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차인의 사랑 3

차인의 사랑 3

(천리 밖에서 나 죽고 그대 살아서, 이 마음 이 설움 알게 했으면!)

김동곤 (지은이)
이른아침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9,17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차인의 사랑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차인의 사랑 3 (천리 밖에서 나 죽고 그대 살아서, 이 마음 이 설움 알게 했으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술/음료/차 > 다도/차
· ISBN : 9788967451615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4-11-25

책 소개

어느 시대나 아름다운 사랑과 부부의 이야기도 있고, 청순가련하게도 버림받은 사랑도 있기 마련이다. 차를 사랑한 우리 선인 중에는 아내와 애틋한 사랑을 남긴 이들도 있고, 함께하지 못해 구구절절 눈물의 사랑 노래를 남긴 이들도 있다. 이번 《차인들의 사랑》 3권에는 차인 여덟 분의 이야기를 담았다.

목차

들어가면서_ 천리 밖에서 나 죽고 그대 살아서, 이 마음 이 설움 알게 했으면!

36.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헤어졌다 다시 만남은 우리 운명! 회혼례 날 운명하다
1. 아내에 바치는 노래〈회근시〉
2. 다산 선생의아내 사랑
① 가난
② 이별
③ 탄생과 죽음
④ “술을 끊으시오”와 “고관같이 모시고”
⑤ 효도와 유령(遺令)
⑥ 아내에게 바치는 노래
3. 《다경(茶經)》에 통달하고, 노동(盧仝)의 일곱 잔차를 마시네!
① 걸명소
② 다신계(茶信契)
③ 대나무 속 꽃밭[竹裏花間]에서 술잔 들고 차(茶) 마신다네!
④ 세상은 공평하다오!

37. 담정藫庭김려金鑢
아내의 편지, 글자마다 피가 묻고 글줄마다 눈물이라!
1. 목이 메 말도 못하고 눈물만 글썽이는 아내
2. 아내와 함께하는 행복
3. 감담(坎)의 시절을 함께 견딘 부령의 연희(蓮姬)
① 빼어난 문장의 연희는 천상 선녀
② 앵두가 붉은가요, 내 입술이 붉은가요?
③ 그리는 줄 제 먼저 알고, 술병 들고 오는 연희
④ 눈에 삼삼한 연희의 집
⑤ 사흘 재계하고 차려주는 부모님 제사
⑥ 농사짓고 함께 살자, 연희와 약속했지
⑦ 농사짓고 함께 살자, 연희와 약속했지
⑧ 꿈에 울면서 이생에서 다시 만나자던 연희
⑨ 연희와 이별 후엔 버선 하나로 아홉 달을 버티네
⑩ 연꽃 닮은 연희야, 연희야! 너를 어찌 하랴?
⑪ 생각을 말자 해도 심장이 타고 마음이 다 타네
⑫ 내리는 밤, 술병 들고 찾아온 연희
⑬ 그대 이름 역사에 남기고파
⑭ 그리운 부령의 아이들
4. 유배지에서도 매일 차를 마신 차인
① 매일 동자에게 담배와 차를 챙기게 하였다
② 중국 차 고전과 다품에 정통하고, 일본 차관에 차를 끓였다
③ 맨드라미 차

38. 자하紫霞 신위申緯
왜 열세 살에 혼인했던 사람은 보이지 않나!
1. 이 삶의 기쁨과 슬픔, 눈물을 참는 것 어렵지 않네
① 그날 혼인했던 사람은 보이지 않고…
② 가슴에 푸른 매실이 든 것 같이…
③ 같은 날 태어난 두 부인, 모두 먼저 가버리고…
2. 차문화의 지평을 넓힌 차인
① 다산 선생의 회혼례를 축하하다
② 추사 김정희와 나이를 잊은 청류를 나누다
③ 초의선사와 청교를 나누다
④ 홍현주, 박시수 등과의 교유
⑤ 선(禪)과 시(詩)와 차(茶)는 같은 맛이오!
⑥ 자하 선생이 즐긴 다양한 차
3. 수품과 탕품
4. 중국 제일 시인이 동파라면, 조선 제일은 신자하!

