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단

이단

탁지일 (지은이)
두란노아카데미
1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단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64910443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1-06-20

책 소개

고 탁명환 교수의 아들 탁지일 교수의 역작. 이단의 역사와 최근 동향뿐 아니라 그 피해에서 회복까지, 이단의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구체적인 지침서다. 비성서적이고 비상식적인 이단도 문제지만, 교회 내의 극단적 열광주의도 경계해야 한다.

목차

I. 이단 문제를 바라보는 눈
피해자의 눈으로
성서의 눈으로
믿음으로 눈으로

II. 성서와 이단
유대교와 이단
예수 공동체와 이단
사도 시대의 이단

III. 기독교 역사와 이단
초대 교회와 이단
중세 교회와 이단
종교 개혁 교회와 이단

IV. 북미 기독교와 이단
교파주의와 이단
대각성 운동과 이단의 발흥
사례 연구: 예수그리스도후기성도교회(몰몬교)

V. 한국 기독교와 이단
일제 강점기하 한국 교회와 이단
한국 전쟁과 이단의 발흥
사례 연구: 통일교

VI. 우리 주변의 이단들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신천지 예수교 증거장막성전
구원파

VII. 최근 이단들의 특징
성서를 자의적으로 해석하는 이단들
리모델링하는 이단들
세계화하는 이단들

VIII. 디지털 시대와 이단
다음 세대와 이단
소셜 네트워크와 이단
디지털 시대의 이단 대처

IX. 21세기 한국 교회의 이단 대처
이단에 대처하는 지혜
이단 상담과 피해자 지원
글로벌 이단 대처 네트워크의 필요성

부록 . 이단 연구의 역사와 교훈
유럽과 북미의 신흥 종교 운동 연구
한국의 신흥 종교 운동 연구
한국 교회의 이단 연구

참고 문헌

저자소개

탁지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이단 연구의 선구자이자 월간 「현대종교」 설립자인 故 탁명환 소장의 장남으로, 이단 신도의 피습을 받아 소천한 선친의 뒤를 이어 이단 예방 및 대처를 위해 애쓰고 있다. 장로회신학대학(신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신학석사, 한국교회사), 미국 San Francisco Theological Seminary/GTU(Joint M.Div./M.A., 역사신학)에서 공부했으며,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St. Michael’s College에서 교회사 전공으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현재 부산장신대학교 교회사 교수로 재직하면서, 월간 「현대종교」 이사장 겸 편집장 및 부산성시화 이단상담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이단』, 『교회와 이단』, 『이단 OUT』(이상 두란노), 『이단이 알고 싶다』(넥서스CROSS), 『사료 한국의 신흥종교』(현대종교), 『가스라이팅 이단』(산), Family- Centered Belief and Practice in the Ch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Day Saints and the Unification Church(Peter Lang Publishing, Inc.), 『찬송으로 듣는 교회사 이야기』(대한기독교서회), 『부산의 첫 선교사들』(한국장로교출판사), 『다르게 다가서는 역사』(예영커뮤니케이션)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