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영어교육 전공
· ISBN : 9788968177965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19-08-31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제1장 듣기의 정의 및 성격
1.1 듣기의 정의, 목적과 유형
1.1.1 듣기의 정의 및 역할
1.1.2 듣기의 목적
1.1.3 듣기 유형
1.2 듣기 과정
1.2.1 결과 중심 듣기와 과정 중심 듣기
1.2.2 듣기 과정 모델
1.2.3 듣기 이해 과정
1.3 듣기 능력, 기술과 전략
1.3.1 듣기 능력
1.3.2 듣기 기술
1.3.3 듣기 전략
1.4 구두 언어의 특징
1.5 듣기 저해 요인
제2장 듣기 지도의 기본 원리
2.1 듣기 지도 접근법
2.1.1 듣기 지도법의 역사적 변천
2.1.2 집중적 듣기 접근법과 확장적 듣기 접근법
2.1.3 귀납적 지도 접근법과 연역적 지도 접근법
2.2 듣기 지도의 기본 방향
2.2.1 듣기 지도의 기본 원리
2.2.2 학습자 수준별 듣기 지도의 기본 원리
2.2.3 교실 수업에서의 듣기 유형
2.3 듣기 과제
2.3.1 듣기 과제 분류
2.3.2 듣기 과정 모델별 듣기 과제
2.3.3 상호간 및 비상호간 듣기 과제
2.3.4 개방형 및 폐쇄형 듣기 과제
2.3.5 듣기 과제 난이도
2.4 듣기 자료
2.4.1 듣기 자료 선택 및 제작
2.4.2 듣기 교재 평가 및 선택
2.5 듣기 지도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
2.5.1 듣기 지도 교사의 역할
2.5.2 듣기 학습자의 역할
제3장 듣기 지도 방안
3.1 듣기 단계별 지도
3.1.1 듣기 선행 단계 지도
3.1.2 듣기 단계 지도
3.1.3 듣기 후행 단계 지도
3.2 듣기 전략 지도
3.2.1 전략 지도의 기본 원리
3.2.2 메타인지 전략 지도
3.2.3 인지 전략 지도
3.2.4 사회 정의적 전략 지도
제4장 학교 급별 듣기 교육
4.1 초등학교 영어 듣기 교육과정 및 지도
4.1.1 초등학교 영어 듣기 성취 기준 및 교수·학습 방법
4.1.2 초등학교 영어 듣기 지도 방안
4.2 중학교 영어 듣기 교육과정 및 지도
4.2.1 중학교 영어 듣기 성취 기준 및 교수·학습 방법
4.2.2 중학교 영어 듣기 지도 방안
4.3 고등학교 영어 듣기 교육과정 및 지도
4.3.1 고등학교 영어 듣기 성취 기준 및 교수·학습 방법
4.3.2 고등학교 영어 듣기 지도 방안
4.4 학교 교육 현장과 듣기 지도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영어 듣기 교육을 여러 해에 걸쳐 대학에서 강의를 하면서 강의 내용을 한 권의 책으로 정리해야겠다는 생각을 오랫동안 해왔었는데 2018년에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작업을 하게 되었다. 이 책은 2006년에 출판한 『영어 읽기 교육론』, 2009년에 출판한 『영어 쓰기 교육론』과 함께 ‘영어 기능별 교육론’ 시리즈의 하나로 집필된 책이다.
듣기 강의 자료들이 많이 있어서 단기간에 초고를 완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었지만 막상 집필을 시작하니 더 참고해야 하는 자료들도 많고 확인해야 하는 정보들뿐만 아니라 추가해야 하는 내용들도 많아서 2018년 겨울, 여름 방학을 거의 연구실에서 보냈다. 사상 최악의 폭염으로 기록된 2018년 여름이었지만 이 책을 집필하느라 그리 덥지 않은 여름이었다. 연구실 에어컨에 감사하며 초안 원고를 여름 방학과 함께 마무리할 수 있는 것도 감사하며 집필을 마친다.
이 책은 영어 듣기 교육에 관심이 있는 초중등 영어과 교사, 영어 교육을 전공하는 학부생과 대학원생, 그리고 영어 교육 연구자 및 전문인들을 위한 책이다. 하지만 영어 교육 전공이 아니더라도 외국어 교육이나 일반적인 언어 교육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거나 듣기 지도법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이 책은 영어 듣기 과정 및 능력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듣기 지도를 실제로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초점이 맞추어지며 특히 초중등 영어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교과서 활동을 통해 교육 현장에서의 듣기 지도 방안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책의 집필을 마치면서 내용 검토 및 초고 교정을 도와준 석박사 학위 과정생들에게 감사를 표하고 싶다. 참고한 자료의 원문과 출처 페이지의 확인 작업 및 내용 검토를 진행해준 심소연 학생과 원고 내용을 검토해 준 이신은 학생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이 책이 듣기 교육에 대해 알고 싶은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이 글을 마친다.
