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65701798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13-11-2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동아시아 마켓’ 시대를 준비하라
PART 1. 14억 소비자, 중국인을 알아야 시장이 보인다
중국, 사람을 먼저 이해하라
기질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 중국인 기질의 최고봉은 체면 | 길상물로 알아보는 중국인의 속마음
세대별로 살펴본 14억 중국 소비자
현대 중국을 바꿔놓은 역사적 사건들 | 60전 세대부터 90후 세대까지
소비자의 모습을 통해 중국시장을 읽는다
시밀락 분유, 중국인의 아이 사랑 | 신동방과 중국학생들, 영어에 열광하는 나라| ‘일한’을 사랑하는 중국 청소년 | 중국여성의 이상형, 고부수 | 원조와 중국 장년층 | 퇴휴와 중국 노인, 빠르게 늙어가는 나라 | 지녀, 중국여성의 로망
중국, 생산기지에서 소비시장으로
중국, 소비자를 독려하다 | 중국경제의 딜레마, 부자 | 소비 진작의 핵심은 중산층 | 도시화 정책과 중산층
PART 2. 세계 최대의 소비 격전지, 중국
중국시장을 둘러싼 변수들
원산지 효과와 소비 애국주의 | 뜨거운 감자, 소비자 보호 | 여행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 | 부동산에 집착하는 중국인 | 사회주의와 상인 기질
업종별 중국시장에서 경쟁하는 브랜드들
화장품과 생활용품 | 식음료 | 의류와 스포츠용품 | 자동차 | 가전과 IT | 주류
중국시장에서의 브랜드 전략
글로벌 기업이 중국에서 브랜딩하는 법 | 중국 본토 기업이 브랜딩하는 법 | 유사 브랜드, 짝퉁, 샨자이, 잡패의 차이점
PART 3. 어떻게 중국 내수시장을 사로잡을 것인가
왜 중국 내수시장이 중요한가
잘나가는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
중국의 시장조사, 매체, 신소비자
증가하는 디지털 분석 | 중국의 대중매체
중국의 디지털 매체와 마케팅
포털 | 모바일 | 동영상 공유, 이메일, 버티컬, 빅데이터
진화하는 중국 마케팅
개별 소비자와의 터치 포인트 | 중국 당국의 미디어 정책
거대 광고시장, 중국
중국의 광고회사 | 중국에서 성공하는 광고 | 중국에서 실패하는 광고
토털 마케팅으로 공략하라
PPL | 스포츠 마케팅 | CSR과 PR
중국 마케팅의 기본, 유통과 촉진을 이해하라
중국 유통의 기본 개념 | 유통의 황금 시즌 | 오프라인 유통과 외국계 유통회사 | 대세는 디지털 유통 | 유통 현장의 판매촉진
PART 4. 당신이 알아야 할 중국
중국이라는 나라
상관 부문과 꽌시
비즈니스와 관련 있는 행정부 | 당이 이끄는 중국 | 중국의 공무원
지역으로 살펴본 중국
중국의 권역 구분 | 북방과 남방 | 경제특구, 서부개발 | 수도 베이징과 국제도시 상하이 | 동북아의 교차로, 동북 | 한국과 중국
참고 자료
에필로그
저자소개
책속에서
중국인들은 남들 앞에서 자기를 과장하거나 자랑하지 말라는 얘기를 듣고 자란다. 한편 모르는 사람의 일에는 상당히 냉담한 편이어서 남의 일에 잘 끼어들지 않는다. 중국인들이 길에서 무슨 사건이 터지면 우르르 몰려와서 끼어드는 것 같지만, 실은 구경하기를 즐길 뿐이다. 중국 중앙텔레비전에 충격적인 영상을 보도한 적이 있다. 골목에서 어린아이가 차에 치어 죽어가는데 지나가는 행인 누구 하나 거들떠보지 않고 지나치는 모습이었다. 이와 비슷한 영상물은 쓰러진 노인, 다친 사람 등 정말 많다. 어떤 예쁘장한 여자가 길거리에서 걸인 같은 노인에게 음식을 떠먹이는 사진이 중국 최대의 소셜 미디어인 웨이보에서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정말 보기 힘든 광경이었는데, 결국은 노이즈 마케팅의 일환으로 드러나 씁쓸한 뒷맛을 남겼다. 하지만 중국인들은 자신과 관련 있는 사람의 일에는 발 벗고 나선다.
-‘기질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중에서
중국인들은 선물을 많이 한다. 선물할 때도 체면이 빠질 수 없다. 선물의 내용도 내용이지만 포장도 중시한다. 중국에서의 선물은 대부분 과대 포장이다. 요즘은 관 주도로 과대 포장 줄이기 캠페인을 하고 있는데 실천은 잘되지 않는다. 중국 사람들의 선물에 대한 실태를 보여주는 또 다른 풍경이 있다. 바로 선물 회수 시장이다. 명절이나 선물 시즌이 되면 지하철역 앞이나 점포를 임시로 임대까지 해서 선물을 매입하는 곳이 생겨난다. 평상시에는 이 점포들의 숫자가 줄어든다. 선물로 받은 술, 담배, 월병, 제비집, 건강식품, 상품권 같은 것을 돈을 받고 되파는 것인데 이른바 ‘선물깡’이라고 할 수 있다.
- ‘중국인 기질의 최고봉은 체면’ 중에서
중국은 2010년부터 미국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큰 자동차 시장이 되었다. 중국시장에서 글로벌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은 절반을 훌쩍 넘지만, 글로벌 브랜드 대부분이 중국 회사와 합자·합작 생산을 하기 때문에 본토 기업들도 자동차산업 기술 전수 등의 수혜를 입는다고 할 수 있다. 외국계 중에서는 특히 중국 개혁개방 초기에 리스크를 감수하고서라도 중국과 합자 · 합작을 선택한 독일 브랜드들이 선착의 효과를 거뒀는데, 폭스바겐, 아우디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폭스바겐 그룹의 중국 내 입지는 상당히 강하다. 아울러 미국 GM그룹도 선전하고 있다.
- ‘업종별 중국시장에서 경쟁하는 브랜드들’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