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오픈스택을 다루는 기술

오픈스택을 다루는 기술

(OpenStack 클라우드 구축과 운영을 위한 현장 밀착 입문서!)

장현정 (지은이)
길벗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오픈스택을 다루는 기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오픈스택을 다루는 기술 (OpenStack 클라우드 구축과 운영을 위한 현장 밀착 입문서!)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OS/Networking > 네트워크 구축
· ISBN : 9788966188253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14-10-31

책 소개

클라우드와 오픈스택의 개념과 구조부터 오픈스택을 이용해 다양한 상황에 맞춰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축하는 방법과 운영하는 방법 그리고 블로그와 하둡 서비스의 인프라로 오픈스택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방법까지 다루고 있다.

목차

첫째마당 클라우드와 오픈스택 기본기 다지기

1장 인프라 환경 변화의 시작, 클라우드
1.1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와 종류
01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
02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
03 클라우드 공개 범위
1.2 클라우드 핵심 서비스 컴퓨트와 스토리지
01 컴퓨트 서비스
02 스토리지 서비스
1.3 하이퍼바이저가 필요해!
01 하이퍼바이저의 정의
02 하이퍼바이저의 분류
03 가상화 방식에 따른 하이퍼바이저
04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하이퍼바이저
05 하이퍼바이저별 이미지 포맷
1.4 클라우드에서 알아야 할 네트워크 상식
01 Fixed IP와 Floating IP
02 IP Class와 IP Range
03 예제로 알아보는 IP Class와 IP Range
04 SDN
05 오픈플로우
06 네트워크 장비
1.5 블록 스토리지와 오브젝트 스토리지의 차이
01 블록 스토리지
02 오브젝트 스토리지
03 대표적인 스토리지 서비스

2장 오픈스택이 뭐지?
2.1 오픈스택의 역사 살펴보기
01 오픈스택 탄생 배경
02 오픈스택 릴리즈 현황
2.2 오픈스택, 아키텍처로 알아보기
01 개념 아키텍처로 보는 오픈스택의 변화
02 논리 아키텍처로 보는 오픈스택의 변화
2.3 가상 서버를 생성하는 컴퓨트 Nova
01 논리 아키텍처에서 Nova
02 Nova가 지원하는 하이퍼바이저 종류
03 노드별로 설치되는 Nova
04 주요 사이트
2.4 오브젝트 스토리지 Swift
01 논리 아키텍처에서 Swift
02 Swift의 논리적 구성 요소
03 Swift Ring의 개념
04 Swift의 데이터 관리 방법
05 Swift와 Keystone의 관계
06 주요 사이트
2.5 운영체제 이미지를 관리하는 Glance
01 예로 이해하는 Glance
02 논리 아키텍처에서 Glance
03 VM 이미지 종류
04 Container 포맷
05 지원하는 운영체제 이미지
06 주요 사이트
2.6 인증을 관리하는 Keystone
01 예로 이해하는 Keystone
02 논리 아키텍처에서 Keystone
03 오픈스택에서 Keystone 위치
04 테넌트, 사용자, 롤의 개념과 관계
05 주요 사이트
2.7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Neutron
01 논리 아키텍처에서 Neutron
02 Neutron이 지원하는 플러그인 종류
03 노드별로 설치되는 Neutron
04 주요 사이트
2.8 블록 스토리지를 관리하는 Cinder
01 논리 아키텍처에서 Cinder
02 Cinder가 지원하는 블록 스토리지 드라이버
03 주요 사이트
2.9 대시보드 Horizon
01 논리 아키텍처에서 Horizon
02 Horizon 대시보드
03 주요 사이트
2.10 기타 서비스
01 텔레미터 서비스 Ceilometer
02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 Heat
03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Trove

둘째마당 오픈스택 구축하기

3장 오픈스택은 어떻게 설치하는 거야?
3.1 가상 서버 준비하기
01 하이퍼바이저 설치 전 준비
02 VirtualBox 설치
3.2 우분투 서버 설치하기
01 우분투 서버 다운로드
02 VirtualBox에서의 가상 서버 생성
03 우분투 서버 설치
04 SSH Client 프로그램을 이용한 우분투 서버 접속
3.3 네트워크 테스트 베드 구성하기
01 네트워크 테스트 베드 구성
02 네트워크 구성도
3.4 데브스택을 이용해 오픈스택 설치하기
01 데브스택을 이용해 오픈스택 설치 전 준비
02 데브스택 설치
3.5 첫 번째 인스턴스 생성하기
01 첫 번째 인스턴스 생성
02 SSH 클라이언트 툴을 이용한 인스턴스 접속

