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영어 학습 동기 연구

한국의 영어 학습 동기 연구

(English Learning Motivation Research in South Korea)

김태영 (지은이)
한국문화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9,7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한국의 영어 학습 동기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영어 학습 동기 연구 (English Learning Motivation Research in South Korea)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영어영문학 > 영어학
· ISBN : 9788968172304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15-07-10

책 소개

우리나라에서 현재까지 수행된 영어 학습 동기 연구를 조망하며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이 책은 영어 학습 동기의 시대별 변천 과정을 구한말에서 현재까지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목차

서문

서론
1. 자생적 영어교육 연구를 꿈꾸며
2. 이 책의 현실 인식
3. 이 책의 구성

제1장 우리는 영어를 왜 배우는가?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역사
1. 고려와 조선의 외국어 학습: 소수정예의 체계적 통역관 양성
2. 영어를 배우려는 욕망: 호구지책과 출세 지향
3. 일제 식민지 시대 영어교육의 변질: 경쟁적 동기의 부상
4. 해방 이후 1980년대 초반까지: 입시를 위한 대국민 영어
5. 신군부 집권하의 영어교육: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자각
6. 1990년대 이후의 영어교육: 국제화 시대의 본격 개막과 영어 말하기 능력의 필요성 대두
7. 요약: 우리나라 영어 학습 동기의 시대별 변화

제2장 영어 학습 동기의 비고츠키 사회문화이론적 접근
1. 제2언어 학습 동기 연구의 두 가지 환원주의
2. 제2언어 학습 동기의 행위이론적 접근
2.1. 행위이론 개관
2.2. 행위이론 관점에서 본 동기
2.2.1. 동인, 지향점, 목표
2.2.2. 동인과 동기
2.2.3. 동기, 무동기, 탈동기의 관련성
2.3. 행위이론 관점의 제2언어 학습 동기의 정의
3. 제2언어 교수 동기의 이론과 실제
3.1. 교사 동기 연구의 세 가지 주요 영역
3.2. 제2언어 교사 동기 연구
3.3. 행위이론의 제2언어 교사 동기에의 적용 가능성
3.4. 행위이론적 관점에서의 제2언어 교사 동기 분석
4. 제2언어 학습 탈동기화의 이론과 실제
4.1. 탈동기화의 개념
4.2. 탈동기화에 대한 공시적 접근
4.3. 탈동기화에 대한 의사 통시적(pseudo-diachronic) 접근
4.4. 행위이론적 관점에서의 탈동기화
4.4.1. 탈동기화에의 행위이론 적용 가능성
4.4.2. 행위이론의 실제 적용 및 분석 사례

제3장 우리나라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역사
1. 동기 이론의 흐름에 따른 국내 연구 정리
1.1. 사회교육모형과 자기결정이론
1.2. 목표지향성이론
1.3. 제2언어 동기 과정 모형
1.4.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L2 Motivational Self System)
1.5. 비고츠키 사회문화이론과 제2언어 학습 동기
2. 국내에서 수행된 주제별 제2언어 학습 동기 연구
2.1. 동기와 영어 학습 태도
2.2. 동기와 영어 학습 불안
2.3. 동기와 영어 학습 책략
2.4. 동기와 컴퓨터 보조 언어 학습
3. 요약 및 제언

제4장 연령대별 영어 학습 동기의 차이
1.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탈동기, 그리고 사교육의 영향
2. 중학생들의 영어 학습 탈동기화 연구
3. 고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 경쟁적 동기의 부상
4.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와 탈동기 양상의 비교
5. 대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탈동기: 회고적 영어 학습 자서전 분석
6. 직장인들의 영어 학습 동기
7. 노인들의 영어 학습 동기 및 탈동기

제5장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주제별 분류
1. 학습 동기에 미치는 부모의 영향: 어머니와 아버지의 차별적 영향력
2. 공교육 교사와 사교육 강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영어 학습 동기
3. 거주 지역의 빈부 격차에 따른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서울 강남 대(對) 비강남
4. 어학연수의 효과성과 영어 학습 동기: 캐나다 어학 연수생들을 중심으로
4.1. 외재적 동기의 지배: 초기 1~2개월
4.2. 내재적 동기의 발생: 3개월 전후
4.3. 모순의 심화
4.4. 내재적 동기의 소멸 및 외재적 동기의 재등장: 귀국 전 1~2개월
4.5. 논의 및 시사점
5.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E)의 효과성과 영어 학습 동기
6. 영어 학습 동기와 불안감이 초등학생들의 의사소통의지와영어 말하기에 미치는 영향
7. 영어 학습 동기, 학습 책략, 학습 주도성의 관계
8. 인지된 학습 유형과 영어 학습 동기

제6장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전망과 제언
1.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향후 전망
2.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_ 375
「부록 1」 영어 학습 동기/탈동기 설문지
「부록 2」 영어 학습 탈동기화 및 동기 요인 설문 문항(구인별 예시)
「부록 3」 Kim(2006a, 2010a) 본 연구용 설문지
「부록 4」 노인 영어 학습 동기 탈동기 설문지
「부록 5」 TEE 수업에 대한 호감도, 불안감, 영어 학습 동기 설문
「부록 6」 영어 의사소통의지, 불안감, 학습 동기, 영어 사용빈도 설문
「부록 7」 영어 학습 동기, 초인지 학습 책략, 학습 주도성 설문 문항
찾아보기(한글)
찾아보기(영문)

