책 51
7.3.1 중고령 근로자의 재해발생 이유 52
7.3.2 중고령 근로자의 안전의식 및 재해예방방법 52
7.3.3 중고령 근로자의 재해예방을 위한 대책 52
제8장 중고령 건설근로자의 재해예방 55
8.1 중고령 근로자 재해예방의 기술적 방안 57
8.1.1 일반 근로자와 중고령 근로자의 비교 58
8.1.2 중고령 근로자의 추락재해 예방대책 59
8.1.3 중고령 근로자를 위한 안전난간시설 62
8.1.4 중고령 근로자를 위한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66
8.1.5 중고령 근로자를 위한 수직비계 69
8.2 중고령 근로자 재해예방의 관리적 방안 71
8.2.1 중고령 근로자 재해예방 시스템 72
8.3 중고령 근로자 재해예방의 교육적 방안 75
8.3.1 중고령 근로자 산업안전보건교육 76
8.3.2 중고령 근로자 재해예방 안전보건교육 76
8.3.3 중고령 근로자 안전점검 및 개인보호구 81
제9장 안전보건관리계획 85
제10장 작업환경 조성계획 103
부록1. 중고령 근로자를 위한 만성질환 관리 125
부록2. 통계자료 171
참고문헌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