4장 Neutron 서비스로 복잡한 네트워크를 해결해볼까?
4.1 Neutron 기본 플러그인 ML2 알아보기
01 ML2의 역할
02 ML2 타입 드라이버 이해
4.2 Neutron을 설치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 그리기
4.3 데브스택을 이용해서 오픈스택 Neutron 설치하기
01 VirtualBox에서 가상 서버 생성
02 데브스택 설치
4.4 Neutron 네트워크 구성하기
01 Local 네트워크 구성
02 Private와 Public을 이어주는 라우터 생성
4.5 첫 번째 인스턴스 생성하기

5장 서비스가 가능한 오픈스택은 어떻게 구축하지?
5.1 시스템 구성도 그려보기
01 Neutron을 이용한 오픈스택 네트워킹 구성
02 Nova-network를 이용하는 오픈스택 네트워킹 구성
5.2 서버 준비하기
01 오픈스택을 설치할 수 있는 서버 최소 사양
02 우분투 설치
03 설치 방법
5.3 컨트롤러 노드 설치하기
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02 NTP 설치
03 데이터베이스 설치
04 Packages 설치
05 RabbitMQ 설치
06 Keystone 설치
07 Keystone 사용자, 테넌트, 롤 그리고 endpoint 생성
08 Glance 설치
09 Nova Management 설치
10 Neutron 서버 설치
11 Horizon 설치
12 Cinder 서버 설치
13 Swift Proxy 서버 설치
14 Heat 설치
15 Ceilometer 설치
5.4 SDN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설치하기
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02 NTP 설치
03 데이터베이스 설치
04 Packages 설치
05 Neutron 네트워킹 설치
5.5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컴퓨트 노드 설치하기
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02 NTP 설치
03 데이터베이스 설치
04 Packages 설치
05 Nova 컴퓨트 설치
06 Neutron 컴퓨트 설치
07 Cinder 볼륨 설치
08 Swift Storage 서버 설치
09 Ceilometer 컴퓨트 에이전트 설치
5.6 제대로 설치했는지 테스트하기
01 Neutron 네트워크 생성
02 Cinder 볼륨 생성 테스트
03 Swift 테스트
04 Heat 테스트
05 Ceilometer 테스트

6장 CentOS도 오픈스택을 구축할 수 있어!
6.1 설치 환경 만들기
01 CentOS 다운로드
02 CentOS 설치를 위한 VisualBox 가상 서버 준비
6.2 All-in-One으로 오픈스택 설치하기
01 시스템 구성도 그리기
02 Network IP 설정
03 PackStack 설치를 위한 사전 준비
04 PackStack IceHouse 패키지와 PackStack 설치
05 대시보드 접속
06 Neutron 네트워크 생성
07 인스턴스 생성
6.3 Multi Node에서 오픈스택 설치하기
6.4 컨트롤러 노드 설치하기
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02 NTP 설치
03 데이터베이스 설치
04 Packages 설치
05 Qpid 설치
06 Keystone 설치
07 keystone 사용자, 테넌트, 롤 그리고 endpoint 생성
08 Glance 설치
09 Nova Management 설치
10 Nova-network 설정
11 Horizon 설치
12 Cinder 설치
6.5 컴퓨트 노드 설치하기
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02 NTP 설치
03 데이터베이스 설치
04 Packages 설치
05 Nova Compute 설치
06 Nova-network 설치
07 Nova-network 생성
08 인스턴스 생성