39. 존재存齋박윤묵朴允黙
죽은 자야 본래 애처롭다지만 살아있는 자도 슬프기 그지없구려
1. 여항인(閭巷人)의 대표 인물, 존재 박윤묵
2. 기다려 주구려, 내생의 인연 맺을 날 멀지 않았으니!
① ‘계(癸)’자 해를 제일 싫어하고 애통해 하는 이유
② 위독 하자 되레 살려고 연연한 당신
3. 평생 차와 술을 즐긴 존재 선생
① 병든 아내 차를 권하고, 숙직하며 차 끓이고 품평하네
② 육우·혜산천·건주차, 중국차도 해박하고
③ 칠송정에서 차 끓이고 시와 바둑으로 신선놀음
④ 하루라도 술 없으면 견딜 수 없는 주당

40. 완당阮堂 김정희金正喜
천리 밖에서 나 죽고 그대 살아서 이 마음 이 설움을 알게 했으면!
1. 해동 제일의 천재
2. 천재는 피나는 노력으로 만들어진다. 만들어진다
3. 천재의 음식 집착
4. 유독 부인만은 죽어서는 안 될 처지가 아니겠소!
5. 천재의 집착, 쌍계차는 승설차보다 향기롭구나!
6. 천재의 집착, 동갑내기 다성 초의와 차로 맺은 수어지교
7. 속세에 시달린 평생의 반려, 차
① 젊은 진사 시절
② 제주 유배 시절
③ 북청 유배 시절
④ 말년의 과천 시절
⑤ 불교 시와 부처에 미혹된 추사(?)
⑥ 5백 년에 다시 오신 분!

41. 침계梣溪 윤정현尹定鉉
외론 무덤 10년, 난교(鸞膠)로도 우리 금슬은 이을 수 없네!
1. 눈바람으로 추운 무덤을 위로할 수 있다면
2. “나 다시 새 장가가려오!”
3. 차 마시다 향 사르니, 웃음소리 어지럽다
4. 황초령비와 사제의 정

42. 창강滄江 김택영金澤榮
열한 살에 시집와서 20년, 병들어 나에게, “가련하다고 하지 마세요.”
1. 창강 김택영
2. 부인 개성왕씨의 도망시
3. 계실 숙부인 전씨 묘지
4. 71세에 종형의 손자를 양손자로 들이다
5. 중국 망명기의 후견인, 장찰과 장건형제
6. 중국의 문인들과 차와 술을 나누며 교유하다
① 20대에 고려 역사와 차를 잘 알고 있었다
② 꿈에 그리던 중국 항주의 서호에서 술과 차향에 젖다
③ 제자가 되겠다는 주증금과 차로 나눈 사귐
7. 안중근 의사를 기리다
① 나라의 원수를 갚다
② <오호부(嗚呼賦)>
③ 안중근 의사의 <장부가(丈夫歌)>
④ 안중근 의사의 최후를 기록 신문기사들
8. 김택영, 화개를 찾고 쌍계사에서 고운을 기리다

43. 명미당明美堂 이건창李建昌
빛나는 눈동자가 보이는 듯, 다정스러운 말소리 들리는 듯
1. 부인 중에서 가장 불행한 사람이 바로 나의 처
2. 당신 없는 집, 살아도 손님 같구나!
3. 다정했던 차이야기
① 칠분은 정이라오
② 다조(茶)와 항상 함께한다오
③ 차로 분수를 지킨다오
④ 대원군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⑤ 차 끓여 부처님께 올리고
⑥ 차 마시니 마음 맞는 친구 같네
⑦ 매천이 사는 구례는 차가 풍부해
⑧ 차죽헌(借竹軒)의 다구(茶具)들도 빌린 것
4. 황현의 이건창 제문

조선의 여인 대접
1. 합궁도 못 해본 처녀 과부
2. 마당과부 김정녀
3. 애절한 여인, 이응태의 부인
4. 실패한 여인, 풍양조씨
5. 허망한 여인, 엄재희의 아내 박씨
6. 할머니와 어머니, 부인은 욕보지 않으려면 스스로 죽으시오!
7. 참혹한 여인, 향랑
8. 복수한 여인, 김은애
9. 당당한 여인, 송덕봉
10. 현명한 여인, 안동장씨
① 생애
② 현모양처
③ 《음식디미방》
④ 성공한 삶, 그리고
11. 봉황을 만난 갈가마귀, 홍임모(紅任母) 정씨
① 홍임 모(母)는 누구인가?
② 〈남당사(南塘詞)〉
12. 열녀인가 살인자인가
① 이생의 아내, 열녀 임씨
② 제천의 열녀
13. 부도를 손상시킨 세 여인
① 홍태손의 셋째 아내 신씨
② 허지의 아내 유씨
③ 이지의 후처 김씨
14. 조선 여인의 한과 떠도는 이야기
① 삼종지도(三從之道)와 칠거지악(七去之惡)
② 첩을 두지 못하게 하는 법
③ 정려문(旌閭門)의 허실
15. 청상이 된 딸 시집 보내기
① 재상이 가난한 무관에게 부탁하다
② 태학귀로(太學歸路)
16. 열녀 옹주와 열녀 기생
① 조선 왕실 최초의 열녀, 화순옹주
② 최경창과 기생 홍랑의 사랑