2.1 듣기 지도 접근법
2.1.1 듣기 지도 접근법의 역사적 변천
듣기는 20세기 초중반에 구두 언어 학습 중심의 직접 교수법(Direct Method) 및 청화식 교수법이 대두되면서 주목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모두 말하기 중심 교수법이라서 듣기가 말하기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지도되지는 않았다. 청화식 교수법에서는 듣기를 말하기 문형 연습(pattern drill)을 위한 청각 자료 제공 도구로만 간주하여 듣기 교육이 전문화되지 않았으며 교실 수업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였다(Richards, 2015; Rost, 1990). Morley(2001)는 이러한 지도법 모형을 듣고 따라하기(listening and repeating)라고 명명하고 있다.
20세기 중반에 대두된 기술 기반 접근법(skills-based approach)은 언어 기능별 기술을 세분화하여 각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지도에 초점을 맞추었다. 듣기 기능만을 위한 접근법은 아니지만 듣기 교육에서는 세분화된 듣기 기술들을 학습하기 위한 청해 문제 풀이식 지도가 이루어졌다(Morley, 2001; Richards, 2015). Morley는 이를 “listening and answering comprehension questions” 모델이라고 부른다(2001, p. 70). 기술 기반 접근법은 언어 능력을 세분화하여 나누어 보는 분리형 접근법(discrete- point approach) 또는 언어 능력 분리 가설(divisibility hypothesis)에 기초하고 있다. 듣기 기술별 문제 풀이 방식으로 듣기 지도가 이루어져서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라기보다는 듣기 능력을 평가하는 것과 유사하여 평가(testing)와 지도(teaching)가 구분되지 않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듣기를 언어 학습을 위한 도구로 보는 접근법도 있다. 1960년대 후반에 대두된 전신반응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은 모국어 습득 이론을 기초로 말하기 학습 이전에 듣기가 학습되어야 한다고 보고 학습 초기 단계에 듣기에 집중하기 위해 명령문을 듣고 몸으로 반응을 하는 활동(command-and-action)을 활용한다. Krashen (1985)의 입력 가설(Input Hypothesis) 중심의 외국어 습득 이론을 기초로 80년대 대두된 자연적 교수법(Natural Approach)도 동일하게 외국어 학습 초기 듣기 중심의 침묵 기간을 강조한다(Krashen & Terrell, 1983). 이러한 교수법들은 듣기 기술 함양을 위한 전문적인 듣기 지도 방안에 대한 모색보다는 충분한 듣기 입력 자료의 제공을 중요시한다. 특히 자연적 교수법은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는 듣기 자료(comprehensible input)에 초점이 맞추어진다(Brown & Lee, 2015; Richards, 2015; Rost, 1990).
1980년대 이후 외국어 교육의 핵심 접근 방법인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Communicative Approach)은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과 과업 기반 교수법(Task-based Instruction)을 포함하는데,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은 실제 생활에서 사용하는 자료(authentic material)와 수행 과업(authentic task)을 활용한 교육을 강조하여 듣기 지도에서도 자료와 과업의 진본성(authenticity)을 가장 중요하게 본다(Richards, 2015; Rost, 1990).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은 실제 언어 사용을 통한 언어 학습 즉 “using English to learn it”(Rost, 1990, p. 28)을 강조하면서 듣기 기능과 다른 언어 기능이 통합된 활동을 지향한다. 따라서 녹음된 자료를 사용한 일방향 듣기보다는 구두 언어 의사소통에서 상호작용을 하면서 구두 언어 자료를 처리하는 양방향 듣기 활동을 주로 사용한다. 한편 과업 기반 교수법에서는 실생활에서 수행하는 듣기 과업 유형을 활용한 지도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앞서 1.2.2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향식, 하향식, 상호작용식 과정 모델은 읽기 과정에 대한 가설로 시작되었는데 듣기 과정을 설명하는 가설로도 발전하면서 이를 기초로 한 듣기 활동들이 고안되어 듣기 교육의 전문화에 기여했다. 특히 언어 형태와 정확성에 초점이 맞추어진 듣기 지도에서 청자의 인지적 측면, 선험 지식과 듣기와의 관계를 고려한 듣기 방안을 개발하는 데에도 기여를 하였다.
듣기 기능만을 위한 고유의 접근법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외국어 교수법의 변화와 함께 듣기 지도의 접근 방향이 변화되어 왔다. 또한 언어 기능을 보는 시각이나 인지 심리학의 영향을 받은 듣기 과정 가설이 듣기 교육의 방향과 접근법에 영향을 주었다. 1.1.1절 및 1.2.3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사회 구성주의나 비판적 교육론의 영향으로 듣기란 청자가 화자와 함께 의미를 구축하거나 청자 스스로 의미를 변형해나가는 과정이라고도 본다. 하지만 이러한 시각은 듣기 교육에 많은 영향을 주지 못하여 아직 듣기 교육의 변화로까지 이어지고 있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