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본어 연어 연구

일본어 연어 연구

(구조와 체계)

윤상실, 시로타슌 (지은이)
한국문화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1,450원
27,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9,000원 -10% 1450원 24,650원 >

책 이미지

일본어 연어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어 연어 연구 (구조와 체계)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68178269
· 쪽수 : 434쪽
· 출판일 : 2019-12-23

책 소개

의미와 관용관용적 결합이라는 시점에서 일본어 연어의 구조와 체계를 다양한 실례의 분석을 통하여 밝히고자 한 연구서이다.

목차

머리말
이 책의 구성
이 책의 이용법

제1장 단어의 결합과 의미
Ⅰ. 단어는 어떻게 다른 단어에 결합되는가
Ⅱ. 이 책의 목적

제2장 주요 용어와 의미를 파악하는 수단
Ⅰ. 주요 용어의 규정-연(縁)·출발어·연어(縁語)
Ⅱ. 문법적 의미관계와 어휘적 의미관계
Ⅲ. 연항적 연과 선항적 연
Ⅳ. 의미를 파악하는 수단

제3장 진정어
Ⅰ. 진정어란
Ⅱ. 비진정어
Ⅲ. 예해

제4장 칭찬어
Ⅰ. 칭찬어란
Ⅱ. ‘좋다’라는 측면
Ⅲ. 이상적인 모습
Ⅳ. 진정어와 칭찬어
Ⅴ. 강조어와 칭찬어
Ⅵ. 칭찬내포어
Ⅶ. 칭찬의 강조
Ⅷ. 칭찬연어·표현의 구성
Ⅸ. 비방어

제5장 동사화동사
Ⅰ. 동사화동사란
Ⅱ. 동사화동사와 1어동사 - 동사화동사의 인정
Ⅲ. 개성적 동사화동사와 범용적 동사화동사
Ⅳ. 동사화동사의 종류(1) - ヲ격 · ニ격 · ガ격동사화동사
Ⅴ. 동사화동사의 종류(2) - 능동화와 수동화
Ⅵ. ヲ격동사화동사 개관
Ⅶ. 예해(1) - ヲ격능동화동사
Ⅷ. 예해(2) - ヲ격수동화동사
ⅠX. ニ격동사화 동사 개관
Ⅹ. 예해(1) - ニ격능동화동사
XⅠ. 예해(2) - ニ격수동화동사
ⅩⅡ. ガ격동사화동사 개관
ⅩⅢ. 예해(1) - 현상을 나타내는 명사와 결합되는 ガ격동사화동사
XⅣ. 예해(2) - 동작을 나타내는 명사와 결합되는 ガ격동사화동사
XⅤ. ヲ격동사화동사에 대응하는 ガ격동사화동사

제6장 기능발휘어와 요구충족어
Ⅰ. 인공물의 기능
Ⅱ. ヲ격·ニ격·ガ격기능발휘동사
Ⅲ. 동사화동사와 기능발휘동사
Ⅳ. 사용적 기능발휘와 소비적 기능발휘
Ⅴ. 사용적 기능발휘동사
Ⅵ. 소비적 기능발휘동사
Ⅶ. 기능발휘의 오노마토페
Ⅷ. 요구충족동사
Ⅸ. 기능발휘를 위한 준비, 조정
Ⅹ. 기능발휘결합을 포함하는 칭찬의 강조표현


제7장 생성어
Ⅰ. 생성어란
Ⅱ. 예해

제8장 무화어
Ⅰ. 무화어란
Ⅱ. 개성적 무화동사와 범용적 무화동사
Ⅲ. 예해
Ⅳ. 생성동사와 무화동사
Ⅴ. 동사화동사와 무화동사
Ⅵ. 종결상 동사화동사와 무화동사
Ⅶ. 기능발휘동사의 반의어와 무화동사
Ⅷ. 요구충족동사의 반의어와 무화동사

제9장 악화어
Ⅰ. 악화어란
Ⅱ. 예해

제10장 가해어
Ⅰ. 가해어란
Ⅱ. 가해에 민감한 명사-피공격성(被攻撃性)과 공격성
Ⅲ. 범용적 가해동사 「やる」

제11장 결과어
Ⅰ. 결과어란
Ⅱ. 능동화결과동사와 수동화결과동사
Ⅲ. 결과의 단계
Ⅳ. 결과어를 둘러싼 문제

제12장 집단어
Ⅰ. 집단어란
Ⅱ. 집단어의 조어법
Ⅲ. 집단의 표현
Ⅳ. 집합을 나타내는 수단(이른바 ‘복수’)