《차인의 사랑》 3 끝에_ 퇴계 선생의 사랑
1. 조선의 혼인 서약
2. 남편과 아내가 있은 뒤에야
3. 퇴계의 여인들

19. 용주龍洲 조경趙絅
백년해로 약속 하루아침에 무너지고 술 한잔도 올리지 못하니

1. 정은 끝이 없는데 글로 심정을 다 표현할 수 없으니
2. 사당에서 차례(茶禮) 지내고, 국화 꺾어 어머니 장수를 비네
① 차례 지내고 국화 꺾어 어머니 장수를 비네
② 햇차는 향기로운 술에 필적하고
③ 일본에 사신 가서 차를 마시다

20. 낙전당樂全堂 신익성申翊聖
잠은 오지 않고 외로운 등잔불은 떠도는 넋을 짝하네

1. 네 가지 향기 그윽이 퍼뜨리고
2. 차(茶) 마시고 책 읽으며 썰렁한 삶을 마치려 하오!
3. 죽고 사는 것은 담담하니 차(茶) 맛이 좋구나!
① 벼슬은 근심을 줄이지 못하네!
② 취한 후에는 차(茶)를 마신다네
③ 죽고 사는 것 담담하니 차 맛이 좋구나!
④ 좌망(坐忘)을 배우니 차(茶)와 약이 반려라오
⑤ 차(茶) 끓이고 적멸과 통하네
⑥ 차(茶) 마시니 참선도 필요 없고 좌망이 그저 이루어지네!
⑦ 우통수(于同水) 물맛을 감별 하니…
⑧ 삭망(朔望)에 고인에게 차(茶) 올리는 것은 우리 풍속

21. 백주白洲 이명한李明漢
천년 후에라도 이 이별은 멀지 않으리이다!

1. 3대 열녀 집안
2. 조선 최고의 시조시인
3. 술 대신 차(茶)를 마시려 하네!
① 한 사발 햇차는 선장(仙漿)보다 낫다네!
② 술 대신 차(茶)를 마시려 하니, 누가 꽃보다 기생이 아름답다고 하는가?
③ 《기보(碁譜)》를 평하고 《다경(茶經)》을 주석한다네

22.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말로 다 할 수 없는 나의 슬픈 정성을 살펴주소서

1. 죽은 아내 이씨에 올리는 제문
2. 후인의 평가
3. 예식에 사용 된 차(茶)
① 병들어 약과 술로 차(茶)와 밥을 대신한다네
② 제사에서의 차(茶)와 숭늉
③ 혼례(婚禮) 때 낭자 집에서 폐백을 받는 의식
④ 왕세자에게 학문을 강론하는 예
⑤ 신도(神茶), 울루(鬱壘)의 도판(桃板)을 금하다
⑥ 설날의 민속
4. 우암의 초상화와 <자경문(自警文)>

23. 송곡松谷 이서우李瑞雨
꿈속에서 아내 만나려면 오동은 심지 말아야!

1. <부인제문(祭夫人文)>과 도망시(悼亡詩)
2. 이서우의 행적
3. 이서우의 차생활
① 차 끓이는 흥취에 대한 과제(課題)
② 북쪽 유배지에서의 차
③ 학질에 걸려 더운 방에서 차 마시고

24. 식산息山 이만부李萬敷
함께한 30년은 꿈처럼 빠르고 죽은 지 3개월은 천년처럼 아득하네

1. 과거를 포기한 성리학자
2. “부부 된 지 9년에 함께 산 건 고작 2, 3년이라오.”
3. “죽지 않으면 이 슬픔 길이 남을 텐데, 이를 어찌할까!”
4. 식산의 여성관(女性觀)
① 식산의 열부(烈婦)
② 식산의 <규훈(閨訓)>
5. 지리산 차(茶)는 소정방((蘇定方)이 전래!
① 지리산 차(茶)의 소정방((蘇定方) 전래설
② 강릉 한송정은 화랑무리 술랑의 차유적지
③ 차의 쓰임과 차시
6. 운상원(雲上院)과 청학동(靑鶴洞)은 화개에 있다

