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젊은이가 읽을 한국중고문학사

젊은이가 읽을 한국중고문학사

최강현 (지은이)
지식과교양(지교)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600원 -10% 0원
1,200원
2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젊은이가 읽을 한국중고문학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젊은이가 읽을 한국중고문학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문학사/국문학개론
· ISBN : 9788967640248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3-06-21

책 소개

우리의 문학사에서 소홀하게 다루었던 신라 고구려 백제의 삼국시대 세 나라의 문학 이외에 가야(伽倻) 탐라(耽羅)문학을 포함하여 5국 문학사를 다루었고, 신라가 이른바 삼국통일을 이룬 뒤에는 고구려 영토에 들어선 새 나라 발해국(渤海國)의 문학을 포함시켰다.

목차

책머리에 5

6. 한국 여섯째시대 오국문학(五國文學)
6. 1. 신라(新羅)의 문학(文學) 19
6. 1. 1. 이름만 전하는 노래들 19
6. 1. 1. 1. 두레노래[兜率歌] 19
6. 1. 1. 2. 뫼소노래[會蘇曲] 21
6. 1. 1. 3. 물계자노래[勿稽子歌] 23
6. 1. 1. 4. 우식곡(憂息曲) 25
6. 1. 1. 5. 실혜가(實兮歌) 26
6. 1. 1. 6. 해론가(奚論歌) 28
6. 1. 1. 7. 양산가(陽山歌) 29
6. 1. 1. 8. 무애가(無?歌) 30
6. 1. 2. 온빈글노래[完全借字歌] 31
6. 1. 2. 1. 임 보내는 노래[送郞歌] 35
6. 1. 2. 2. 파랑새노래[靑鳥歌] 37
6. 1. 2. 3. 살별노래[彗星歌] 39
6. 1. 2. 4. 바람노래[風謠] 42
6. 1. 3. 신라의 이야기문학 46
6. 1. 3. 1. 신라 건국의 이야기 47
6. 1. 3. 2. 신라 이성(二聖) 이야기 49
6. 1. 3. 3. 석탈해(昔脫解) 이야기 50
6. 1. 3. 4. 김알지(金閼智) 이야기 53
6. 1. 3. 5. 연오랑(延烏郞) 세오녀(細烏女) 54
6. 1. 3. 6. 석우로(昔于老) 56
6. 1. 3. 7. 거문고집을 쏘아라[射琴匣] 58
6. 1. 3. 8. 지증왕의 천생배필 60
6. 1. 3. 9. 도화녀(桃花女) 62
6. 1. 3. 10. 문희의 꿈사기[文姬買夢] 65
6. 1. 4. 신라의 뜻글문학[韓?漢文學] 68
6. 1. 4. 1. 뜻글시[韓?漢詩]와 뒤친 노래[韓?漢譯歌] 69
6. 1. 4. 1. 1. 박제상(朴堤上)의 징심헌 (澄心軒) 69
6. 1. 4. 1. 2. 비형랑가(鼻荊郞歌) 70
6. 1. 4. 1. 3. 해가(海歌) 72
6. 1. 4. 1. 4. 불끄기노래[鎭火災詞] 75
6. 1. 4. 1. 5. 자루 빠진 도끼노래[沒柯斧歌] 76
6. 1. 4. 1. 6. 의상조사 법성게(義湘祖師法性偈) 79
6. 1. 4. 2. 비지문(碑誌文) 81
6. 1. 4. 2. 1. 박제상(朴堤上)의 부도지(符都誌) 81
6. 1. 4. 2. 2. 단양 적성 신라비(丹陽赤城新羅碑) 83
6. 1. 4. 2. 3. 임신서기(壬申誓記) 86
6. 1. 4. 3. 서발문(序跋文) 87
6. 1. 4. 3. 1. 법화경종요서(法華經宗要序) 87
6. 1. 4. 3. 2. 화랑세기서(花郞世紀序) 89
6. 1. 4. 3. 3. 울주 천전리 서석문(蔚州川前里書石文) 91
6. 1. 4. 4. 주의문(奏議文) 93
6. 1. 4. 4. 1. 청개국왕호(請改國王號) 94
6. 1. 4. 4. 2. 상진평왕서(上眞平王書) 95
6. 1. 5. 신라의 종교문학(宗敎文學) 96
6. 1. 5. 1. 신라의 무속문학(巫俗文學) 97
6. 1. 5. 2. 도선교 문학(道仙敎文學) 98

6. 1. 5. 3. 신라의 불교문학(佛敎文學) 100
6. 1. 5. 3. 1. 원측(圓測)의 선시(禪詩) 101
6. 1. 5. 3. 2. 원광(圓光)의 오계(五戒) 102

