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88956812021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2-04-20
책 소개
목차
<시작하는 글 - 절기(節氣)와 시식(時食)>
우리나라 자연환경의 특성 / 전통 명절과 절기 풍속 / 시식(時食)과 절식(節食)
<1월 해솟음달>
∙음력 1월
음력 1월의 절기와 풍속 / 음력 1월의 절식
∙설날
설 세시풍속 / 설 절기 음식
∙입춘
입춘 세시풍속 / 입춘 절기 음식
∙정월대보름
정월대보름 세시풍속 / 정월대보름 절기 음식 / 정월대보름 금기 음식
<2월 시샘달>
∙음력 2월
음력 2월의 절기와 풍속
∙중화절
중화절 세시풍속 / 중화절 절기 음식
<3월 물오름달>
∙음력 3월
음력 3월의 절기와 풍속 / 음력 3월의 절식
∙삼짇날
삼짇날 세시풍속 / 삼짇날 절기 음식
<4월 잎새달>
∙음력 4월
음력 4월의 절기와 풍속 / 음력 4월의 절식
∙초파일
초파일 세시풍속 / 초파일 절기 음식
∙보릿고개
<5월 푸른달>
∙음력 5월
음력 5월의 절기와 풍속 / 음력 5월의 절식
∙단오
단오 세시풍속 / 단오 절기 음식
<6월 누리달>
∙음력 6월
음력 6월의 절기와 풍속
∙유두
유두 세시풍속 / 유두 절기 음식
∙삼복
삼복 절기 풍속 / 삼복 절기 음식
<7월 견우직녀달>
∙음력 7월
음력 7월의 절기와 풍속 / 음력 7월의 절식
∙칠석
칠석 세시풍속 / 칠석 절기 음식
∙백중
백중 세시풍속 / 백중 절기 음식
<8월 타오름달>
∙음력 8월
음력 8월의 절기와 풍속
∙추석
추석 세시풍속 / 추석 절기 음식
<9월 열매달>
∙음력 9월
음력 9월의 절기와 풍속
∙중양절
중양절 세시풍속 / 중양절 절기 음식
<10월 하늘연달>
∙상달(上月)
음력 10월(상달)의 절기와 세시풍속 / 음력 10월의 절기 음식
<11월 미틈달>
∙음력 11월
음력 11월의 절기와 풍속 / 음력 11월의 절식
∙동지
동지 세시풍속 / 동지 절기 음식
<12월 매듭달>
∙음력 12월
음력 12월의 절기와 풍속 / 음력 12월의 절식
∙섣달그믐
섣달그믐의 풍속 / 섣달그믐 절기 음식
<부록 시절 음식>
∙전통 떡
떡에 관한 속담 / 떡의 축원성 / 절기에 따른 떡과 음료 / 조리법에 따른 떡의 종류 / 상품화된 지역 특산 떡
∙전통차
차 / 화채
∙전통술
민속주 종류 / 술과 전통의식 / 술의 풍류 / 선조들의 음주 문화 / 술에 관한 에피소드
∙시어(時魚)
시어(時魚)의 특징과 관련 속담
저자소개
책속에서
‘가족’은 세상에서 가장 따뜻한 이름이며, 음식은 소중한 사람에게 건네는 정성이고 사랑이다. 가족과 함께 먹었던 음식은 세월이 흘러도 결코 잊히지 않는 맛으로 각인된다. 계절의 소박한 정감이 담겨 있던 그 음식은 때론 눈물로, 때론 그리움으로 삶의 상처를 위로한다. 음식은 단지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아닌 삶의 허기를 채우는 사랑의 양식인 까닭이다. _ 머리말
산채(山菜)는 일렀으니 들나물 캐어 먹세 / 고들바기 씀바귀요 소로장이 물쑥이라 / 달래김치 냉이국은 비위를 깨치나니 / 본초(本草)를 상고하여 약재를 캐오리라. (『농가월령가』 「이월령」)
계절은 시방 / 오십령(五十嶺) 고개를 막 들어선 아낙 같다 / 목숨을 태우는 열정조차 / 서늘한 연민이 스며 있는 // 첩첩 산들은 안개에 만취하여 / 풍경을 지운다 / 개미처럼 오르던 사람들 / 칡넝쿨처럼 뻗치던 우환들 // 산다는 것도 이런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