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과학일반
· ISBN : 9788968171024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14-01-15
책 소개
목차
1권
01 대학에 물리학을 확립하다
빌둥(Bildung)의 이상과 철학부의 임무
물리학 교수들의 임무와 시련
초기 교재를 통해 보는 물리학의 세계
02 1830년 이전의 독일 물리학자들
물리학 연구
물리학자의 경력과 물리학 이론
03 새로운 물리학의 진흥: 괴팅겐의 지자기 연구
지자기 연구에 대한 가우스의 관심
지자기에 관한 가우스의 물리적 원리
수학적 및 도구적 기술의 발전
지자기 관측의 조직화
전기 기술로 확장되다
04 대학 물리 교육 개혁: 1830년대와 1840년대의 세미나와 실험실의 발전
물리학을 위한 세미나
세미나의 용도
세미나의 운영
물리학을 위한 다른 새로운 제도
05 1840년대 “포겐도르프의 ≪물리학 연보≫”로 보는 물리 연구
외국에서 독일 물리학자들의 명성
≪물리학 연보≫에 나온 물리학자와 물리학
≪물리학 연보≫에 나온 과학의 공통적 토대
실험 연구
이론 연구
06 연결하는 법칙들: 1840년대의 경력과 개별 이론
괴팅겐과 라이프치히에서 이루어진 전기 동역학 연구
쾨니히스베르크와 베를린의 전기 연구자들
베를린 대학에서 이루어진 힘과 열 이론에 대한 연구
2권
07 물리학에 기여한 수학자들: 디리클레, 리만, 카를 노이만
물리학에서 가우스의 중요성
가우스의 후임자 디리클레
리만의 강의와 연구
카를 노이만의 강의와 연구
08 스위스와 오스트리아에서의 독일 물리학의 발전
스위스의 새로운 종합기술학교의 물리학
취리히의 이론 물리학자 클라우지우스
취리히의 실행 물리학자 클라우지우스
오스트리아에서 “과학적” 물리학자의 훈련
빈 대학의 이론 물리학자 볼츠만
09 독일 대학의 물리학: 1840년부터 1870년까지
“하나뿐인” 대학에서의 물리학
지방 대학의 물리학
노동의 분화
문제
10 베를린의 물리학: 중등 교육과의 관계
베를린 물리학과 베를린의 김나지움
베를린의 군사 교육 중의 물리학
베를린 기술학교의 물리학
1840년 이후의 베를린 물리학자들
11 뮌헨의 물리학: 기술과의 관계
옴, 바이에른으로 돌아오다
광학 기구 제조에서 프라운호퍼의 연구
뮌헨 대학과 바이에른 과학 아카데미의 물리학
뮌헨의 옴과 슈타인하일
옴 이후 뮌헨의 물리학
12 하이델베르크의 키르히호프와 헬름홀츠: 화학과 생리학에 대한 물리학의 관계
키르히호프 이전의 하이델베르크
하이델베르크의 키르히호프
키르히호프의 탄성과 전기 연구
키르히호프와 분젠: 스펙트럼(빛띠) 분석과 복사열 연구
역학과 키르히호프
하이델베르크의 헬름홀츠: 생리학 연구
헬름홀츠의 물리 연구
과학 간의 관계에 대한 헬름홀츠의 견해
3권
2부 이제는 막강해진 이론 물리학, 1870년~1925년
13 ≪물리학 연보≫와 다른 학술지의 물리 연구, 1869년부터 1871년까지
기고자와 내용
연구소 소장들의 연구
실험 연구
이론 연구
기타 학술지
14 헬름홀츠, 키르히호프와 베를린 대학의 물리학
헬름홀츠, 물리학자가 되어 프로이센으로 옮기다
헬름홀츠의 전기 동역학
헬름홀츠의 실험실에서 이루어진 전기 동역학 연구
베를린의 키르히호프
15 이론 물리학 부교수직의 개설
프로이센 대학들의 새로운 부교수직
독일 기타 지역의 새로운 이론 물리학 교수 자리
새로운 이론 물리학 교수 자격 요건
전문가가 이론 물리학을 담당하다
고등공업학교와 기술 물리학 교육을 통한 제도적 강화
16 그라츠 대학의 볼츠만
그라츠 대학의 수리 물리학 교수직
볼츠만의 분자 이론 연구
새로운 그라츠 대학 물리학 연구소
학위 논문 지도 교수 볼츠만
열역학 제2법칙에 대한 볼츠만의 새로운 해석
17 전기 연구
괴팅겐의 베버
본의 클라우지우스
카를스루에와 본의 헤르츠
18 ≪물리학 연보≫와 ≪물리학의 진보≫에서의 물리 연구
기고자와 내용
분자 연구
광학 이론
전기 동역학
물리 지식의 분야: ≪물리학의 진보≫
19 괴팅겐 이론 물리학 연구소
쾨니히스베르크와 괴팅겐의 포크트
빛의 탄성 이론에 관한 포크트의 연구
포크트의 임무 분담
측정 대 실험
포크트의 세미나 교육과 교재
20 역학 연구와 강의
베를린의 키르히호프
베를린의 헬름홀츠
본의 헤르츠
쾨니히스베르크의 폴크만
21 뮌헨의 이론 물리학 교수직
뮌헨 교수직의 설치와 볼츠만의 임용
뮌헨의 물리학 교육
맥스웰의 전자기 이론에 대한 볼츠만의 글과 강의
볼츠만의 자리가 없어지다
1890년대 독일 물리학에서 이론 물리학의 위치
22 라이프치히 대학의 이론 물리학
드루데의 초기 연구와 교육
라이프치히 대학의 이론 물리학자 드루데
이론 물리학 정교수직의 설립: 볼츠만의 임용
볼츠만 이후 라이프치히 이론 물리학 연구소: 데쿠드레의 임용
23 빈 이론 물리학 연구소
빈 대학 물리학의 재조직과 볼츠만의 귀환
볼츠만의 교육과 집필
4권
24 20세기 전환기의 이론 물리학의 새로운 기초
역학적 기초
물리학의 분자 역학적 기초에 대한 열역학적 의문
물리학의 에너지학적 기초
물리학의 전자기적 기초
물리학의 상대론적 기초
25 세기 전환기 이후 이론 물리학의 제도적 발전, 연구, 교육
베를린과 괴팅겐의 이론 물리학
뮌헨의 새 이론 물리학 연구소
이론 물리학 부교수 자리
새 이론 물리학 정교수 자리
26 이론 물리학의 전성기: 양자론, 상대론, 원자 이론, 우주론
독일 과학자 협회의 잘츠부르크 회의에서의 양자 이론
양자 이론, 다른 이론들, ≪물리학 연보≫, 솔베이 회의
상대성 이론과 ≪물리학 연보≫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과 우주론
수학의 횃불을 든 아인슈타인
27 새로운 대가들의 출현
원자 이론: 상대론과 양자론이 만나다
양자역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