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스포츠의학
· ISBN : 9788964980583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7-08-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v
본서의 구성과 보는 방법 xii
01 부위별 근육·관절의 움직임과 구조 1
어깨·위팔
❶ 어깨관절 어깨관절을 구성하는 뼈와 구조 2
❷ 어깨위팔관절 어깨위팔관절의 구조와 특징 4
❸ 어깨위팔관절 어깨위팔관절에 작용하는 근육 8
❹ 어깨가슴관절 어깨가슴관절에 작용하는 근육 10
팔꿈치·아래팔
❶ 팔꿉관절·아래팔 팔꿉관절·아래팔을 구성하는 뼈와 구조 12
❷ 팔꿉관절 팔꿉관절에 작용하는 인대 14
❸ 팔꿉관절 팔꿉관절에 작용하는 근육 16
❹ 아래팔 아래팔에 작용하는 근육 18
손·손가락
❶ 손관절·손가락 손관절·손가락을 구성하는 뼈와 구조 20
❷ 손관절 손관절에 작용하는 근육 22
❸ 손가락 손가락에 작용하는 근육 24
골반~무릎
❶ 골반·엉덩관절 골반·엉덩관절을 구성하는 뼈와 구조 28
❷ 엉덩관절 엉덩관절에 작용하는 근육 30
❸ 무릎관절 무릎관절을 구성하는 뼈와 구조 34
❹ 무릎뼈 무릎뼈의 구조와 기능 36
❺ 넙다리네갈래근 넙다리네갈래근의 구조와 역할 38
❻ 넓적다리뒤근육 넓적다리뒤근육의 구조와 역할 40
발부위
❶ 발목관절·발부위 발목관절·발부위를 구성하는 뼈와 구조 42
❷ 발부위 활의 구조와 특징 44
❸ 발부위 발부위에 작용하는 근육 46
척주
❶ 척주(척추) 척주를 구성하는 뼈와 구조 50
❷ 척주(척추) 척추의 작용 인대와 척추사이원반 52
❸ 목뼈 목뼈를 구성하는 뼈와 구조 54
❹ 목부위 목부위에 작용하는 근육 56
가슴우리·허리
❶ 가슴우리 가슴우리를 구성하는 뼈와 구조 58
❷ 허리뼈 허리뼈를 구성하는 뼈와 구조 60
❸ 허리부위 허리부위에 작용하는 근육 62
칼럼 의료 현장에서 ❶ 64
02 일상생활 동작별 근육·관절의 움직임과 구조 65
몸을 뒤척이는 동작
❶ 동작과 패턴 66
❷ 동작 패턴별 특징 68
일어나는 동작
❶ 동작과 패턴 70
❷ 성장과 일어나는 동작의 변화 72
바닥에서 일어서는 동작
❶ 동작과 패턴 74
❷ 동작별 근육의 활동 76
의자에서 일어서는 동작
❶ 동작의 구분과 무게중심 78
❷ 동작별 관절의 움직임 80
❸ 동작별 근육의 활동 82
❹ 의자의 높이, 속도에 따른 영향 84
일반 보행
❶ 보행의 정의 86
❷ 보행의 기능적 구분 88
❸ 시상면·수평면에서의 관절 각도 90
❹ 이마면과 팔관절의 각도 92
❺ 무게중심의 이동과 효율 94
❻ 위아래·좌우·앞뒤의 지면반발력 96
❼ 관절에 가해지는 근육 모멘트 98
❽ 보행 시 근육의 활동 100
❾ 성장·노화에 따른 보행의 변화 102
❿ 성장·노화에 따른 두쪽다리딛기의 변화 104
⓫ 보행속도가 걸음에 끼치는 영향 106
비탈길 보행
❶ 오르막길 보행 시 관절·근육의 변화 108
❷ 내리막길 보행 시 관절·근육의 변화 110
계단을 오르내림
❶ 계단을 오르는 동작 시 관절·근육의 변화 112
❷ 계단을 내려가는 동작 시 관절·근육의 변화 114
❸ 계단을 오르내리는 동작 시 근육 모멘트 116
❹ 계단을 오르내릴 때 고령자에게서 볼 수 있는 특징 118
옆으로 걷는 걸음
❶ 동작의 구분과 관절운동 120
❷ 옆으로 걸을 때 근육의 활동 122
넘는 동작
❶ 동작의 구분과 특징 124
❷ 넘는 동작에서 다리의 움직임 126
들어 올리는(lifting) 동작
❶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부하 128
❷ 안전하게 들어 올리는 동작 130
❸ 앞으로 구부리는 동작과 쪼그리는 동작 132
칼럼 의료 현장에서 ❷ 134
03 운동별 근육·관절의 움직임과 구조 135
주행
❶ 주행(달리기)의 정의 136
❷ 주행할 때 일어나는 관절운동과 근육의 활동 138
❸ 단거리 경주에서의 관절운동 140
❹ 주행과 동력학 142
❺ 경기로서의 주행에 대한 분석 144
도약
❶ 동작의 종류와 수직 점프 146
❷ 동력학으로 본 수직 점프 148
❸ 멀리뛰기의 분석 150
방향 전환 동작
커팅의 분석 152
던지는 동작
❶ 동작의 종류와 발달 154
❷ 투구 동작의 분류 156
❸ 투구 동작과 근육의 활동 158
차는 동작
❶ 에너지 전달과 킥(kick) 160
❷ 프리 킥의 분석 162
휘두르는 동작
골프 스윙 시 근육의 활동 166
칼럼 의료 현장에서 ❸ 170
04 종목별 발생하기 쉬운 손상과 재활 171
스포츠 손상
손상의 종류와 발생 요인 172
육상 경기
❶ 경기 특성과 발생하기 쉬운 손상 174
❷ 달리기 손상 발생 요인에 따른 분류 176
❸ 달리기 손상 대표적인 과사용 손상 178
농구
경기 특성과 발생하기 쉬운 손상 184
배구
경기 특성과 발생하기 쉬운 손상 188
야구
❶ 경기 특성과 발생하기 쉬운 손상 192