25. 병계屛溪 윤봉구尹鳳九
하루도 건강한 날이 없고 병들자 1년도 못 되어 죽으니

1. 영조의 스승이었으나 60년을 임천에 은거한 병계
2. 여 선비 같은 그대, 울화로 죽고 눈도 못 감으니
3. 우울함과 근심은 차(茶)로 씻고
4. 금주령이 내려 차를 더 마시고
5. 생신다례? 선대부터 자냈다면 모셔도 무방하리!

26.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
철부지, 어머니 어디 갔느냐 물으니 눈물만 절로 흐르네

1. 아내 잃고 지은 <상도(傷悼)> 7수
2. 첫 부인 남씨와의 추억
3. 학사차(學士茶)를 얻어서 끓이네
① 육우의 《다경》을 바로 잡아야!
② 눈[雪]으로 학사차(學士茶)를 끓이네
③ 차(茶)로 자족하고 안락한 삶을 사네
④ 설날 묘지에서 차(茶)로 제사 지내다

27.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영원히 당신께 돌아가리다. 간장이 찢어지고 눈물이 흐르오

1. “위대하여라 삼연(三淵)선생이여!”
2. 당신 일은 끝났고, 돌아보면 자꾸 슬퍼진다오
3. 조선의 무릉도원, 화개동 유람에서 만난 도인(道人)
① 3월, 차를 따고 도인을 만나다
② 꽃비를 맞으며 무릉도원을 떠나다
4. 차(茶)의 명가(名家)
① 증조부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 1570〜1652)
② 부친 문곡(文谷) 김수항(金壽恒, 1629〜1689)
5. 밥 먹고는 차(茶) 마시고 밭으로 간다네
① 여자의 직무는 음식과 약, 차를 달이기
② 물맛 품평 : “옥계수(玉溪水)는 상품(上品)”
③ 술은 연꽃 앞에서 마시고 차는 대숲에서 끓인다
④ 즐거운 시회에 차를 끓이는 다동(茶童)
⑤ 술 마시고 차 마시고
⑥ 불탑에서 차 마시니 가슴에 불평이 없다네
⑦ 40년 전의 사미승을 만나 차 대접을 받다
⑧ 차 맛은 처음은 쓰고 뒤에는 달다네
⑨ 차(茶)로 살아가는 이치를 가르치다

28. 희암希菴 채팽윤蔡彭胤
산 높다 하나 끝없는 내 슬픔만 못하고, 물 깊다 하나 마르지 않는 내 눈물만 못 할 것이오

1. 잔 올리니 목이 메고 강 같은 눈물만 철철
2. 차향(茶香)에 반은 취하고 반은 깨어
① 새벽에 마시는 차 맛은 더욱 좋구나!
② 차향에 반은 취하고 반은 깨어
③ 차(茶) 사적과 민속에 관한 기록들

29.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
죽어 뼈가 재 될지라도 이 한은 결코 사라지지 않으리

1. 유배 23년, 외딴섬에서 생을 마친 한 많은 일생
2. 두 한이 오래토록 흩어지지 않으면 다시 만나리다!
3. 조선의 글씨체(東國眞體)를 완성하다
① 조선 제일의 서예가
② 완당 선생의 평가
③ 다산 선생의 평가
4. 조선 문인들의 사귐과 차(茶)생활

30. 석북石北 신광수申光洙
아이들은 그대로 인데 이제 반겨줄 아내는 없구나!

1. 차(茶)를 선물한 옛 친구의 정에 흠뻑 젖어
① 평양감사 부임 축하연에 차(茶)를 올리다
② 떠도는 삶의 반려, 차(茶)
③ 청차(靑茶)를 달이니 꽃에서 새가 노래하네
④ 차를 선물한 옛 친구의 정을 느끼고
⑤ 새벽 차 한 잔에 몸은 어린아이가 되고
⑥ 차(茶)가 흉년이라 차 15잎에 10전이라네
2. 함께한 가난도 한스러운데, 반겨줄 아내는 이제 없구나!

