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영어영문학 > 영어학
· ISBN : 9788968170171
· 쪽수 : 311쪽
· 출판일 : 2013-03-15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 V
제 1장
서론 3
1.1. 책을 쓴 이유와 구성 3
1.2. 학습 동기 없는 한국의 영어 교실 8
1.3. 영어 교육 연구와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위상 정립 13
제 2장
제 2언어 학습 동기 연구의 시대별 변화상 19
2.1. Gardner의 사회교육 모형(Socio-educational Model) 22
2.2. 1990년대 전후의 사회교육 모형에 대한 비판들 31
2.3. D?rnyei의 과정 모형(Process Model) 39
2.4.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45
2.5. Norton [Peirce]의 정성적 여성주의 연구: 투자 대 동기 (investment vs. motivation) 50
2.6. D?rnyei의 제 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L2 Motivational Self System) 52
제 3장
심화된 제 2언어 학습 동기 연구를 위한 철학적 배경 지식 65
3.1. 근·현대 유럽 철학 사조의 변화 66
3.2. 제 2언어 학습 동기 연구의 철학사적 이해 72
3.3. 제 2언어 학습 동기에 적용된 하향식 환원주의와 상향식 환원주의 76
3.4. 환원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제 3의 길 80
제 4장
영어 학습 동기의 최근 연구 경향 83
4.1. 사회문화이론 85
4.1.1. 비고츠키 사회문화이론의 역사적 배경과 주요 개념 85
4.1.2. Leont’ev의 1세대 행위이론(Activity Theory) 모형 96
4.1.3. Engestr?m의 2세대 행위이론 모형 112
4.1.4. 제 2언어 학습 동기의 행위이론적 종합 정리 118
4.2. 행위이론과 제 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의 개념적 유사성 125
4.3. 탈동기화의 개념 및 최근의 연구 경향 133
4.4. 교실친화적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연구 144
4.4.1.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활동의 실제 적용 사례 151
4.4.2. 언어하기 활동을 통한 영어 학습 동기의 변화 157
4.5. 일반적 수준에서의 손쉬운 학습 동기 증진 팁 163
제 5장
제 2언어 학습 동기 연구를 위한 연구방법론 167
5.1. 심리측정학적 정량적 설문지법(1950-1980년대): 설문 작성, 시행, 분석의 실천적 방안들 168
5.2. 정성적 면담법(1990-2010년): 면담의 이론과 실천 방안 184
5.2.1. 면담법을 활용한 선행 연구들 189
5.2.2. 면담 자료 수집 및 분석의 고려 사항 191
5.2.3. 컴퓨터보조 질적자료 분석 소프트웨어(CAQDAS)의 활용 198
5.2.4. 면담의 실천적 요령들 203
5.3. 혼합 연구법(2010년 이후 현재 및 미래) 208
5.4. 유용한 응용언어학 및 영어교육학 연구방법론 서적 216
제 6장
요약 및 향후 전망 221
6.1. 미래의 제 2언어 학습 동기 연구 전망 222
6.1.1. 우리 상황에 기반한 학술 연구 및 교실에의 실천적 적용 223
6.1.2. 탈동기화에 대한 관심과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 225
6.1.3. 영어 교사의 가르치고자 하는 동기 연구 227
6.2. 앞으로의 제 2언어 학습 동기 연구 방법 229
■ 참고문헌 233
부록 1 / 학습 동기가 유발되는 영어 교실을 만들기 위한 체크리스트 255
부록 2 / 제 2언어 학습 동기 설문 문항 작성시 중요 체크항목 37개 260
부록 3 / 제 2언어 학습 동기 설문지 샘플 263
부록 4 / APA Style 중요 양식 안내: <영어교육>지 271
부록 5 / 제 2언어 학습 동기 관련 실제 인터뷰 문항 276
■ 색인(한영) 281
■ 색인(영한)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