6. 2. 고구려(高句麗)의 문학(文學) 106
6. 2. 1. 시가문학(詩歌文學) 108
6. 2. 1. 1. 황조가(黃鳥歌) 108
6. 2. 1. 2. 이름만 전하는 노래들 112
6. 2. 1. 2. 1. 내원성(來遠城) 112
6. 2. 1. 2. 2. 연양(延陽) 113
6. 2. 1. 2. 3. 명주가(溟州歌) 114
6. 2. 2. 고구려의 이야기 문학 116
6. 2. 2. 1. 고구려의 건국 이야기 116
6. 2. 2. 2. 유리(類利) 소년 이야기 120
6. 2. 2. 3. 대무신왕(大武神王) 이야기 122
6. 2. 2. 4. 동천왕(東川王)의 출생담(出生談) 125
6. 2. 2. 5. 미천왕(美川王)의 이야기 128
6. 2. 2. 6. 을파소(乙巴素)의 이야기 130
6. 2. 2. 7. 거북이와 토끼 이야기[龜兎之說] 133
6. 2. 2. 8. 온달(溫達)의 이야기 138
6. 2. 3. 고구려의 뜻글문학[韓?漢文學] 141
6. 2. 3. 1. 뜻글시[韓?漢詩] 143
6. 2. 3. 1. 1. 우중문에게 줌[與于仲文] 143
6. 2. 3. 1. 2. 인삼을 기림[人蔘讚] 144
6. 2. 3. 1. 3. 고석을 읊음[詠孤石] 145
6. 2. 3. 2. 비지문(碑誌文) 145
6. 2. 3. 2. 1. 점제현 신사비(?蟬縣神祀碑) 146
6. 2. 3. 2. 2. 국강상 광개토경 호태왕비(國岡上廣開土境好太王碑) 147
6. 2. 3. 2. 3. 중원 고려비(中原高麗碑) 150
6. 2. 3. 2. 4. 태천 마애 석각문(泰川磨崖石刻文) 153
6. 2. 3. 3. 고구려의 종교문학(宗敎文學) 153

6. 3. 백제문학(百濟文學) 155
6. 3. 1. 이름만 전하는 노래들 161
6. 3. 1. 1. 선운산(禪雲山) 161
6. 3. 1. 2. 무등산(無等山) 162
6. 3. 1. 3. 방등산(方等山) 162
6. 3. 1. 4. 정읍(井邑) 163
6. 3. 1. 5. 지리산(智異山) 164
6. 3. 1. 6. 산유화(山有花) 165
6. 3. 2. 백제의 온빈글노래[完全借字歌] 마통노래[薯童謠] 167
6. 3. 3. 정읍사(井邑詞) 175
6. 3. 4. 백제의 이야기 문학 178
6. 3. 4. 1. 백제의 건국 이야기 178
6. 3. 4. 2. 도미(都彌)의 아내 180
6. 3. 5. 백제의 뜻글문학[韓?漢文學] 182
6. 3. 5. 1. 기문(記文) 184
6. 3. 5. 2. 비지문(碑誌文) 187
6. 3. 5. 3. 주의문(奏議文) 189
6. 3. 5. 3. 1. 백제가 위주께 고구려 토벌을 청한 표[百濟上魏主請伐高句麗表] 189
6. 3. 5. 3. 2. 옥중에서 의자왕께 올린글[獄中上義慈王書] 192
6. 3. 5. 4. 잠명(箴銘) 194
6. 3. 5. 4. 1. 백제 칠성검 명문(七星劍 銘文) 194
6. 3. 5. 3. 2. 백제 칠지도 명문(七支刀銘文) 195
6. 3. 5. 5. 백제의 종교문학(宗敎文學) 197

6. 4. 가야문학(伽倻文學) 198
6. 4. 1. 거북아 노래[龜旨歌] 198
6. 4. 2. 가야의 이야기 문학 204
6. 4. 2. 1. 어산불영(魚山佛影) 204
6. 4. 2. 2. 수로왕(首露王)과 탈해(脫解)의 싸움 206
6. 4. 2. 3. 허왕후(許王后) 이야기 207
6. 4. 2. 4. 황세장군과 여의낭자 210
6. 4. 2. 5. 거등왕과 초현대(招賢臺) 212
6. 4. 2. 6. 신왕(神王)과 용녀(傭女) 214
6. 4. 2. 7. 장유화상과 허보옥(許寶玉) 215
6. 4. 2. 8. 우륵(于勒)과 가야금(伽倻琴) 217
6. 4. 2. 9. 가야국 왕손(王孫)들 218

