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88964470305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4-11-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옮긴이의 글
1장╻그리스도, 초기 그리스도인들과 그리스도교
2장╻고대
I. 고대 교회 역사 개관
II. 고대 교회사의 주요 주제들
1. 유대 그리스도인들과 이방 그리스도인들
2. 사도들과 사도교부들
3. 박해와 순교자들
4. 변증가들과 교부들
5. 콘스탄티누스적 전환
6. 그리스도론과 삼위일체론
7. 금욕주의자들과 은수자들
8. 영지주의와 마니교
3장╻중세
I. 중세 교회 역사 개관
II. 중세 교회 역사의 주요 주제들
1. 선교
2. 수도원
3. 십자군원정
4. 교황권
5. 스콜라주의
6. 인문주의
7. 그리스도인들과 유대인들
8. 그리스도인들과 이슬람교도들
4장╻종교개혁
I. 종교개혁 교회 역사 개관
II. 종교개혁 역사의 주요 주제들
1. 루터의 생애와 신학
2. 공동체 개혁에서 제후들의 개혁으로
3. 츠빙글리의 생애와 신학
4. 재세례파들, 성령주의자들 그리고 반삼위일체론자들
5.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에서 아우스부르크 종교 평화로
6. 칼빈의 생애와 신학
7. 반종교개혁에서 가톨릭 개혁으로
8. 유럽의 루터주의와 칼빈주의
5장╻근대 초
I. 근대 초 교회 역사 개관
II. 근대 초 교회 역사의 주요 주제들
1. 정통주의
2. 바로크 스콜라주의
3. 30년 전쟁
4. 경건주의
5. 계몽주의
6. 영국교회
6장╻근대
I. 근대 교회 역사 개관
II. 19세기와 20세기 교회 역사의 주요 주제들
1. 디아코니아(Diakonie)와 자선(Caritas)
2. 근대 신학자들
3. 국가교회, 민중교회, 자유교회
4. 반대유대주의와 친유대주의
5. 교황들과 공의회들
6. 고백교회와 교회 투쟁
7. 1945년 이후 독일 교회
8. 선교와 대화
9. 교회연합운동
10. 아메리카 교회
7장╻현대
I. 현대 교회 역사 개괄
8장╻교회사의 쟁점들
1. 왜 교회 역사이고 또 어떻게 교회 역사인가?
2. 교회 역사인가 혹은 교회들의 역사인가?
3. 그리스도교 역사로서의 교회 역사
4. 교회 역사 기술의 역사
5. 교회 역사와 신학
6. 종교 안에서의 교회 역사
7. 공동체 안에서의 교회 역사
8. 교회 역사의 시대 구분
9. 교회 역사의 자료들과 보조 자료들
10. 유명한 교회 역사가들
11. 교회 역사의 연구 방법
12. 교회 역사의 미래 전망
13. 루터 기념식(1517~2017)
참고문헌
부록
독일의 교회사 시험문제 실제
독일의 교회사 시험문제 답안
그림 해설
용어사전
책속에서
변증가의 시대는 2세기와 3세기에서 4세기로 이어졌다. 그 이후에는 그리스도교는 이런 문헌이 필요하지 않았다. 그러나 5세기 게르만 민족을 통한 로마의 멸망으로 인해 신들과 그리스도교의 하나님에 관한 비판적인 질문들이 일었을 때, 변증가들이 등장했다. 근대에서도 계몽화된 이성주의가 모든 종교를 비롯한 그리스도교에 의문을 제기했을 때도 변증가들이 등장했다.
고대의 가장 의미 있는 변증가는 유스틴(Justin)이었다. 그는 팔레스타인의 나블루스(Nablus) 출신으로 수사학적이고 철학적인 교육을 즐기는 선생으로 활동했다. 그는 150년경 그리스도인이 된 후에도 선생으로 활동했고, 그것은 그리스도교를 위한 봉사가 되었다. 아마도 에베소와 마지막에는 로마에서 가르쳤을 것이다. 165년 그는 로마에서 고문을 당한 후 교수형으로 죽었다. 그는 많은 작품을 남겼지만, 그중 두 작품만 전해진다.
<2장_ II. 4. 변증가와 교부들> 중에서
초대 그리스도교는 모든 폭력을 거부했다. 그러나 콘스탄티누스의 전환기에 바뀌었다. 내외적인 적대자들을 향해 무력을 동원해 싸웠고 비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교에 가입하도록 다소나마 무력을 행사했다. 선교 활동은 십자군원정을 통해 이곳저곳에서 이루어졌고 또한 전쟁이 동반되었다. 말하자면 8세기 작센에서만 그랬던 것이 아니었다.
그리스도인들은 11세기에 처음으로 멀리 이동하면서 “하나님의 이름으로” 부득이하게 전쟁을 치렀다. 많은 전투의 참가자들은 옷 위에 십자가를 차고 다녔다. 때문에 십자군 참여자들과 십자군 기사단들에게 십자군원정이라는 명칭이 뒤따랐다. 십자군원정의 참여자들은 그들의 전쟁이 정의롭고 거룩한 것으로 생각했다. 그렇다고 전문 용어인 “성전”(heiliger Krieg)을 사용하지는 않았다. 그 용어는 19세기 되어 비로소 나왔고, 이슬람교도들 역시 그 용어를 그리스도인들로부터 받아들여 사용했다.
<3장_ II. 3. 십자군 원정> 중에서
교황 요한 파울로 2세(Johnnes Paul II, 6.2.5)는 그리스도교를 세계적으로 잘 알렸다고 인정된, 교회 내외적으로도 상당히 강력한 영향을 미친 안내자였다. 그는 최초로 근대의 여행 문화와 대중매체를 이용하여 자신의 이상과 관심사들을 널리 알렸다. 그 때문에 그에게 여행 교황과 대중매체 교황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1981년에는 그를 향한 암살 시도가 있었으나 살아남았으며, 그 배경들에 관해서는 오늘날까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요한 파울로는 자신의 조국 폴란드와 예전의 소위 동유럽 블록의 또 다른 나라들의 권위주의적이고 전체주의적인 정부의 몰락에 기인하고, 더욱 자세히는 이 몰락은 대체로 평화롭게 이루어졌다. 또한 그는 2004년 엄격한 감리교 신앙을 가진 미국 대통령 조지 부시(George Bush)의 접견 당시 레위기를 읽어주고 그가 벌인 이라크와의 전쟁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일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는 새천년으로의 전환에 가톨릭의 이름으로 범했던 범죄에 대해서 인류에게 용서를 빌었다.
<7장_ I. 현대 교회 역사 개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