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생활요리
· ISBN : 9788967540326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14-03-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기 전에 2
이 책을 읽는 방법 7
김치 이야기
김치의 역사 10
김치의 발달 과정 11
김치의 영양과 효능 16
김치 재료 고르기 22
김치 담그기의 기본 32
김치의 종류 36
김치 맛내기 비결 44
봄.여름 김치
얼갈이알배추김치 48
깻잎김치 50
미나리김치 52
나박김치 54
고추소박이 56
가지소박이 58
오이소박이 60
오이소박이물김치 62
닭오이송송이 64
고구마줄기김치 66
양배추오이김치 68
양배추깻잎김치 70
열무김치 72
열무얼갈이김치 74
통파프리카김치 76
가을.겨울 김치
서울.경기식 배추김치 80
전라도식 배추김치 82
전라반지 84
백김치 86
장김치 88
무보쌈김치 90
비늘김치 92
동치미 94
무청김치 96
쪽파김치 98
고들빼기김치 100
고춧잎김치 102
호박김치 104
갓김치 106
총각김치 108
굴깍두기 110
전복섞박지 112
오징어섞박지 114
생조기포기김치 116
해물보김치 118
전오통무김치 120
파래김치 122
별미 김치
우엉김치 126
수삼김치 128
수삼물김치 130
더덕채말이 132
더덕물김치 134
양파소박이 136
갓쌈김치 138
콩나물김치 140
호박고구마깍두기 142
고구마말랭이김치 144
꼴두기무말랭이김치 146
사과말랭이김치 148
파인애플김치 150
석류김치 152
톳김치 154
전복물김치 156
겉절이.즉석 김치
배추겉절이 160
부추수삼겉절이 161
모듬채소겉절이 162
쑥같겉절이 163
연근꽃김치 164
무말이매실청김치 165
깻잎보쌈물김치 166
삼채생채 167
김치 요리
김치파스타 170
김치치즈감자구이 171
김치날치알쌈밥 172
김치햄버거그라탱 173
허브 맛 치킨과 백김치샐러드 174
김치리조또 175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류가 농경 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주식이 된 곡물의 소화를 쉽게 하고 균형 잡힌 식사를 위해 염분이 있는 채소류를 함께 먹었다. 그러나 무기질과 비타민의 중요한 공금원인 채소는 겨울에 생산할 수 없었다. 때문에 가을에 생산한 채소를 이듬해 봄까지 저장하는 방법으로 김치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김치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3,000년 전 기록된 중국 시집 <시경>에서 찾을 수 있다. ‘밭둑에 외가 열렸다. 외를 담아 저를 담자. 이것을 조상께 바쳐 수를 누리고 하늘의 복을 받자’는 문구를 보면 저가 곧 김치의 시조임을 알 수 있다.
김치는 배추, 무 등의 채소와 마늘, 고춧가루 등의 양념류, 젓갈 등 해산물에 의해 감칠맛이 나는 종합 식품 모음이다. 비타민, 단백질, 무기질 등 다양한 영양 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생리 활성적 기능을 지니는 우수한 건강 기능성 식품이다. 김치 1g에 5~10억 개 이상의 풍부한 유산균을 함유하고 있고, 정장 작용, 비타민B 등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여 신경통, 피로 회복, 정력 증강 등의 효능을 발휘한다. 김치의 재료가 되는 채소류는 혈액의 산성화를 막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로 노화를 예방하는 식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뿐 아니라 단백질의 흡수 촉진 및 병원균과 암에 대한 저항력 증가 등의 효능이 있어 자연 항암제 역할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