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64478028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5-05-21
책 소개
목차
개정판을 펴내며
초판 머리말
제1부 ╻ 기독교의 역사
제1장 _ 기독교의 일반적 배경
1. 지리적 배경
2. 정치적 배경
3. 사상적 배경
4. 종교적 배경
제2장 _ 예수의 생애와 교훈
1. 예수 이야기의 자료
2. 예수의 생애
3. 예수의 교훈
4. 그리스도에 대한 증언
제3장 _ 초대교회와 바울
1. 교회의 발생
2. 바울
제4장 _ 고대의 기독교
1. 고대교회의 조직과 예배
2. 박해와 호교론자
3. 로마제국의 기독교
제5장 _ 중세의 기독교
1. 중세 기독교의 형성
2. 중세 기독교의 절정
3. 중세 기독교의 붕괴
제6장 _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1. 르네상스
2. 종교개혁
제7장 _ 근대의 기독교
1. 반개혁운동(Counter Reformation)과 개신교의 재정리
2. 자연신론과 경건운동
3. 칸트와 현대 신학
제8장 _ 세계선교운동과 한국 교회
1. 세계선교운동
2. 한국 교회의 발전
제2부 ╻ 기독교의 문화
제1장 _ 불트만과 양식비평
제2장 _ 수리논리로 보는 신학
제3장 _ 어거스틴의 고백록
1. 머리말
2. 독백의 시기
3. 기독론 사관
4. 고백록의 구조
5. 맺음말
제4장 _ 현대 교회사학의 일면
1. 머리말
2. 하르낙에 대한 파우크의 이해
3. 하르낙의 교리사
4. 아울렌의 새로운 시도
5. 교회사 교육에 대하여
제5장 _ 부르크하르트 사학과 위기신학
1. 머리말
2. 이분법적 논리의 종결
3. 역사에 대한 새 해석
4. 위기의식의 형성
5. 부르크하르트의 영향
6. 맺음말
제6장 _ 100년을 맞이하는 한국 교회 ― 그 평가와 자세
1. 교회의 성서적 기준과 한국 교회
2. 우리의 과업: 하나님의 나라
3. 우리의 자세
제7장 _ 하나님을 이해하는 틀
1. 머리말
2. 기독교의 인지구조
3. 현대 사회의 문화와 종교
4. 맺음말
제3부 ╻ 기독교의 신앙
제1장 _ 신앙과 이성
제2장 _ 성탄의 기원과 현대적 의의
제3장 _ 바른 신앙과 곧은 길
제4장 _ 바울의 기도
제5장 _ 경건의 길
제6장 _ 칼빈의 신앙과 우리의 생활
1. 칼빈의 생애
2. 칼빈의 신앙
찾아보기
책속에서
적인 활동과 정치적인 면에서는 로마제국이 강대하였으나 그들 전체의 내적인 생활을 주도한 것은 그리스 문화와 철학 사상이었다. 그러므로 그리스 문화는 로마정치 이상으로 기독교의 배경에 있어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그리스도 문화가 왕성하던 때 알렉산더(Alexander the Great, 356~323 B.C.)의 영향을 받아 그리스 문화를 피정복 지역에 이식시키고, 전 세계를 그리스화 하는 데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더욱이 팔레스틴이 그리스 문화에 열중하던 셀류시드(Seleucid) 왕가에 종속되면서 유대인들 사이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중에도 유대 사람들을 그리스화 하는 데에 가장 이름난 왕은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Antiochus Epiphanes IV, 175~164 B.C.)였다.
<1부. 제1장 _ 기독교의 일반적 배경> 중에서
개신교가 여러 교파로 나뉘어 있었으나 더 이상 분열해 있을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1920년에는 스톡홀름(Stockholm)에서 대회를 열고, 교리를 떠나 전체 교회가 ‘사업과 생활’은 하나가 되어야 하겠다는 합의를 보았고, 1927년에는 ‘신앙과 사회질서’ 문제를 가지고 로잔(Lausanne)에서 효과적인 토의를 하였다. 이러한 국제적이고 연합적인(Ecumenical) 모임이 세계기독교대회를 육성하여, 1948년 암스테르담(Armsterdam)에서는 대다수의 개신교파들이 처음 한자리에 모이게 되었고, 1954년에는 미국의 에반스톤(Evanston)에서 제2차 대회를 열었다. 이 회의에서 개신교의 각 교파는 새로운 협동의 원칙을 강구하며, 모든 교회는 다시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가 되어야 하겠다는 결의를 굳게 하였다.
<1부. 제8장 _ 세계선교운동과 한국 교회> 중에서
이렇게 직접 사료와 간접 사료를 분산시켜 고찰하게 되자 역사의 서술법에도 따라서 큰 변경이 있었다. 특별 사료를 사용할 때는 개체적인 사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의 전기, 어떤 나라의 역사 등을 기술할 수 있었으나 간접 사료를 통해서는 개체적인 역사보다 보편성을 띤 문화사를 쓸 수밖에 없게 된다.전에는 특별 사료, 예를 들면 성경이나 교부들의 기록 등의 사료를 사용하여 기독교의 독특성을 주장하고 있었으나 이 특별 사료의 가치가 몰락되자 기독교의 특수성은 자료상의 문제로 다시는 강조할 수 없게 되었다. 그 대신에 간접 사료를 사용하여 문화사적인 역사 곧 문화적인 기독교밖에는 저술할 수 없게 되었다.
<2부. 제1장 _ 불트만과 양식비평>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