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64472040
· 쪽수 : 459쪽
· 출판일 : 2013-05-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다석신학 서론: 참나(제소리)를 찾아서
1장 다석신학 서론
2장 다석신학의 특징
3장 다석신학 방법론
4장 다석 말씀론
제2부 다석 신론: 없이 계신 하나님(게소리)
5장 다석 신론
6장 다석 삼위일체론
7장 다석 인간론
제3부 다석 그리스도론: 한나신 아들 그이(가온소리)
8장 다석의 도-그리스도론
9장 유일한 스승, 한 나신 아들 예수
10장 다석 구원론
제4부 다석 몸신학: 빈탕한데 맞혀 하늘몸놀이
11장 몸과 숨의 영성: 여러 밤 그이의 하늘놀이
12장 다석 몸신학
13장 다석 숨신학(氣)
제5부 서구 신학의 위기와 도의 신학
14장 생명 · 생태계의 위기와 도의 신학
15장 도 그리스도론 서설
16장 도 삼위일체론 서설
제6부 다석 유영모를 통해 본 한국신학: 한국신학의 정체성과 세계 신학의 가능성
17장 한국신학사상사와 다석신학
18장 다석 유영모를 통해 본 한국신학: 한국신학의 정체성과 세계 신학의 가능성
부록
The Word Made Flesh: Ryo Young-mo's Christo-dao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방대한 동양 종교사상의 지평에서 동서양을 오가며 자유로이 펼쳐지는 다석의 종교사상을 한 권의 책에 집약해보겠다는 것은 지나친 욕심이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업을 감행하는 것은, 비유컨대 누군가는 세계 신학이라는 엑스포 속에 한국관을 만들고 그 독창성을 다석신학이란 브랜드로 개발해야 한다는 시대적 사명감을 절실하게 느꼈기 때문이다. 비록 그것이 원의를 다소 훼손한다 하더라도, 그 위험성 때문에 한국신학과 글로벌 신학의 발전을 위해 중대한 시대적 요청을 더 이상 외면하는 것은 한국 신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직무유기를 범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석의 생각을 현대신학의 입장에서 신학적 담론으로 재정립 한다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이었다. 비유컨대 그것은 다석 사상이라는 산맥에 드라이브하기 좋은 길을 내고 터널을 뚫는 것과 같다. 그런 공사를 하게 되면 어쩔 수 없이 산의 생태계를 부분적으로 파괴할 수밖에 없는 것같이, 이러한 작업은 다석 사상이 가진 본래의 창의성과 통전성을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략) … 다석의 자유분방한 동양적 사유를 서양에서 발전한 전통적 조직신학의 틀에 넣어 보려는 시도는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다석의 독창적 신학사상을 현대 조직신학의 범주와 잣대에서 체계화systematize하는 작업 자체가 범주 착오적 오류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석 사상을 현대신학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다석’이라는 원광석을 글로벌 신학이라는 큰 틀 안에서 사용할 수 있게 가공하는 손질을 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다석의 사상을 현대신학과 소통시켜 보고자하는 하나의 시도, 서설, 프로레고메나prolegomena, 또는 습작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비유컨대, 이러한 시도는 ‘글로벌 그리스도교 신학’이라는 도서관에 ‘다석신학’ 그리고 ‘한국신학’이라는 분야를 정착시키기 위한 자기 발견적heuristic 노력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유영모는 서구적 신학교육을 전혀 받은 적이 없고, 전문적인 신학저술을 한 적도 없다. 그가 쓴 단지 몇 점의 신학 수상록들과 제자들이 수집한 그의 강의록들, 그리고 그의 일기장 ??다석일지??가 있을 뿐이다. 그러나 서구적 신학교육의 부재가 오히려 그로 하여금 가장 독창적인 한국신학을 구성하게 하였다. 아직 그의 신학이 신학적 단상들을 수집한 단계에 머물고 있지만, 그것은 장래 한국 조직신학이 세계 신학으로 도약할 때 승부수를 던질 수 있는 최대의 보고이다. 마치 서구 신학이 19세기의 키에르케고르를 20세기에 발견하고 자유신학을 극복하였듯이, 한국 신학계가 1990년대에 들어서서야 유영모의 가치를 발견했지만 그의 신학은 앞으로 한국신학이 서구신학의 올무에서 벗어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