제13장 성원어
Ⅰ. 성원어란
Ⅱ. 성원어의 조어법
Ⅲ. 성원의 표현
Ⅳ. 집단어와 성원어의 관계

제14장 수장어
Ⅰ. 수장어란
Ⅱ. 수장어의 조어법
Ⅲ. 집단어 · 성원어 · 수장어의 관계

참고문헌
인용사전, 신문, 잡지
색인

저자소개

윤상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명지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문학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 동 대학원 일본어과 졸업 홋카이도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박사전·후기과정 수료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회장, 편집위원장, 한국일어일문학회 어학이사, 편집위원 등 역임 주요 저·역서 『ことばの結びつきかた-新日本語語彙論-』(공저) 2015 ひつじ書房 『한일 연어 대조연구-자료와 분석-』2015 한국문화사   『新 일본어학개설』(공저) 2012 제이앤씨 『활용을 위한 일본어 문법』2008 제이앤씨 『現代日本語のモダリティ-判?系モダリティの 記述的?究を 目指して-』 2005 제이앤씨 『일본어문법론Ⅰ』『일본어문법론Ⅱ』(공역) 2003 제이앤씨
펼치기
시로타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獨協大学 명예교수(문학박사) 北海道大学·広島大学·獨協大学 교수 東京外国語大学 졸업, 모스크바대학 대학원 수료 주요 저서 『ことばの結びつきかた-新日本語語彙論-』(공저) 2015 ひつじ書房 『現代ロシア語文法』(改定新版) 2010 東洋書店 『日本語形態論』1998 ひつじ書房 『日本語の音-音声学と音韻論-』1993 ひつじ書房 『ことばの縁-構造語彙論の試み-』1991 リベルタ出版 『中古漢語音韻論』1991 風間書房 『ことばの道-もう一つのシルクロード-』1987 大修館書店 『ロシア語の音声-音声学と音韻論-』1979 風間書房
펼치기

책속에서

머리말

이 책은 의미와 관용관용적 결합이라는 시점에서 일본어 연어(<7E01>語)연어(縁語)의 구조와 체계를 다양한 실례의 분석을 통하여 밝히고자 한 연구서이다. 이른바 어휘론 체계화의 새로운 시도라 할 수 있는데, 이론적 고찰에 치우친 감도 없지 않지만 새로운 지도법, 학습법의 힌트를 여러 곳에서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언어의 풍부한 습득은 모어를 포함하여 최종적으로는 발음도 아니고, 문법도 아니고, 어휘의 습득, 어휘의 풍부화와 그 정확한 운용에 있다. 어휘론이 그러한 의미에서 언어에 관한 학문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는 그에 상당하는 지위를 부여받고 있지 못한 점에 주목하였다.
이 책은 일본에서 발간된 ことばの結びつきかた - 新日本語語彙論 -(城田俊尹相實 2015, ひつじ書房)와 함께 기획된 한국어판 연구서이다. 한국에서의 일본어학, 일본어교육분야에서의 기여를 염두에 두고 작업을 시작하였으나 안타깝게도 여러 가지 사유로 4년 여의 세월이 흘러가고 말았다. 그래도 유학시절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가르침을 주시고 연구자의 길을 인도해주신 시로타슌(城田俊) 선생님과의 공동작업 결과를 이렇게 한국에서 완성본으로 내놓게 된 점에 대해 감사할 따름이다.
한국에서의 출판 여건에 맞춰 주요 어휘군(12종)을 선정하였으며, 일본어 전공자 이외의 언어 연구자나 학습자를 포함하는 독자들도 기술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용례나 필요 어휘에 최대한으로 한국어역을 붙였다. 하지만 많은 양의 어휘를 다루다 보니 한자 읽기는 일일이 다 표시하지 못한 점도 인정되는데 필요에 따라 사전을 찾는 수고를 부탁하고 싶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나오기까지 물심양면으로 지원해주고 응원을 아끼지 않았던 모든 분들과 한국문화사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뜻을 전한다.

2019. 8


제1장 단어단어의 결합과 의미

I. 단어단어는 어떻게 다른 단어단어에 결합되는가

(i) 소리의미어감
언어에는 단어단어라는 단위가 있다. 일본어에도 本, エプロン, 美しい, 着る, 俺등의 단어단어가 있다.
단어단어는 소리와 의미를 갖는다. 소리는 외용, 의미는 내용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ホン [hoN]이라는 소리는책이라는 내용을 담당하여 의미로서 그것을 나타낸다.
단어단어가 갖는 것은 소리와 의미뿐만 아니라, 이른바 어감어감이라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俺는 화자가 화자 자신을 말하는 단어단어인데, 그 단어단어를 들으면 화자가 남자이고 거친 어조로 말하고 있거나 허물없는 상대에게 격의 없이 이야기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本エプロン등에는 이와 같은 느낌은 없다. 이것이 이른바 어감어감이다.
단어단어는 새롭게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으나, 그렇다고 해서 문(文)과 같이 발화시에 항상 새롭게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단어단어는 기본적으로 수가 한정되어, 문에 비하면 한계가 있다. 이러한 유한한 단어단어로 무한한 사상(事象)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단어단어를 결합하여 문을 만들어 새롭게 조합해서, 수없이 변화하는 사상에 대응시킬 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단어단어는 어떻게 다른 단어단어에 결합되어 문으로 전개되는 것일까.  