6. 5. 탐라국(耽羅國)의 문학 221
6. 5. 1. 무가(巫歌) 225
6. 5. 1. 1. 자충희(慈充嬉)의 기지(奇智) 226
6. 5. 1. 2. 자냥 노래 229
6. 5. 2. 탐라국 이야기 문학 230
6. 5. 2. 1. 천지개벽 이야기 230
6. 5. 2. 2. 개벽 무가(開闢巫歌) 231
6. 5. 2. 3. 삼성혈(三姓穴) 이야기 233


7. 한국 일곱째시대 남북조(南北朝)의 문학
7.1. 통일신라(統一新羅)의 문학 241
7. 1. 1. 이름만 전하는 노래 241
7. 1. 1. 1. 산화가(散花歌) 241
7. 1. 1. 2. 신공사뇌가(身空詞腦歌) 242
7. 1. 1. 3. 앵무가(鸚鵡歌) 243
7. 1. 2. 온빈글노래[完全借字歌] 244
7. 1. 2. 1. 극락 가 살고픈 노래[願往生歌] 244
7. 1. 2. 2. 죽지랑을 그린 노래 [慕竹旨郞歌] 247
7. 1. 2. 3. 꽃 바친 노래[獻花歌] 252
7. 1. 2. 4. 원가(怨歌) 254
7. 1. 2. 5. 제망매가(祭亡妹歌) 259
7. 1. 2. 6. 도솔가(兜率歌) 261
7. 1. 2. 7. 기파랑을 기린 노래[讚耆婆郞歌] 263
7. 1. 2. 8. 안민가(安民歌) 266
7. 1. 2. 9. 소경아이 눈뜬 노래 [盲兒得眼歌] 268
7. 1. 2. 10. 도둑 만난 노래[遇賊歌] 271
7. 1. 2. 11. 처용가(處容歌) 275
7. 1. 3. 통일신라의 이야기문학 282
7. 1. 3. 1. 만파식적(萬波息笛) 이야기 282
7. 1. 3. 2. 경덕왕(景德王) 이야기 285
7. 1. 3. 3. 손순(孫順)의 매아(埋兒) 286
7. 1. 3. 4. 경문왕의 귀는 길다 288
7. 1. 3. 5. 정수(正秀)스님의 착한 일 289
7. 1. 4. 뜻글문학[韓?漢文學] 290
7. 1. 4. 1. 뜻글시[韓?漢詩]와 뒤친 노래 291
7. 1. 4. 1. 1. 번화곡(繁花曲) 291
7. 1. 4. 1. 2. 사향(思鄕)1?2 293
7. 1. 4. 1. 3. 석상왜송(石上矮松) 295
7. 1. 4. 1. 4. 향악잡영(鄕樂雜詠) 296
7. 1. 4. 1. 5. 왕거인(王居仁)의 옥중시(獄中詩) 298
7. 1. 4. 2. 기행문(紀行文) 299
7. 1. 4. 3. 비지문(碑誌文) 302
7. 1. 4. 3. 1. 사산비명(四山碑銘) 302
7. 1. 4. 3. 2. 난랑비서(鸞郞碑序) 305
7. 1. 4. 4. 서간문(書簡文) 306
7. 1. 4. 4. 1. 각간 김충공께 올리는 글[上角干金忠恭書] 306
7. 1. 4. 4. 2. 황소에게 주는 격서[檄黃巢書] 308
7. 1. 4. 5. 잡기문(雜記文) 312
7. 1. 4. 5. 1. 보안남록이도기(補安南錄異圖記) 312
7. 1. 4. 5. 2. 신라 가야산 해인사 결계장기 (新羅伽倻山海印寺結界場記) 317
7. 1. 4. 6. 주의문(奏議文) 320
7. 1. 4. 6. 1. 풍왕서(諷王書) 320
7. 1. 4. 6. 2. 도둑떼 황소를 죽인 것을 하례하는 글[賀殺黃巢徒狀] 324
7. 1. 5. 통일신라의 종교문학(宗敎文學) 326
7. 1. 5. 1. 도교문학(道敎文學) 326
고운(孤雲)의 재사(齋詞) 327
7. 1. 5. 1. 1. 응천절(應天節) (2) 327
7. 1. 5. 1. 2. 응천절(應天節) (3) 328
7. 1. 5. 2. 불교문학(佛敎文學) 329

