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68505492
· 쪽수 : 210쪽
· 출판일 : 2021-02-16
목차
기독교적 생명의료윤리의 근거와 방향 _정종훈
I. 들어가는 말
II. 기독교적인 생명의료윤리의 근거로서 성경 읽기
III. 기독교적인 생명의료윤리의 방향 찾기
1. 생명의 이해
2. 인간의 이해
3. 질병과 고난의 이해
4. 우선적 관심 대상인 약자의 이해
5. 하나님의 나라와 선교의 이해
6. 죽음과 부활의 이해
IV. 맺는 말
환자-의료인 관계를 다시 묻기 _김준혁
I. 서론
II. 환자와 의료인은 어떤 관계로 만나야 할까
III. 무너진 세상을 다시 세우기
IV. 의료인, 다시 상처 입은 치유자가 되어
V. 나가며
환자 고객 데이터 _남형두
I. 환자
1. “의사”란 말의 뜻에서 본 직업의 숭고함
2. 환자 또는 보호자로서의 개인적 경험 몇 가지
II. 고객
1. 관점 차이
2. 의료행위/의환관계에 대한 법적 고찰
3. 정리
III. 데이터
1. 개인정보로서 건강정보
2. 건강정보 보호의 딜레마
3. 건강정보 빅 데이터의 문제
4. 정리
IV. 성서적 관점
1. 환자에 대한 사랑과 긍휼
2. 사람 중심의 전체적 접근(holistic approach)
3. 건강정보에 관한 성서적 관점
V. 결론 : 의환관계의 회복
VI. 여론(餘論) - 철학, 의학, 법학, 신학의 만남
성서 다니엘서로 본 기독인의 의학연구윤리 _김옥주
I. 서론
II. 다니엘서 1장의 임상연구
1. 다니엘서 1장의 내용
2. 다니엘서 1장의 임상연구
III. 21세기 의학연구윤리로 본 다니엘서의 연구
1. 임상연구의 윤리 원칙
2. 임상연구의 윤리 원칙과 다니엘서의 연구
IV. 다니엘서로 본 기독인의 의학연구윤리
1.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생명윤리
2. 다니엘서로 본 기독인의 의학연구 윤리
IV. 결론
환자의 웃을 권리 _김준혁
I. 서론
II. 영화 〈증인〉 (2019)과 환자 규정의 문제
III. 상처에 붙이는 반창고로서의 웃음
IV. 웃음 혁명과 웃음의 진료
IV. 결론을 대신하여: 중력과 웃음
한국 호스피스 _이창걸
I. 죽음 - 인생의 통과의례중 마지막 단계
II. 한국인 죽음의 질
III. 좋은 죽음, 나쁜 죽음 - 이주일, 재클린 케네디 그리고 김수환추기경
IV.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
V. 말기임을 통보받음
VI. 말기환자의 동반자 호스피스ㆍ완화의료
VII. 웰다잉에 관련된 요인들
VIII. 한국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세브란스
IX. 한국인의 편안한 임종을 위하여
X. 세브란스호스피스와 기독교정신
나의 윤리에서 우리의 윤리로 _이일학
I. 서론
II. 선한 사마리아인
1.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2. 선한 사마리아 사람과 고대의 의사
3. 떠돌이 의사의 삶과 윤리
III. 21세기 선한 사마리아인에게
1. 의료: 자선에서 권리와 의무로
2. 제도화의 위협
3. 윤리 환경에 대한 관점
IV. 연세의료원의 사명과 미션
1. 연세의료원이 인식한 윤리
2. 조직문화
V. 결론
동료와 전문가 _김상희, 이일학
I. 시작하는 이야기
II. 성경적 관점에서 바라본 돌봄 공동체의 원리
III. 문헌 속에 나타난 의료사회에서의 동료와 관련 된 윤리적 이슈: multiple Cs
IV. 문헌 속에 나타난 의료사회에서의 동료와 관련 된 윤리적 이슈: Professional Dignity
V. 현실 의료환경에서 나타난 관계 윤리적 이슈: 경험적 연구
VI. 맺는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