31.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
효성스럽고 신중하고 부지런하고 검소하고, 아울러 단아하고 맑고 겸손하였다!

1. <숙인 창녕성씨를 제사하는 글>
2. 순암의 여성관
3. 차(茶)와 담배의 폐해
4. 수다설(漱茶說)
5. 《동사강목》, 후대의 논쟁을 해결하다!

32.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
오늘 나의 슬픔은 그대 슬픔의 만 배도 더 된다오!

1. 예원(藝苑)의 총수이자 삼세기영지가(三世耆英之家)
2. 그대 가난 때문에 병들고, 병 때문에 죽으니…
3. 청 황제의 천수연(千叟宴)에서 낙차(酪茶)를 마시다
4. 차를 끓이고 술을 데우는 다목적 풍로를 개발하다
① 차 끓이는 풍로를 항상 곁에 두고
② 차를 즐기고 시름은 연차(烟茶)로 달래고

33. 이계耳溪 홍양호洪良浩
오복을 갖추고 금슬 좋게 해로하고 자손마저 슬하에 가득하니

1. 회혼을 두 해 남기고 먼저 가다니
2. 다투어 손가락을 자르고 허벅지 살을 베어서
3. 차는 깨달음의 맛이요
① 차는 깨달음의 맛
② 노승은 옛 친구에게 차를 권하고
③ 중국에서 받은 호로 찻주전자와 찻사발
④ 한식날 시사(詩社)에서 차를 달이다

34. 번암樊巖 채제공蔡濟恭
우리, 다음 만남은 무궁할 것이오!

1. “누가 황천에 전해주시오”
① 영원한 이별
② 그리움
③ 측은함
④ 35년의 약속
⑤ 희망, 재회(?)
2. 술 취하고 밥 먹은 다음은 차(茶) 차례라오
① 우리 집안 가법(家法)엔 환갑다례[生辰茶禮]는 없다
② 시 쓰려 찻잔 가까이하고, 차엔 참다운 즐거움 있다네
③ 다방(茶坊)과 소녀기생 다동(茶童)
④ 취하고 배부르면 다음은 차(茶) 차례라오
⑤ 차 마시는 즐거움에 신선이나 될까?

35. 정헌靜軒 조정철趙貞喆
다하지 못한 백년 인연, 어찌 그대 빈 방엘 들어가리오?

1. 얼음같이 맑고 옥 같이 깨끗한 당신
2. 사지(死地)에서 만난 의녀(義女) 홍랑(洪娘)
① 3대 4명이 겪은 비참한 제주 유배
② 홍랑과의 사랑, 그리고 죽음
③ 31년 만의 사랑과 보은
3. 시주차(詩酒茶)로 견딘 구덩이에 빠진 세월
① 새해엔 산초술과 도소주를 마시고
② 추운 날 오늘도 무사했으니 손수 차(茶)를 달인다

부록
연암과 다산의 열부관

1. 연암의 열녀 관련 기록
① <열녀 함양박씨전, 병서>
② <열녀 함양 박씨전>
③ <열부 이씨 정려 음기(烈婦李氏旌閭陰記)
④ 김국보(金國輔)의 아내 밀양박씨- 박경유의 누이
⑤ 박경유(朴景兪)의 아내 남양이씨
⑥ 연암을 통해 본 조선의 여성
2. 다산의 <열부론(烈婦論)>

저자소개

김동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리산 화개동 10代 토박이 쌍계명차를 설립 운영 중 화개면민 감사패, 군수표창, 하동군민상 수상 도지사, 농림식품부장관, 보사부장관 표창 대통령 표창 _ 대한민국 식품명인 제28호(우전차 명인) 올해의 차인상 수상 _ 국제명차품평대회에서 최고 금상 다수 수상 저서 《화개동의 향기》, 《좋은 차는 아름다운 사람 같아라》, 《진감선사와 최치원》, 《진감선사 비명록》, 화개면지 《花開》(상・하), 《김동곤 명인의 화개차 이야기, 王의 茶》, 《그 산에 차가 있었네》, 《다담설화》, 《아! 茶山, 다산의 茶와 사랑》, 《화개, 지명 이야기》, 《화개, 茶・道・樂의 성지》, 《다시 茶始培地 논쟁에 대하여》, 《하동 화개동천과 최치원》, 《19세기 이후의 하동화개차》 , 《서산 청허당 휴정대사》, 《차인의 사랑 1~3》 외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