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학습법
· ISBN : 9788965021643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14-03-27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꿈을 가져라, 그리고 실천하라
[머리글] 생생 공부로 ‘즐열공’ 하자!
[메모카드와 RTM노트 체험 사례] 강진고 3년 최소연 양
1장. 생생 공부란?
공부의 3요소 강화법 요약 24
생생 공부를 실천하기 전에 먼저 알아야 할 것들
Q1. 공부가 뭐기에, 왜 공부해야 하지?
Q2. 공부의 전제조건은?
Q3. 즐겁게 공부하는 비결은?
Q4. 꿈은 왜 필요한가?
Q5. 진정한 꿈이란?
Q6. 진정한 꿈은 누가 만들까?
Q7.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는?
Q8. 꿈이 성공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Q9. 훌륭한 부모님과 선생님은?
Q10. 훌륭한 학생은?
Q11. 재미로 보는 나의 성공지수는?
2장. 생생 공부법의 체계
생생 공부법의 체계 설명
1단계 : 꿈 만들기
Q1. 왜 꿈을 만들어야 하나?
Q2. 꿈과 역경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Q3. 꿈은 어떻게 만드는가?
Q4. 꿈을 어떻게 표현할까?
Q5. 꿈의 수치화는 왜 중요한가?
Q6. 좋은 꿈이 갖추어야 할 요소는?
Q7. 꿈의 이미지화 방법은?
2단계 : 꿈 명상하기
Q1. ‘꿈 명상’이란?
Q2. 꿈 명상은 잠재의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Q3. 꿈 명상은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Q4. 왜 꿈 명상인가?
Q5. 2?2?2 명상법이란?
Q6. 2?2?2 명상법의 체계는?
Q7. 스스로 하는 2?2?2 명상법 실시 요령은?
Q8. 2?2?2 명상법은 언제 실시하는가?
3단계 : 생생 공부법 실천하기
사례
Q1. 생생 공부법 실천하기란?
Q2. 생생 공부법의 실천 방법은?
Q3. 생생 공부법의 근거가 되는 학습 이론은?
생생 공부법 실천도구1 : RTM노트
Q1. RTM노트란?
Q2. RTM노트 필기 요령은?
Q3. RTM노트와 코넬식 노트의 차이점은?
Q4. 왜 필기의 중요성을 강조할까?
Q5. RTM노트 복습 시 왜 능동적 회상법(ART기억법)을 사용할까?
생생 공부법 실천도구2 : 메모카드
Q1. 메모카드는 왜 필요한가?
Q2. 메모카드 학습이란?
Q3. 메모카드의 기본 양식과 응용 사례는?
Q4. 메모카드 학습의 강점은?
Q5. 메모카드의 효과적인 활용법은?
Q6. 메모카드와 플래시카드의 차이점은?
Q7. 메모카드 학습의 한계와 극복 방안은?
Q8. 책도 카드 형태로 만들 수 있는가?
생생 공부법 실천도구3 : 카드스탠드
Q1. 카드스탠드는 왜 필요한가?
Q2. 카드스탠드의 종류와 구조는?
Q3. 카드스탠드의 사용법은?
3장. 생생 공부의 기초가 되는 기억의 원리
Q1. 기억은 무엇인가?
Q2. 기억의 원리는?
Q3. 학습 방법에 따라 기억 효과가 다르다?
Q4. 뇌의 비밀 5가지는?
Q5. 망각곡선이란?
Q6. 망각을 방지하려면?
Q7. 어떤 기억법들이 있는가?
Q8. 공부를 잘하기 위한 신체조건은?
Q9. 공신 되는 공부습관은?
저자소개
책속에서
아마도 학교 공부를 열심히 해서 공부 마일리지를 차곡차곡 쌓는 것이 확률적으로 최선의 길이지 않을까? 결코 이 세상에는 공짜는 없는 법이기 때문이다. 공부는 미래에 행복의 집을 짓기 위한 벽돌 쌓기 작업이자 불확실한 장래 보장을 위한 저축이기도 하다. 미래에 닥칠 고난과 위기는 누구도 확실하게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저축이나 보험이 필요하듯, 미리 공부를 통해서 대비하는 것이 지혜로운 태도일 것이다.
-공부가 뭐기에, 왜 공부해야 하지? 중에서
진정 좋은 부모와 스승은 지원과 도움을 주면서도 때로는 자녀와 제자가 스스로 자신의 길을 개척해나갈 수 있도록 어려움과 역경도 알게 해야 한다. 바른 성장을 위해서는 인내와 고통의 시간이 오히려 약이 되고 스스로 일어서는 자극제가 되기 때문이다. 부모나 스승이 자녀와 제자에게 훌륭한 멘토가 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학생 스스로 자신의 꿈을 정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훌륭한 부모님과 선생님은? 중에서
자신이 처한 현재의 상태나 처지를 지나치게 높거나 낮게 고려하지 말고 인생의 긴 여정의 관점에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희망적이고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반대로 어떤 대안이 분명 실현 가능하다 하더라도 현실 생활에 필요한 경제적 수입이 보장되지 못한다면 제외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도 판단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대안들 중 유사한 것들은 통합하거나 버리는 과정도 필요하다. 이 과정을 거치면 난삽한 다양한 꿈들이 어느 정도 압축되고 정리된다.
-꿈은 어떻게 만드는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