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65840282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3-02-21
책 소개
목차
■저자의 글 볼린저밴드를 통해 20% 리더그룹에 진입하라
■프롤로그 매매전략의 효율성을 높이는 최상위 기법, 볼린저밴드
Part1. 볼린저밴드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01_ 체계화된 분석기법이다
02_ 확률적 접근법이다
03_ 혼돈을 단순화한다
04_ 과학적인 접근법이다
Part2. 볼린저밴드에 대해 기본적인 이해하기
01_ 볼린저밴드의 유래
02_ 볼린저밴드의 이론적 배경
03_ 볼린저밴드의 구성요소와 그 이해
04_ 정규분포도와 볼린저밴드의 상관관계
05_ 볼린저밴드의 특성
Part3. 볼린저밴드를 이용하여 대응전략 마련하기
01_ 기본적인 대응방법
02_ 볼린저밴드를 활용한 실전 매매기법
03_ 중심선에 대한 이해와 그 활용법
Part4. 볼린저밴드, 파동, 스토캐스틱을 활용한
단·중·장기 매수타이밍 포착법 살펴보기
01_ 스토캐스틱에 대한 간단한 이해
02_ 다이버전스를 이용한 확률 높은 매매전략
03_ 스토캐스틱 이중바닥에 의한 매수타이밍
04_ 볼린저밴드, 파동, 그리고 스토캐스틱의 접목에 의한 매수타이밍
Part5. 강세종목 편승과 수익전략 알아보기
01_ 시장 인기주와 필요한 도구
02_ 분봉의 활용방법
Part6. 거래량에 대한 이해와 대응법 살펴보기
01_ 거래량과 주가
02_ 거래량의 경우의 수와 그 대응법
Part7. 기술적 지표를 통해 주도주 파악하기
01_ 기술적 분석에서의 주도주에 대한 이해
02_ 집중해야 할 대표주
Part8. 선물의 매매타이밍 포착법 파악하기
01_ 기본적 매매전략은 볼린저밴드의 상·하한선의 전환점을 이용하라
02_ 보다 큰 수익을 위해서는 조정파동을 활용하라
03_ 일봉 상 밴드상한선을 돌파하면 매도타이밍으로 여겨라
04_ 240분봉을 활용하여 매수타이밍을 노려라
부록 문제로 정리하는 볼린저밴드 실전 연습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미 많은 분석기법들이 나와 있지만 정작 실전에서 사용해 보면 제대로 수익이 나지 않는 경향이 많다는 하소연을 하게 되는 데 그러한 이유는 분석기법의 성공확률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어떤 기법을 적용해 보면 승률이 50%에도 못 미치는 경우도 있다.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기법을 채택하여 실전에 이용하다 보니 투자는 당연히 실패하기 마련이다. 볼린저밴드는 통계와 확률의 기본개념을 적용한 분석기법이다. 만약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수학과 과학의 중요성을 깨닫고 논리적 사고를 가지고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면 지극히 현실적인 사고를 가진 사람이다. 이러한 현실적인 투자자에게 가장 적합한 분석기법은 바로 볼린저밴드이다. 이후 자세히 언급하겠지만 볼린저밴드는 대칭형 정규분포도의 원리에 바탕을 두고 95.44%의 성공확률과 4.56%의 실패확률을 가지고 매매타이밍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주가의 방향과 성격에 따라 매매타이밍을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매우 쉽고도 체계적인 분석법이기 때문이다.
어떤 투자자들은 볼린저밴드와 인벨롭차트Envelope Chart를 비교하여 설명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상관도가 크게 떨어진다. 인벨롭차트는 중심선에서 일정비율의 영역을 설정하여 상·하한선의 영역을 표현해서 주가의 궤적을 추적하는 것인 반면, 볼린저밴드는 통계학적 개념인 표준편차를 통해 수축과 확장을 명확히 함으로써 주가의 변곡점을 표현해준다. 인벨롭차트는 언제나 중심선과 상·하한선의 거리는 항상 평행이며 볼린저밴드는 주가의 속성인 멈춤과 움직임을 세세하게 표현해주는 것으로 엄연히 다르다. 그리고 볼린저밴드는 종목에 따라 수치를 달리할 필요가 없고 인벨롭은 종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자가 일일이 적용수치를 바꾸어야 한다. 또한 볼린저밴드는 95.44%를 밴드 내에 수용하는 것인 반면, 인벨롭은 경우에 따라 주가가 밴드의 영역을 이상 탈피해 움직임으로써 분석자를 당황케 한다.
다음으로 완만하락 국면에서의 대응기법에 대해 살펴보자. 밴드가 수축 국면일 경우 매수와 매도세 간의 소극적인 공방이 이루어지는 순간이고 이후 힘의 균형을 깨뜨리는 매도세가 강화될 경우 주가는 하락으로 방향을 잡게 된다. 이 순간 특별한 여건 악화나 해당 종목의 악재가 있을 경우에는 급락패턴으로 이어질 것이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완만하락 패턴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급락패턴의 경우 앞서 설명했듯이 갑작스런 악재로 인해 매도타이밍을 놓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완만하락 패턴의 경우 조급하게 서둘러서 매도할 필요는 없다. 악재가 없는 상황에서는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더라도 반등을 보이면서 단계적으로 하락하기 때문이다. 밴드수축에서 하락으로 전환하게 되면 동시에 중심선의 하락반전이 이루어지고 그 즉시 매도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중심선이 갑자기 꺾이게 되면 곧바로 매도할 필요가 없다. 그 즉시 밴드하한선을 주가가 붕괴시키게 되고 95.44%의 확률로 일시 반등세를 보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반등이 일어날 때 매도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면서 보다 더 나은 매도기회를 잡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