❷ 야구어깨 발생 요인에 따른 분류 196
❸ 야구어깨 어깨의 체크 포인트 198
❹ 야구어깨 재활하는 방법 200
❺ 야구어깨 어깨에 부담을 주지 않는 투구에 대한 지도 202
❻ 야구엘보 발생 요인에 따른 분류 204
❼ 야구엘보 팔꿈치의 체크 포인트 206
❽ 야구엘보 재활하는 방법 207
축구
❶ 경기 특성과 발생하기 쉬운 손상 208
❷ 발목염좌 발목관절에 대한 기능적 해부 210
❸ 발목염좌 병태와 증상 211
❹ 발목염좌 재활하는 방법 212
❺ 발목염좌 재발 방지를 위한 트레이닝 214
럭비
❶ 경기 특성과 발생하기 쉬운 손상 216
❷ 무릎의 안쪽곁인대 손상 치료법과 예방법 218
❸ 봉우리빗장관절 손상 재활하는 방법 220
테니스
❶ 경기 특성과 발생하기 쉬운 손상 222
❷ 테니스엘보 병태와 발생 요인 226
❸ 테니스엘보 팔꿈치의 체크 포인트 228
❹ 테니스엘보 재활하는 방법 230
찾아보기 232
책속에서
보행속도·걸음길이·보행률은 성장·노화에 따른 영향으로 변화한다. 보행의 각종 지표는 연령과 함께 변한다. 소아기의 연령 변화는 성장·발달의 변화이고, 고령자의 연령 변화는 노화에 따른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보행속도에 대하여 성장에 따른 변화를 보면 10세 전후로 거의 성인과 동등한 속도에 이른다고 한다. 그리고 노화에 따른 변화를 보면 70세 이후로 급격하게 속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다.
걸음길이(step length)는 키와 관련이 깊다고 하지만, 고령자의 걸음길이는 키를 기준화한 수치에서도 감소를 나타낸다. 즉, 고령자의 걸음길이가 감소하는 것은 성인층보다도 키가 작은 것에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라, 노화에 따른 변화로 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보행률(cadence)은 나이가 들면서 줄어들지만, 그 감소는 걸음길이만큼 두드러지지는 않다. 따라서 ‘보행속도 = 걸음길이×보행률’이므로, 나이가 들어 가면서 보행속도가 저하되는 주원인은 걸음길이의 감소라고 볼 수 있다. 102p
스포츠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육체적·정신적 효과를 ‘스포츠 효과’라고 한다. 스포츠의 육체적 효과에는 유연성·근력·심폐 기능 등의 향상이 있고, 스포츠의 정신적 효과에는 스트레스 해소나 성장기에 사회성을 향상시키는 등 교육적인 효과가 있다.
반면, 스포츠로 인해 생기는 부상 등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가리켜 ‘스포츠 손상’이라 한다. 스포츠 손상은 한 번의 큰 외력으로 생기는 골절이나 인대 손상 등의 ‘급성 손상’과 반복되는 동작으로 특정 부위에 부담을 주어 생기는 허리통증이나 무릎통증 등의 ‘과사용 손상’으로 나뉜다. 스포츠 활동은 일상생활보다도 큰 힘이나 빠른 동작을 필요로 하며 같은 패턴의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급성·과사용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스포츠가 일부 경기자만을 위한 것이었던 시대에는 이러한 스포츠 손상도 특정한 사람들만의 문제였다. 그러나 최근 선진국에서 스포츠는 보는 것에서 참여하는 것으로 변화하여, 남녀노소가 다양한 스포츠에 참여하게 되었다. 따라서 스포츠 손상은 일반인들에게도 문제가 되고 있다. 172p
축구는 11명의 선수로 이루어진 각각의 한 팀이 상대 팀의 골에 공을 넣어 득점을 겨루는 스포츠이다. 골키퍼 이외에는 기본적으로 팔을 사용해서는 안 되기 때문에, 선수는 공을 움직이기 위해 주로 발을 사용한다. 그러나 팔 이외에 신체 어느 부분을 사용해도 상관이 없고, 이마를 사용하는 헤딩도 경기에서 자주 쓰인다.
축구에서 킥은 인스텝 킥(instep kick), 인프런트 킥(infront kick), 인사이드 킥(inside kick) 등으로 분류되는데, 경기 장면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축구에서 발생하기 쉬운 스포츠 손상은 발부위에 나타나는 부상으로, 특히 발목염좌(ankle sprain)가 가장 많다.
미국의 대학 스포츠 선수에 대한 조사에 의하면, 발목염좌는 전체 외상에서 약 15%에 이르며, 스포츠 종목 중에서 가장 발생 빈도가 높은 외상으로 간주되고 있다(앞십자인대 손상의 약 5배에 이르는 발생률). 발목염좌는 발생 빈도가 높은 외상이기 때문에, 경제적인 손실도 커 발목염좌와 관련된 치료비는 미국의 고등학교 축구, 농구 선수만으로 연간 11억 달러라고 한다. 208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