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68172212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5-03-20
책 소개
목차
서문
차례
제1장 서론: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연구의 동기
2. 한국의 정치적 맥락
3. 연구 주제와 책의 구성
제2장 이론적 배경: 정치담화와 비평적 담화분석
1. 정치와 정치학
2. '정치담화분석'의 정의와 범위
3. 정치담화분석의 연구 주제와 선행 연구
4. 정치담화의 언어학적 분석
4.1. 학제 및 사회ㆍ문화적 성격
4.2. 정치담화의 담화분석
5. 이론적 바탕: 비평적 담화분석
5.1. 기본 성격
5.2. 주요 세부 접근법
5.2.1. Fairclough의 변증법적ㆍ관계적 접근법
[그림 1] 담화의 3차원적 개념
5.2.2. van Dijk의 사회인지적 접근법
5.2.3. Wodak의 담화ㆍ역사적 접근법
5.2.4. van Leeuwen의 사회적 행위자 접근법
5.3. 대안적/비판적 입장
제3장 청문회에서의 정치인들에 의한 행위성 표상과 책임 회피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행위성: '물리적 행위성'과 '도덕적 행위성'
2.2. 논항구조와 의미적 역할
2.3. 타동성
2.4. 담화행위모델
3. 자료와 정치적 맥락
4. 자료 분석
4.1. 물리적 행위성의 축소/부정
4.1.1. 의미적 역할의 전환
4.1.2. 피동화
4.1.3. 타동성의 약화
4.1.4. 행위자 기술
4.1.5. 사건/행위의 성격화
4.2. 도덕적 행위성의 강조
4.2.1. '의무 수행'으로서의 행위성
4.2.2. '절차 준수'로서의 행위성
4.2.3. '합리성 추구'로서의 행위성
4.2.4. '대의 실천'으로서의 행위성
5. 결론
제4장 군소 정당 '친박연대'의 혼성적 정치 정체성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정체성과 언어/담화
2.2. 비평적 담화분석에서의 정체성 표현
3. 자료 및 정치적 맥락
3.1. 자료: '정치 논평'
3.2. 정치적 맥락
4. 자료 분석
4.1. '친박연대'의 혼성적 정치 정체성
4.2. '친박연대' 정치 정체성의 비평적 담화분석
4.2.1. '박근혜 당'으로서의 정체성
4.2.1.1. 핵심 가치와 주요 화제
4.2.1.2. 언어적/담화적 전략
4.2.2. '야당'으로서의 정체성
4.2.2.1. 핵심 가치와 주요 화제
4.2.2.2. 언어적/담화적 전략: 비합법화
4.2.3. '보수여당'으로서의 정체성
4.2.3.1. 핵심 가치와 주요 화제
4.2.3.2. 언어/담화적 전략
5. 결론
제5장 선거 관련 정치 논평에서의 이념 구조와 언어적 실현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이념'의 정의와 성격
2.2. 이념의 언어 및 담화적 표현
3. 방법론
3.1. 분석틀
3.2. 자료
3.3. 정치적 맥락
4. 자료 분석
4.1. 거시적 차원
4.1.1. 핵심 가치/과제
4.1.2. 논평의 제목: 화제
4.2. 미시적 차원: '긍정적 자기 제시'와 '부정적 타인 제시'
4.2.1. 담화전략
4.2.1.1. 정체성 의심/요구하기
4.2.1.2. 동일시하기
4.2.1.3. 근접화
4.2.1.4. 대조시키기
4.2.1.5. 비합법화하기
4.2.2. 언어적 기제: 의미, 화용, 그리고 수사
4.2.2.1. 개념적 측면
4.2.2.2. 텍스트적 측면
4.2.2.3. 대인적 측면
5. 결론
제6장 정치적 행위의 합법화: 담화 및 언어적 전략과 변화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정치담화에서의 합법화
2.2. 합법화를 위한 언어/담화전략과 선행 연구
3. 방법론
3.1. 자료와 정치적 맥락
3.2. 분석 방법
4. 자료 분석
4.1. 설득적 텍스트: 합법화를 위한 전개구조
4.2. '문제'의 제시와 비합법화
4.2.1. '문제'의 의미적 성격과 부정적 제시
4.2.2. '문제' 제시 과정에서의 담화전략
4.2.2.1. 이분화
4.2.2.2. 배제하기
4.2.2.3. 긴박감 조성
4.2.2.4. 근접화
4.2.2.5. 위협/경고하기
4.2.2.6. 희생양 만들기
4.3. 정치적 행위의 합법화
4.4. (비)합법화를 위한 언어 및 수사적 자질들
4.4.1. 개념적 측면
4.4.2. 텍스트적 측면
4.4.3. 대인적 측면
5. 결론
제7장 권위주의 정권에서의 정통성 확보를 위한 언어의 조작적 사용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조작'의 정의
2.2. 담화에서의 조작과 비평적 담화분석
2.3. '정통성'의 정의와 요소
3. 자료 및 정치적 맥락
3.1. 자료
3.2. 정치적 맥락
4. 자료 분석
4.1. '정통성 확보'를 위한 조작으로서의 거시적 담화전략
4.1.1. 핵심 가치 및 목표의 제시
4.1.2. 도전과 과제의 언급
4.1.3. 도전/과제에 대한 '태도'와 임무 수행에 대한 '의지'의 표명
4.1.4. 국민의 참여와 협조 요청
4.2. 미시적 차원에서의 조작을 위한 담화 및 언어전략
4.2.1. 담화전략
4.2.1.1. 긍정적 자기 이미지 제시하기
4.2.1.2. 민족/국가 정체성 강조하기
4.2.1.3. 관여하기
4.2.1.4. '부정적 과거'와 '긍정적 미래' 제시하기
4.2.1.5. 문제화하기
4.2.1.6. 긴박감 조성
4.2.1.7. 책임 전가하기
4.2.1.8. 정의하기
4.2.2. 언어 및 수사적 자질
4.2.2.1. 부재/배제
4.2.2.2. 암시적 표현과 단어의 오용
4.2.2.3. 거짓/왜곡
4.2.2.4. 과장
4.2.2.5. 정치 구호
4.2.2.6. 전제
4.2.2.7. 은유
4.2.2.8. 의무서법
4.2.2.9. 인식서법
4.2.2.10. 통사구조/의미적 역할/행위성
4.2.2.11. 정형화 주제
4.2.2.12. 논증 오류
5. 결론
제8장 '정치적 저항 담화'로서의 시국선언문: 담화구조와 언어적 실현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비평적 담화분석에서의 힘/권력과 저항
3. 정치적 맥락과 자료
4. 자료 분석
4.1. 담화구조: 전개구조와 수사구조
4.1.1. 동기/배경 제시하기
4.1.2. 문제 제시하기: 극대화하기
4.1.3. 의지/태도/입장 표명하기
4.1.4. 해결방안 제시/요구하기
4.2. 비합법화 전략
4.3. 언어 및 수사적 실현
4.3.1. 개념적 측면
4.3.2. 텍스트적 측면
4.3.3. 대인적 측면
4.4. 사회언어학적 변이
5. 결론
제9장 결론: 연구의 요지와 향후 연구 과제
1.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
2. 연구의 의의와 이론적 함축
3.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