셋째마당 오픈스택 운영하기

7장 오픈스택 운영, 이 정도는 기본이지
7.1 Glance에 우분투 이미지 올리기
01 우분투 클라우드 이미지 다운로드
02 Glance 명령어로 우분투 이미지 다운로드와 업로드
03 대시보드로 우분투 이미지 다운로드와 업로드
04 받아 놓은 우분투 이미지 파일을 대시보드로 업로드
7.2 우분투 인스턴스 생성하기
01 Nova boot 명령어를 이용한 인스턴스 생성
02 대시보드에서 인스턴스 생성
7.3 인스턴스에 Floating IP 할당하기
01 콘솔을 이용해서 Floating IP 할당
02 대시보드에서 Floating IP 할당
7.4 볼륨 스토리지 생성하기
01 콘솔을 이용한 볼륨 스토리지 생성
02 대시보드에서 볼륨 스토리지 생성
7.5 프로젝트, 롤, 사용자 추가하기
01 콘솔을 이용한 사용자 생성
02 대시보드에서 사용자 생성
7.6 Help를 이용한 명령어 사용법 알아보기
01 Help를 이용해서 명령어를 알아보는 형식
02 Help 사용 예제

8장 오픈스택 운영, 기본을 넘어서
8.1 Keystone 토큰을 UUID 형태로 변경하기
01 Keystone 인증 토큰을 UUID 형태로 변경
02 REST API Client 툴로 인증 토큰 정보 확인
8.2 개발자라면 API를 활용하자
01 Curl을 이용한 REST API 사용법
02 REST API Client 툴을 이용한 사용법
8.3 Keystone에 CORS 적용하기
01 CORS
02 Keystone을 위한 CORS 환경설정
8.4 우분투 인스턴스에 VNC 서버 설치하기
01 VNC 접속을 위한 보안 그룹 설정
02 우분투 인스턴트에 VNC 서버 설치
03 VNC Client를 이용한 우분투 인스턴스 접속
04 우분투 인스턴스에서 한글 입력 설정
8.5 다른 운영체제로 인스턴스 생성하기
01 우분투 서버 버전을 데스크탑 버전으로 변경
02 KVM 설치
03 Window7 이미지 설치
04 생성된 이미지 Glance에 올리기
8.6 데브스택으로 오픈스택을 설치할 때 알아두면 좋은 것들
01 데브스택으로 오픈스택을 설치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점
02 데브스택으로 오픈스택을 설치할 때 좋은 점
03 유형별로 다른 localrc 설정법

넷째마당 오픈스택 활용하기

9장 오픈스택 클라우드에 워드프레스로 블로그 구축하기
9.1 우분투 인스턴스 생성하기
01 키 패어 등록 및 시큐리티 그룹 생성
02 우분투 인스턴스 생성
9.2 웹 서비스 환경을 APM으로 설치하기
9.3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01 워드프레스 설치 및 환경설정

10장 오픈스택과 하둡의 만남
10.1 하둡을 설치할 인스턴스 생성하기
01 키 패어 등록 및 시큐리티 그룹 생성
02 우분투 인스턴스 생성
10.2 하둡 설치하기
01 자바 설치 및 Key 생성
02 하둡 설치
10.3 하둡 테스트하기
01 하둡 맵 리듀스 웹 UI
02 하둡 HDFS 웹 UI
03 하둡 명령어를 찾아보는 help
04 하둡 명령어를 이용한 테스트

부록 - 오픈스택 명령어 사전
01 Keystone 명령어
02 Nova 명령어
03 Neutron 명령어
04 Cinder 명령어

저자소개

장현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10년 동안 자바 개발자로 활동하다가 오픈소스 클라우드 플랫폼인 오픈스택을 만나 이제는 리눅스, 앤서블, 오픈스택 등을 다루는 플랫폼 엔지니어로 활동하고 있다. 2대 오픈스택 한국 커뮤니티 대표를 맡았으며 국내 최초, 글로벌 여성 최초로 HP Helion MVP로 선정되기도 했다. 현재는 레드햇 코리아에서 오픈스택 및 클라우드 플랫폼 전문 컨설턴트로 재직 중이며, 오픈소스 관련 업무를 하면서 경험했던 다양한 기술 노하우를 블로그(naleejang.tistory.com)에 연재하고 있다. 언젠가 반드시 세계로 진출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영어와 IT 기술들을 열심히 습득하고 있으며, 워킹맘들과 여성 개발자들을 위한 책을 출간하는 것이 꿈이다. 주요 저서로는 『오픈스택을 다루는 기술』, 『처음 배우는 셸 스크립트』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