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신생아 역학

한국 신생아 역학

(통계와 임상 자료)

배종우 (지은이)
신흥메드싸이언스
5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5,100원 -5% 0원
1,740원
53,360원 >
55,100원 -5% 0원
카드할인 10%
5,510원
49,5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신생아 역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신생아 역학 (통계와 임상 자료)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소아과
· ISBN : 9788964980262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2-09-10

책 소개

한국의 출생.미숙아.신생아.영아.주산기에 관한 각종 통계지표의 변화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하였고, 각각의 수치는 어떤가에 관한 질문에 관한 답을 정리했다. '한국의 신생아, 영아, 주산기의 역학', '미숙아, 신생아 관련 질환의 임상'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Part 1 한국의 신생아, 영아, 주산기의 역학
1장 신생아, 영아, 주산기 관련 역학 용어의 정의
1-1 신생아, 영아, 주산기 관련 역학 용어의 정의 4

2장 한국의 출생통계
2-1 출생통계(1981~2010) 14
2-2 15년간 산모 및 신생아 관련 통계 지표의 변화(1995~2010) 28
2-3 출생통계의 변화 추이(1970~2010) 37
2-4 출생아의 임신나이, 출생체중별 분포와 미숙아, 저체중출생아, 극소저체중출생아의 빈도(1993~2010) 47
2-5 과체중아(거대아)의 출생통계(1993~2000) 52
2-6 출산 산모나이 분포 변화와 고령산모에서 저체중출생아의 빈도(1995~2010) 62
2-7 다태아의 빈도 및 주산기 관련 사항(1991~2010) 69
2-8 삼태아의 출생통계(1998~2007) 77
2-9 보조생식술(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에 의한 출산과 다태아(1996~2007) 80
2-10 저체중출생아와 이에 관계된 인자의 변화양상(1995~2007) 88

3장 한국의 영아, 신생아, 주산기사망률
3-1 신생아, 영아사망률 변화 추이: 일본, 미국, OECD 국가와의 비교(1921~2010) 92
3-2 주산기사망률 및 OECD 국가와 비교(1959~2010) 104
3-3 영아사망률 중에서 출생체중, 임신나이별 구분에 따른 신생아사망률의 비율 관찰(2005~2010) 116

4장 한국의 신생아, 저체중출생아의 생존율
4-1 저체중출생아, 극소체중출생아, 초미숙아의 생존율(1960s~2009)과 미국, 일본과의 비교 126
4-2 전국 신생아중환자실의 생존율 분석(2009) 135
4-3 영아사망의 출생 자료 연계 분석(2005~2009) 138

5장 한국의 임신나이별 태아, 신생아 체중 백분위
5-1 임신나이별 태아, 신생아 체중 백분위(2000~2004) 146

6장 한국의 신생아, 영아, 주산기, 모성사망 원인의 변화
6-1 신생아, 영아사망 원인의 변화(1983~2009) 154
6-2 영아사망 원인 통계(2000~2010) 166
6-3 주산기(출생전후기)사망 원인 통계(2007~2010) 170
6-4 모성사망비, 모성사망 원인 통계(2002~2010) 172

7장 한국 전국 신생아중환자실(NICU) 현황
7-1 시도별 미숙아, 저체중출생아의 빈도 및 신생아중환자실(NICU) 현황(2009) 178
7-2 전국 신생아중환자실(NICU) 실태조사(2009) 184
7-3 한국에서 신생아중환자실(NICU)의 현황(1995, 1999, 2006) 193
7-4 전국 신생아중환자실(NICU)의 이송관계 분석(2010) 198
7-5 신생아중환자실(NICU) 입원현황 및 입원비용 분석(2006) 203
7-6 신생아중환자실(NICU) 입원자의 퇴원 후 재입원빈도와 의료비용(2005~2006) 214

8장 한국의 선천성이상 빈도
8-1 한국의 선천성이상아 조사분석 연구(2005, 2006 출생아) 222

Part 2 미숙아, 신생아 관련 질환의 임상
9장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RDS)의 역학, 폐 표면활성제치료 결과
9-1 RDS의 역학과 폐 표면활성제치료 결과의 전국 조사(1990~2007) 244
9-2 RDS에서 폐 표면활성제치료 결과의 전국 조사(2010) 256

10장 신생아 기관지폐형성이상(BPD)
10-1 기관지폐형성이상(BPD)의 전국적인 발생빈도: 다기관 설문조사(2007~2008) 260
10-2 기관지폐형성이상(BPD)의 임상양상: 다기관연구(2005~2007) 264
10-3 기관지폐형성이상(BPD)의 유형 및 중증도에 따른 임상적 특징(2004~2007) 267
10-4 기관지폐형성이상(BPD)에서 폐동맥고혈압(PN)(2004~2008) 274
10-5 기관지폐형성이상(BPD)을 가진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폐고혈압(2000~2007) 279