(ii) 문법규칙에 따라 결합된다
(1) 花子は美しいをいた
(2) 花子はピンクのをいた
(3) 花子はシックなをいた
(4) 花子は度の?いをいた

着る[(1)], はく[(2)], かぶる[(3)], かける[(4)]는 타동사타동사로, 이들 동사를 사용하는 한, 착용자-예문에서는花子-를 나타내는 명사는 ガ격을 취하고, 착용물-着物スカ?ト帽子眼鏡-을 나타내는 명사는 ヲ격을 취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ガ격은 ハ로 특립되면 ガ라는 외용은 강제소거강제소거되어 ハ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상과 같은 규칙은 문법에 의한 것이다. 단어단어는 각 단어단어의 성질(품사)에 의해 문법적 특성을 가지며, 문법의 힘(주로 ‘ 지배지배’의 강제력)에 의해 다른 단어단어에 결합된다.
물론 단어단어와 단어단어의 결합이 문법적으로 올바르더라도 의미가 너무나 사상(事象)과 떨어져서, 있을 수 없는 황당한 경우를 나타낸다면 결합은 통상적으로 이상해진다. 花子は美しく着物を殺した등은 문법적으로 맞아도 보통은 만들어지지 않는 단어단어와 단어단어의 결합이 문중에 있어서 이상하게 느껴진다. 이와 같이 상식에서 벗어나는 의미상의 제한에 대해서는 여기서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iii) 문체문체적 통일이 요구된다
着ていた[(1)]을 着用していた로 바꾸면 (1)은 문장어라는 느낌이 든다. 着用する는 딱딱한 느낌이 나서 일상회화에서 사용하면 청자에게 장면에 맞지 않는다는 느낌을 준다. 着用する라면 登校の際は制服を着用すること등과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다.花子はあでやかな衣?を着ていた라고 해도 별반 이상하지 않으나 어쩐지 잘 맞지 않는 느낌이 든다.あでやかな衣?라고 하면 역시 身にまとっていた쪽이 더 어울리는 느낌이 든다. 단어단어에는 앞서 언급한 어감어감이라는 것이 있어 장(場)의 분위기에 맞추거나 문을 만들 때 다른 단어단어와의 밸런스를 조정하거나 한다. 일반적으로 문은 문체문체의 규제를 받아 문체문체적 통일이 요구된다. 문체문체가 맞지 않는 단어단어는 결합되기 어렵다.

(iv) 의미기능이 같아도 다른 단어단어가 선택된다
着るはくかぶるかける는 착용동작을 나타내고, ヲ격을 취하는 명사 着物[(1)], スカ?ト[(2)], 帽子[(3)], 眼鏡 [(4)]는 착용물을 나타낸다. 동사와 명사의 관계는 완전히 동일하여 동사는 예를 들어 着る하나로도 전혀 지장이 없을 것이다. 실제로 영어라면 a coat 든, a hat 든, a cap 든, a pair of glasses이든 모두 put on 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어에서는着物라면 着るはく, 帽子라면 かぶる, 眼鏡라면 かける로 바꿔 말하지 않으면 안 된다. 착용하는 것에 따라 착용동작을 나타내는 동사가 다른 것이다. 어휘상의 관용 관용적인 결합규제관용적인 결합규제가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5) 警察は事件直後ただちに綿密な?査を行ったが犯人はわからずじまいだった
(6) 精密機械の運送に際しては細心の注意を?わねばならない
(7) 花子は重い病?にかかっていた
(8) ?校側は彼にバイクで通?する許可を?えた  

綿密な?査[(5)]란 모든 것에 주의를 기울인 상세한 ?査이다. 찾아서 조사할 때 세심함의 정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細心の注意[(6)]의 細心の는 ‘세세한 데 까지’라는 의미로 注意의 정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重い病?[(7)]의 重い는 病?의 ‘정도가 심한’ 것을 나타낸다. 셋 모두 결합되는 단어단어가 나타내는 사항의 정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의미상의 관계는 전자가 후자의 정도를 강조한다.
그러나 重い로는 ?査와 注意를 강조할 수 없고, 綿密な와 細心の로는 病?의 정도를 강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강조하는 말은 강조되는 말에 따라 각양각색으로 변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度の?い眼鏡[(4)]도 마찬가지이다.度라는 것은近視의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그 정도가 높은 것은高い深い重い激しい로는 나타낼 수 없고, 보통 ?い가 사용된다.
美しい衣?あでやかな着物이라고 해도 그다지 이상하지 않다. 그러나 衣?를 칭찬하려고 하면あでやかな가 자주 쓰인다. ‘좋다’라는 의미를 나타내어 칭찬하기 위해 사용되는 말도 피수식어에 따라 다양하게 갖춰져 있다.

