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88967640644
· 쪽수 : 558쪽
· 출판일 : 2016-10-05
책 소개
목차
제1부 『님의沈默』의 '나'
Ⅰ. 문제 제기
Ⅱ. '나'의 정체
1. '석가'적인 '나'
2. '칸트'적인 '나'
3. '장미화'적인 '나'
4. '마시니'적인 '나'
5. '어린양'적인 '나'
Ⅲ. '나'의 특성
1. 비극적 세계관의 극복
2. 로만적 아이러니의 극복
3. 동일성 추구
4. 양성적 '나'
Ⅳ. '나'의 문학사적 의의
제2부 『님의沈默』의 유식론적 접근
Ⅰ. 문제 제기
Ⅱ. 유식론의 대강
Ⅲ. 『님의沈默』의 유식론적 해석
1. 예비적 고찰
2. 자기훈습
3. 공업사상
Ⅳ. 정리 및 시사적 의의
제3부 Anima와 관음신앙
Ⅰ. Anima의 개념
Ⅱ. 한용운의 관음신앙
Ⅲ. 『님의沈默』의 '나'와 Anima와의 관계
Ⅳ. 작품 해석
Ⅴ. 맺는 말
제4부 『님의沈默』의 不二的 해석
Ⅰ. 머리말
Ⅱ. 『님의沈默』의 불이적 전개
1. '님'의 불이
2. '나'의 불이
3. '님'과 '나'의 불이
4. '리별'과 '만남'의 불이
Ⅲ. 맺는 말
제5부 『님의 沈默』의 情操 연구
Ι. 서론
1. 문제 제기
2. 연구사 개관
3. 연구방법 및 범위
Ⅱ. 시와 정조
1. 정조의 개념 및 특성
2. 정조의 유형
3. 동서양 시의 정조
4. 현대시의 정조
Ⅲ.『님의 沈黙』의 ‘나’의 정조 고찰
1. 예비적 고찰
2. ‘나’의 정조의 유형별 고찰
1) 지적 정조
2) 윤리적 정조
3) 미적 정조
4) 종교적 정조
3. ‘나’의 정조의 특성 고찰
1) 자주성
2) 미래지향성
3) 반복.순환성
4) 종합성
4. ‘나’의 정조의 유형 및 특성 일람표
5. ‘나’의 정조의 시사적 의의
Ⅳ. 결론
『님의沈默』깊게 읽기
『님의沈默』 전편 평설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