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신라/통일신라
· ISBN : 9788967450939
· 쪽수 : 608쪽
· 출판일 : 2019-11-25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아름다운 화개동천과 신선 최치원
제Ⅰ장 고운 최치원의 생애
1. 『삼국사기』의 최치원 열전
2. 고운의 자전(自傳)으로 살펴본 중국 유학의 이유
제Ⅱ장 고운의 은둔과 화개에 남긴 자취
1. 고운의 은둔
2. 화개에 남긴 신선 고운의 자취
제Ⅲ장 화개 단천의 고운 득선처
1. 득선처 바위는 서산대사의 유적인가?
2. 왜, 전주 최씨 최흥명(崔興命)인가?
3. 서산이 신불승(神佛僧)?
4. 서산이 당취(黨聚)의 우두머리?
5. 조선의 서산 평가
6. 토박이 주민들의 득선처(得仙處) 바위 해석
제Ⅳ장 고운의 삼교회통과 동인사상
1. 고운과 유교
2. 고운과 도교
3. 고운과 불교
4. 고운의 3교 회통사상
5. 고운의 동인사상
6. 고운의 풍류도
7. 효자 고운은 차인
8.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
제Ⅴ장 후대의 고운 평가
1. 극과 극의 평가를 받다
2. 계속되는 유자들의 비판
3. 격렬한 비판과 옹호
4. 용납되지 못함은 동국의 수치
5. 「시조 고운 최치원 선생(始祖孤雲崔致遠先生) 바로보기」
6. 현 중국의 고운 평가
7. 중국 최초의 외국인 기념관
8. 고운 후손을 우대하라
9. 유람록 속의 고운
제Ⅵ장 『쌍녀분기(雙女墳記)』와 『최고운전(崔孤雲傳)』
1. 「쌍녀분기」와 「최고운전」
2. 고운의 「쌍녀분기」
3. 조선시대 소설 「최고운전(崔孤雲傳)」
4. 『최고운 강산곡(江山曲)』
제Ⅶ장 고운과 역사문화 명소 마케팅
1. 유랑 루트의 거점, 부산 해운대
2. 고운의 유적지를 인문관광의 자원으로
3. 지역별 최치원 유적과 선양 사업들
4. 하동군 화개는 무엇을 하고 있나?
5. 고운의 고향과 묘의 위치는 어디인가?
제Ⅷ장 제언_하동 화개의 고운 최치원 선양사업
1. 대규모 건축물이나 인위적 시설은 그만두자!
2. 화개동천의 아름다운 자연을 활용하자!
3. 역사에 문화(인문)을 더하자!
4. 고운 최치원 선양사업의 나아갈 방향은?
제Ⅸ장 국보 제47호, 진감선사 비문
1. 진감선사 비문과 글씨에 대한 평
2. 「진감선사 비문」의 원문과 번역문
3. 번역문의 주(註)
4. 쌍계사 보관 목판본의 판각기
부록 : 최준옥 판본 「진감선사비문」의 영인과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