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생활요리
· ISBN : 9788967540067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3-01-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기 전에 ㅣ 이 책을 읽는 방법
*생선.해산물
생선.해산물의 역사
생선.해산물의 영양 성분
흰살 생선
도미 / 조기 / 민어 / 넙치 / 가자미 / 대구 / 명태 / 갈치 / 복어 / 아귀 / 농어 / 숭어 / 병어 / 임연수어 / 도루묵 / 서대 / 양태 / 홍어 / 쥐치
붉은살 생선
고등어 / 꽁치 / 삼치 / 멸치 / 방어 / 전어 / 청어 / 정어리 / 연어 / 다랑어
민물 생선
미꾸라지 / 잉어 / 붕어 / 가물치 / 뱀장어 / 메기 / 은어 / 쏘가리 / 빙어 / 뱅어
연체류 해산물
오징어 / 문어 / 낙지 / 주꾸미 / 전복 / 소라 / 홍합 / 굴 / 대합 / 모시조개 / 바지락 / 꼬막 / 피조개 / 재첩 / 가리비 / 키조개
갑각류 해산물
새우 / 게
그 외 해산물
멍게 / 미더덕 / 성게 / 해삼
해조류
김 / 미역 / 다시마 / 파래 / 매생이
*부록
생선.해산물을 이용한 가공식품
생선.해산물 Q&A
신선한 생선인지 아닌지 어떻게 구별하나? / 자연산과 양식한 생선은 어떻게 다른가? / 등푸른 생선과 흰살 생선의 영양가 차이는? / 생선을 소금물에 씻거나 소금을 뿌리는 이유는? / 생선과 궁합이 맞는 식품은?
생선.해산물을 더욱 맛있게 즐기자!
조기찌개 / 참치회덮밥 / 가자미 양념튀김 / 꽁치 김밥 / 무 연어 스테이크 / 봉골레 파스타 / 문어 미역 초회 / 해산물 빠에야
참고문헌 ㅣ 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고대 벽화를 살펴보면 조개 무덤이나 각종 해산물 벽화 등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는 육지 동물에 비해 비교적 손쉽게 잡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예로부터 풍부한 수산자원을 활용한 조리법이 발달했다. 그 기록은 조선 중기 이후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생선과 관련된 문화는 조선 중기 이전에 형성되었을 것으로 짐작한다.
대부분의 생선 근육은 양질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백가는 육류와 거의 같은 양을 가지고 있다. 식품 단백질의 영양가는 단백질 속에 함유되어 있는 필수아미노산의 종류와 양에 의해 결정되므로 단백질 섭취에 있어서 아미노산의 총 섭취량 이외에 구성 아미노산의 양적인 균형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