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67640187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13-04-24
목차
머리말
1부
고전문학의 문화콘텐츠화 양상 및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수업모형
1. 서언
2. 고전문학의 문화콘텐츠화 양상
1) 시가의 문화콘텐츠 양상
2) 서사물의 문화콘텐츠 양상
3. 고전문학의 콘텐츠화를 위한 수업모형
4. 결언
고전시가와 스토리텔링
1. 서언
2. 고전시가와 스토리텔링
1) <공무도하가>의 시놉시스 및 구성, 캐릭터
2) <제망매가>의 시놉시스 및 구성, 캐릭터
3) <서경별곡>의 시놉시스 및 구성, 캐릭터
3. 결언
<滿殿春別詞>의 스토리텔링화
1. 서언
2. 고전시가와 스토리텔링
1) <만전춘별사>의 구조 및 특성
2) <만전춘별사>의 표면적 의미 및 이면적 의미
3) <만전춘별사>의 시놉시스 및 구성, 캐릭터
3. 결언
허난설헌 윤희순의 현실 대응 방식 및 스토리텔링화
1. 서언
2. 시대적 배경 및 저항적 세계관
3. 세계와 자아와의 대결양상
1) 현실초월(仙界지향)-허난설헌
2) 현실타파(의병활동)-윤희순
4. 스토리텔링
1) 허난설헌의 스토리텔링
2) 윤희순의 스토리텔링
5. 결언
좌절과 소망의 미학 ―민족시인 심연수의 현대적 전승방안 및 콘텐츠화
1. 서언
2. 현대적 전승방안 및 콘텐츠화
1) 물리적 방안(유형)-심연수 체험하기(공간 마련)
2) 정신적 방안(무형)-심연수 만나기
3. 결언
재일동포 한국어 작가의 시조연구 및 문화콘텐츠 방안 ―김리박의 ??한길??을 중심으로
1. 서언
2. 김리박 소개 및 시조집 구성의 특징
3. 김리박 시조의 미학
1) 서사지향
2) 토착어 구사 및 다양한 형식 시험
4. 문화콘텐츠 방안 제시
5. 결언
2부
전통 武藝 양상의 현대적 변용 및 콘텐츠화 방안
1. 서언
2. 전통무예 양상 및 기능
3. 현대적 변용 및 콘텐츠화 방안
4. 결언
지역 설화의 의미, 특성 및 스토리텔링화 ―태백지역을 중심으로
1. 서언-역사의 또 다른 언술 방식, 설화
2. 태백 설화의 특징 및 의미
1) 겨울(남신)과 봄(여신)의 싸움
2) 풍요 여신 부재
3) 풍요 여신의 복귀
3. 결어-태백 설화의 스토리텔링 가능성
書와 畵에 투영된 북한강의 특성 및 물 원형상징과의 상관성
1. 서언
2. 서, 화에 투영된 북한강 특성 및 민속
1) 서경 및 관조 공간
2) 생산 공간
3) 이동(운송) 공간
4) 의식 및 제의 공간
5) 놀이 공간
3. 결언
북한강 스토리텔링 및 콘텐츠화 방안
1. 북한강 스토리텔링의 전제 조건 및 탄생 배경
1) 북한강의 母川(원류)은 금강산이다
2) 북한강 지역의 설화나 시
2. 북한강의 龍魚 스토리텔링
3. 지역별 특징
1) 화천지역의 龍魚는 청룡(청룡어의 나라)으로 상징
2) 춘천 지역의 북한강 龍魚는 황룡 =황룡(황룡어의 나라)으로 상징
3) 강촌지역의 북한강 龍魚는 백룡으로 상징
4. 북한강 스토리텔링 종합계획도
5. 북한강 스토리텔링의 활용방안
용산공원 스토리텔링
1. 용산공원 입지조건 및 스토리텔링의 기획의도
2. 스토리텔링의 설화적 배경
1) 한강의 근원설화
3. 용산 스토리텔링 구성 부분(배경 및 인물소개)
4. 용산 지킴이 밝강이(용이)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문화콘텐츠’는 어떻게 정의되어서 수용되고 있는 것일까? 문화콘텐츠란 용어는 앞에서 언급했듯이 전자문명사회가 도래하면서 부각된 상업적 용어이다. 원래 콘텐츠란 용어는 서적이나 논문 등의 내용이나 목차를 일컫는 말이었지만, 현재는 각종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매매 또는 교환되는 디지털화된 정보의 통칭, 예를 들어 인터넷이나 PC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정보 내용물, 비디오테이프, CD에 담긴 영화나 음악,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소프트웨어 등을 모두 지칭한다. 결국, ‘문화콘텐츠’란 무형 유형의 문화, 문학적 정신유산인 작품을 대중 매체를 이용해서 상품화, 산업화시켜 대중에게 널리 보급하고, 이 결과 경제적 이익을 수반하게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고전문학의 문화콘텐츠화 양상 및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수업모형
이런 점을 준거로 할 때, 현재 우리는 이미 우리의 많은 고전문학 유산이 문화콘텐츠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이미 콘텐츠화되고 있는 국문학 분야의 문화콘텐츠화된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이 선택된 이유를 규명하며, 나아가서는 실제로 대학 강의에 어떻게 접목하거나 습융시킬 수 있는가의 방안을 마련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시도는 인문학 교육이 원래 지니는 정신적인 측면과 현대의 산업사회가 요구하는 덕목을 잘 교차시켜서 대학에서의 국문학의 위기를 극복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하나의 대책 및 방안의 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