英語を
パンを

?査を行う[(5)]는 ?査する와, 注意を?う[(6)]은 注意する와, 病?にかかる[(7)]은 病?する와, 許可を?える[(8)]은 許可する와 그다지 의미가 다르지 않아 거의 같은 뜻이다. 한 쪽은 명사+격조사 ヲニ+동사라는 2어 자립어로 성립되지만, 다른 한 쪽은 1어동사이다. 전자에서의 行う?うかかる?える는 실질적 의미가 거의 없다. 실질적 의미는 ?査注意病?許可라는 명사가 담당하고 있다. 동사 行う?うかかる?える는 앞의 명사를 동사처럼 쓰이게 할 뿐으로 ヲスル와 거의 같은 의미이다. 실질적인 의미는 이미 명사에 의해 표현되고 동사는 ‘의미상의 임무 부담에서 크든 적든 해방되어’(村木1980:18), 그저 명사를 동사처럼 쓰이게 할 뿐으로, 기능이 같기 때문에 동사는 하나로 족할 것이다. 실제로 (を)する라는 동사가 사용되고 있다.

?査をする注意をする病?をする 許可をする

그러나 한편, ?査에 관해서는 行う, 注意에 관해서는 ?う, 病?에 관해서는 かかる, 許可에 관해서는 ?える가 사용되어, 이들을 사용하면 보다 매끄럽고 풍부한 일본어처럼 느껴지게 된다. 기능은 같은데 결합되는 단어단어에 따라 다양한 단어단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들은 법칙화할 수 없어, 문법규칙과는 달리 하나 하나 익혀나갈 수 밖에 없는 언어상의 현상이다.

II. 이 책의 목적
우리들은 말을 사용해서 생활한다. 일상의 언어생활 중에서 소리와 의미, 어감어감을 의식하지만, 단어단어가 갖는 문법적 성질과 단어단어의 결합 특성은 특별히 의식하지 않는다. 의식하지 않지만 사용하고 있으므로 몸에 배어 있는 것이다. 의식하지 않고도 운용하고 있다는 것은 자동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자동화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들은 모어(예를 들어, 일본어 또는 한국어 등)을 자유롭고 매끄럽게, 때로는 아름답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당한 노력을 계속함에도 불구하고 몰라서 또는 잘 알지 못해서, 물론 습득도에 따르기는 하지만 습득외국어를 잘 소화하지 못한다. 무릇 외국어를 습득한다는 것은 각 언어의 문법과 관용관용상의 결합 특성을 잘 알고 체득하여 자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자동화되어 있는 것을 의식화시키고 싶어 문법학자는 문법을 문법규칙으로 써 왔으며, 그것은 모어의 단련, 운용능력 향상에 다대한 기여를 해왔다. 또한 외국어 습득과 교육에 커다란 성과를 올렸으며 필수 사항이 되었다.
그러나 단어단어가 갖는 관용관용상의 결합특성을 분명하게 의식화시키는 일은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손대지 못한 상태로 남아있는 부분이 있어 규명이 필요하다.
이 책의 목적은 단어단어가 갖는 관용관용상의 결합특성 일부를 밝히는 것이다. 결합되는 단어단어와 단어단어 사이에 같은 의미상의 관계가 있는데도 다른 단어단어가 선택된다는 현상을 의식하고, 거기에 규칙이 있다면 규칙을 해명하는데 있다. 그것만으로도 각 어휘의 보다 정확한 파악을 가능하게 하고 운용능력을 키우고 증대시킨다. 나아가 사전 편찬에 커다란 기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휘습득의 자기훈련과 교육에 유용하다. 특히 외국인을 위한 일본어교육 현장에서 내실 있는 공헌을 가져올 수 있다.
이 책은 일본어 어휘의 교육습득, 자기단련의 체계적 실용참고서이기도 하고, 사전편찬, 어휘문법, 어휘의 관용관용적 결합의 연구서이론서이기도 하다.
이상, 이 책의 집필의도목적을 기술했다. 이하, 금후 사용하는 주요 용어의 규정, 의미를 파악하는 기준에 대해 이 책의 구성에서 적은 순서에 준해 설명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1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