11장 신생아 태변흡인증후군(MAS)
11-1 중증 태변흡인증후군(MAS)의 임상적 특성 및 MAS에서 폐 표면활성제 투여 결과(2004~2007) 286

12장 신생아 동맥관개존(PDA)
12-1 극소저체중출생아 동맥관개존(PDA)의 발병에 관련된 인자(1989~1995) 294
12-2 극소저체중출생아 동맥관개존(PDA)의 수술적 결찰 결과(1994~2006) 297
12-3 극소저체중출생아 동맥관개존(PDA) 결찰술 후 혈역동학적 변화(2002~2008) 301

13장 신생아 괴사장염(NEC)
13-1 신생아 괴사장염(NEC)의 역학적 고찰(1994~2003) 306
13-2 신생아 괴사장염(NEC)과 국소성장천공의 전국 조사(2001~2004) 309
13-3 신생아 괴사장염(NEC)으로 수술한 초미숙아의 예후인자 분석(2001~2008) 315
13-4 신생아 괴사장염(NEC)의 수술 경험(1997~2007) 318

14장 신생아 뇌실내출혈(IVH)
14-1 미숙아에서 뇌실주위, 뇌실내출혈(PVH, IVH)의 위험인자(2003~2008) 322

15장 신생아 감염증, 패혈증(sepsis)
15-1 신생아 패혈증의 원인균에 대한 전국조사(1997) 328
15-2 26년간 신생아 패혈증 역학의 변화추이(1980~2005) 333
15-3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조기패혈증의 원인균과 예후인자(1994~2007) 337
15-4 신생아중환자실에서 발생한 신생아 패혈증 환자의 분석(2003~2008) 342
15-5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Synagis?? 접종의 RSV 감염 예방과 재입원 감소(2005~2007) 347
15-6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병원감염 패혈증의 위험인자(2002~2009) 351

16장 미숙아망막증(ROP)
16-1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미숙아망막증(ROP)의 발생빈도와 위험인자(1997~2002) 358
16-2 미숙아망막증(ROP)의 역학과 주산기 위험인자(1995~1997) 362

17장 신생아 폐동맥고혈압(PPHN), 산화질소(nitric oxide, NO) 흡입치료
17-1 신생아 지속성폐동맥고혈압(PPHN)에서 산화질소 흡입(iNO)치료의 예후인자(1998~2002) 368
17-2 신생아 지속성폐동맥고혈압(PPHN)의 치료성적 변화(1994~2001) 372
17-3 신생아 지속적폐동맥고혈압(PPHN)에서 산화질소흡입(iNO)치료의 반응인자(1997~2002) 376
17-4 1,250g 미만 극소저체중출생아의 호흡부전에서 산화질소흡입(iNO)치료의 효과(2006~2010) 380

18장 신생아 기흉(pneumothorax)
18-1 신생아 자발성기흉(pneumothorax)의 관련 질환과 예후(2003~2008) 386
18-2 신생아 자발성기흉(pneumothorax)에 대한 임상적 연구(2002~2005) 389
18-3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기흉 환아의 임상적 특징(2001~2010) 392

19장 저체중출생아, 극소저체중출생아의 신경발달 추적결과, 뇌성마비 발생률
19-1 한국에서 극소 및 초극소저체중출생아의 신경발달예후(1980~2008) 400
19-2 초극소저체중출생아의 생존율 향상에 따른 장기 신경발달장애의 감소(1994~2004) 412
19-3 초극소저출생체중아의 치료성적 및 추적관찰(2003~2006) 415
19-4 고위험 신생아에서 Bayley발달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발달예후인자(2002~2005) 421
19-5 극소저체중출생아의 따라잡기성장 및 발달평가(2000~2001) 425
19-6 극소저체중출생아의 신경발달(2002~2003) 429

부록(Appendix)
1 이해관계 선언 434
2 논문 출처 목록 436
3 주요 통계 및 임상결과 요약 모음 440

찾아보기(Index) 453

저자소개

배종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신생아학을 전공했다. 강동 경희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 실장을 겸하며 대한신생아학회 회장, 대한의사협회 의학자문단 위원, 유니세프한국 위원으로 지내고 있다. 미숙아 사망 원인 중 가장 큰 요인인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의 치료법을 국내 최초로 도입해 ‘미숙아 구세주’로 불리기도 한다. 저서로는 『한국 신생아 역학: 통계와 임상 자료』가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