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65628453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6-02-25
목차
머리말
Chapter 1 부활 이야기에 나타난 하나님 중심적 신학
1장 사도행전에서의 부활 신학
1. 예수 부활의 증인들(행 1:21-22, 10:41, 13:31)
2. 사도행전에 나타난 예수의 부활
3. 사도행전에 나타난 죽은 자의 부활(행 4:1-2, 17:32, 23:6, 8, 24:15, 21, 25:19, 26:8, 23)
4. 예수의 부활과 우리의 부활: 예수는 죽은 자의 부활의 시작(행 3:15, 5:31, 26:23)
5. 요약적 결론과 신학적 의미
2장 사도행전에서의 죽은 자의 부활
1. 서론
2. 학자들의 접근
3. 사도행전 내에서의 죽은 자의 부활의 기능
4. 사도행전에서의 친바리새파적 경향의 본문들
5. 요약적 결론과 신학적 의미
3장 사도행전에서의 부활 관련 구약 인용
1. 서론 / 61
2. 베드로의 오순절 설교에서의 부활 관련 구약 인용(행 2:25-28, 34-35)
3. 사도행전 13장에서의 부활 관련 구약 인용(행 13:33-35)
4. 사도행전에서의 부활 관련 구약 인용의 해석학적 의미
5. 요약적 결론과 신학적 의미
4장 바울의 비시디아 안디옥 설교 연구(행 13:16-41)
1. 서론
2. 설교의 구성
3. 이스라엘 역사 회고의 의미
4. 설교의 핵심: 예수의 죽음과 부활의 증거
5. 모세의 율법과 칭의사상(행 13:38-39)
6. 설교의 결말 및 결과
7. 요약적 결론과 신학적 의미
Chapter 2 선교 이야기에 나타난 하나님 중심적 신학
5장 전도자 빌립과 에디오피아 내시의 회심 이야기(행 8:26-40)
1. 서론
2. 맥락 가운데 바라보기: 사마리아 선교 이야기와 비교
3. 에디오피아 내시의 정체성
4. 성경 해석 문제: “어찌 깨달을 수 있겠느냐?”
5. 세례 문제: “세례를 받음에 무슨 거리낌이 있느냐?”
6.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7. 선교지 문제: 아소도로? 들림 받은 빌립?
8. 요약적 결론과 신학적 의미
6장 헤롯 아그립바 I세 죽음의 문학적 기능과 신학적 의미(행 12:20-23)
1. 서론
2. 헤롯 아그립바 1세 죽음에 관한 보도
3. 헤롯 아그립바 I세 죽음의 문학적 기능
4. 헤롯 아그립바 I세 죽음의 신학적 의미
5. 요약적 결론과 신학적 의미
7장 서기오 바울과 사도 바울(행 13:4-12)
1. 서론
2. 본문의 위치와 바울 일행의 여정
3. 수행원 요한(행 13:5)
4. 바예수 마술사 엘루마(행 13:6-11)
5. 바예수와 바울의 대결(행 13:8-11)
6. 총독 서기오 바울은 누구인가?
7. 이방인 선교인가, 유대인 선교인가?
8. 바울이라고 하는 사울(행 13:9)
9. 하나님 중심적 신학(Theozentrische Theologie)으로 바라보기
10. 요약적 결론과 신학적 의미
8장 유럽으로 향하는 발걸음(사도행전 16장 6-10절의 주석적 연구)
1. 서론
2. 본문의 사역
3. 본문의 위치와 짜임새
4. 첫 번째 성령의 막음(행 16:6): 소아시아 전도
5. 두 번째 성령의 막음(행 16:7): 비두니아 전도
6. 무시아를 지나 드로아로(행 16:8)
7. 성령 막음의 방법
8. 성령의 막음의 이유와 의미: 하나님 중심적 신학의 표현
9. 마게도냐 사람 환상(행 16:10)
10. 우리 문서(행 16:10b)
11. 요약적 결론과 신학적 의미
9장 바울의 밀레도 설교(행 20:17-38)
1. 서론
2. 밀레도 설교의 윤곽 잡기
3. 중요 구절 해석
4. 설교자를 위한 메시지
5. 요약적 결론과 신학적 의미
10장 사도행전에서의 예수 말씀(행 20:35)
1. 서론
2. 본문의 연구사
3. 사도행전 20장 35절
4. 주의 말씀 기억하기
5. 사회적 약자 돕기
6. 누가의 재물 신학
7. Q공동체와의 관계
8. 요약적 결론 및 신학적 의미
부록 - 사도행전에서의 율법
1. 서론
2. 베드로와 율법
3. 스데반과 율법
4. 바울과 율법
5. 예루살렘 회의와 율법: 우리 조상과 우리도 능히 메지 못하던 멍에
6. 요약적 결론과 신학적 의미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