7. 2. 발해국(渤海國) 문학(文學) 332
7. 2. 1. 발해국의 이야기 문학 334
7. 2. 1. 1. 살다라(薩多羅) 이야기 336
7. 2. 1. 2. 홍라녀(紅羅女) 이야기 337
7. 2. 1. 3. 발해 여인(女人) 이야기 339
7. 2. 1. 4. 발해국의 황금소 이야기 339
7. 2. 2. 발해국의 뜻글문학[韓?漢文學] 341
7. 2. 2. 1. 뜻글시[韓?漢詩] 341
7. 2. 2. 1. 1. 양태사(楊泰師)의 시 342
7. 2. 2. 1. 1. 1. 밤에 다듬이소리를 들음[夜聽?衣] 342
7. 2. 2. 1. 1. 2. 기조신공이 눈을 읊은 시에 답함[奉和紀朝臣公詠雪] 344
7. 2. 2. 1. 2. 왕효렴(王孝廉)의 시 345
7. 2. 2. 1. 2. 1. 운주를 떠나며 두 칙사께 드리는 글 [出雲州書情寄兩勅使] 345
7. 2. 2. 1. 2. 2. 칙령을 받아 궁중 잔치에 배석함[奉勅陪內宴)] 346
7. 2. 2. 1. 2. 3. 비오는 봄날 정자 운으로 지음[春日對雨得情字] 346
7. 2. 2. 1. 2. 4. 변정에서 산꽃을 보며 시를 지어 두 영객사와 자삼에게 줌[在邊亭賦得山花戱寄兩領客使?滋三] 347
7. 2. 2. 1. 2. 5. 달을 보며 고향 생각에 시를 지어 판영객께 답함 [和坂領客對月思鄕之作] 347
7. 2. 2. 1. 3. 인정(仁貞)스님의 시 348
7. 2. 2. 1. 4. 정소(貞素)스님의 시 일본국 내공봉 대덕 영선화상을 곡함 [哭日本國內供奉大德靈仙和尙] 349
7. 2. 2. 2. 비지(碑誌) 정효공주묘지명병서(貞孝公主墓誌銘幷序) 350
7. 2. 2. 3. 서발(序跋) 357


꼬리말 360
참고문헌 363
찾아보기 371

저자소개

최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 제천 출신. 고려대학교 문학사, 문학석사, 문학박사. 중·고등학교 교사 10년 근속. 동국대학교, 연세대학교, 한국학 대학원 강사를 지냄. 홍익대학교 30년 근속. 현재 : 단제 숭모회장(檀帝崇慕會長), 한국기행문학연구소장. -논문 「新羅殊異傳小考」, 『국어국문학』 25호(국어국문학회, 4295) 외 110여 편. -단행본 『실업대학국어』, 고려인쇄주식회사 / 『北關路程錄』, 역주, 一志社 / 『韓國紀行文學硏究』, 一志社 / 『韓國古典隨筆講讀』, 高麗苑 / 『歌辭文學論』, 새문社 / 『?眞堂燕行日記』, 共譯, 國學資料院 / 『한국고전문학전집 가사』Ⅰ 역주, 고대문족문화연구소 / 『五友堂燕行錄』 역주, 國學資料院 / 『한국수필문학신강』, 서광학술자료사 / 『遲菴의 海山錄』, 역주, 國學資料院 / 『遲菴 李東沆의 紀行錄』, 역주, 國學資料院 / 『韓國文學의 考證的硏究』,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한국기행가사선집』 1, 국학자료원 / 『韓國紀行文學作品硏究』, 국학자료원 / 『조선시대 우리 어머니』, 박이정 / 『후송유의양유배기남해문견록』, 신성출판사 / 『후송유의양유배기북관노정록』, 신성출판사 / 『조선시대 포쇄일기』, 신성출판사 / 『조선외교관이 본 명치시대일본』, 신성출판사 / 『금강산! 불국인가 선계인가』, 신성출판사 / 『계해수로조천록』, 신성출판사 / 『갑자수로조천록』, 신성출판사 / 『금강산가사선집』 1, 신성출판사 / 『금강산가사선집』 2, 신성출판사 / 『한국기행가사연구』, 신성출판사 / 『매산 이하진의 금강도로기』, 신성출판사 / 『미수 허목의 기행문학』, 신성출판사 / 『금강산 한시선집』 1, 신성출판사 / 『금강산 한시선집』 2, 신성출판사 / 『간도 개척비사(江北日記)』, 신성출판사 / 『휴당(休堂)의 연행록』 1, 신성출판사 / 『휴당(休堂)의 연행록』 2, 신성출판사 / 『홍순학의 연행유기와 북원록』 공역, 신성출판사 / 『국역 을병조천록』, 국립중앙도서관 / 『명치시대 동경일기』, 서우얼출판사 /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보고사 / 『김삿갓을 닮지 말자!-바로잡는 한국상고문학사』, 지식과 교양 / 『학생을 위한 한국 고전수필문학』, 휴먼컬처아리랑 / 『새로 읽는 한국고전문학사(고대편)·(중고편)·(고려편)·(조선편)』, 명문당 외 다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