저자소개

김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온타리오교육학 연구소(OISE/University of Toronto)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세계적 권위자인 Merrill Swain 교수 지도하에 제2언어교육학(영어교육 전공)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수정 7차 교육과정용 중학교 영어교과서를 집필(공저)에 참여했고, 국비유학생 선발 심사위원, EBS 고등학교 수 능듣기 A형 교재 책임검토위원을 역임했다. 국내외 영어 교육 관련 전문 학술지에 현재까지 약 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주된 관심사는 제2언어 학습/교수 동기 및 탈동기, 제2 언어 학습자 요인, 비고츠키 사회문화이론/행위이론, 복잡계 이론 등이다. 최근 『영어학습 동기 연구의 최근 경향』(한국문화사, 2013)과 『한국의 영어학습 동기 연구』(한국문화사, 2015) 출간했으며, 현재 탁월한 연구업적 을 낸 중앙대학교 Distinguished Scholar로 2014년부터 선출되어 영어교육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한국응용언어학회 총무이사를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영 어교육학회,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사회언어학회 등 다 수의 학회에서 편집이사 및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자 이메일: tykim@cau.ac.kr 대학원 스터디 웹 카페: http://cafe.daum.net/eed09 학술 논문 다운로드: http://works.bepress.com/taeyoungkim
펼치기

책속에서

제1장 우리는 영어를 왜 배우는가?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역사

우리나라에서 영어를 배우는 이유는 무엇일까? 대부분의 학생들은 영어를 배우는 이유를 외국인을 만나면 영어로 대화하기 위해서라든가, 영어는 국제어이기 때문에 배워야 한다고 할 것이다. 위와 같이 학생들이 이야기하는 영어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즉 영어 학습 동기(motivation)는 영어를 수단으로 더 나은 미래를 만들고 싶다는 도구적 동기(instrumental motivation)의 대표적인 예이다.
이번 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영어 학습 동기 연구를 본격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우리 앞 세대 사람들의 삶에서 영어가 어떻게 인식되어 왔고, 이러한 역사적 맥락은 지금 우리들이 영어를 배우고자 하는 욕망에 어떻게 영향을 끼쳐 왔는지를 개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어가 이 땅에 본격적으로 들어오기 전인 고려와 조선시대의 통역관 양성부터 시작하여, 1876년 조선의 제물포(현재의 인천) 개항 후 영어 학습의 전개 과정과 21세기 현 시점까지의 영어를 둘러싼 사회 현상에 대해서 시대별로 살펴보는 것이 이 장의 목표이다.

1. 고려와 조선의 외국어 학습: 소수정예의 체계적 통역관 양성

우리나라는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한 국가이다. 물론 일본이 섬나라로 더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나 대륙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국가 중에는 우리나라가 가장 동쪽에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주변 국가들인 중국, 러시아, 일본은 일단 인구수에 있어서나 경제 규모 및 국방력 등 어떠한 면으로도 우리나라보다 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 역시 부인하기 어렵다. 유사 이래 한반도는 대륙 세력인 중국이나 러시아 입장에서는 최동단(最東端)의 땅이자 태평양으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였으므로 정복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고, 해양 국가 일본 입장에서는 아시아 대륙 진출을 위한 전진기지 역할을 하게 되므로 역시 탐나는 땅이었다. 이런 지정학적 이유로 우리나라는 국가가 잘 정비되고 국방이 튼튼할 때는 외적의 침입을 덜 받았으나, 국론이 분열되거나 대륙에서 몽고족의 원, 만주족의 후금(청)과 같은 강력한 정복 왕조가 형성되었을 때에는 크고 작은 전란에 휩싸였다. 현대와 비교적 역사적으로 가까운 왕정국가였던 조선시대만 하더라도 임진왜란, 정유재란은 일본의 토요토미 히데요시(?臣秀吉)에 의한 국가적 변란이었고, 병자호란은 청(淸) 태종에 의한 침입이었다. 또 구한말 외세에 의한 연이은 국가 이익 침탈 후, 1905년 외교권이 박탈된 을사늑약, 1910년의 치욕적 한일합방 등은 우리가 망각하기에는 아직 이른 슬프고 부끄러운 역사의 단면들이다.
이렇듯 우리나라는 지리적 위치로 인해 국운이 융성할 때에는 중국과 일본의 문화 교류의 중간자 역할을 하면서 슬기로운 발전을 꾀할 수 있었으나, 국가가 분열될 때에는 여지없이 정복의 대상이 되었음을 역사의 교훈으로 여겨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나라가 전통적으로 취할 수 있었던 외교적 수단은 가장 강력한 힘을 지닌 중국과의 마찰을 줄여 침입을 방어하고 아울러 왜(倭, 일본) 등의 인접 국가와는 큰 마찰이 없이 지내는 사대교린(事大交隣)이었다. 이를 위해서는 외국의 입장을 잘 경청하고 우리의 입장을 잘 전달하여 국가의 번영을 도모할 수 있는 역관(譯官), 즉 통역사들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중요했다. 고려시대에는 몽골의 80여 년에 걸친 내정간섭으로 몽골어 역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였고, 기록을 통해 우리는 조선시대에는 중국어 학습서인 노걸대(老乞大), 박통사(朴通事)와 일본어 어휘 분류집인 왜어류해(倭語類解) 등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은 역관을 소수정예만을 선발하여 이들에게 주변국에서 사용되는 언어였던 중국어, 일본어, 여진어, 몽골어 등을 집중적으로 가르쳤다. 아래는 이덕일(2008)이 문화재청에 기고한 글인데, 조선시대의 외국어학습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시하고 있기에 다소 길이가 긺에도 불구하고 인용하도록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7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