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봉직의 3년 전문병원 개원하기

봉직의 3년 전문병원 개원하기

박병상 (지은이)
정다와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10% 0원
2,000원
3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3개 30,67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봉직의 3년 전문병원 개원하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봉직의 3년 전문병원 개원하기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88969910394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3-09-25

책 소개

봉직의 단계부터 개원을 준비하는 의사들을 위한 개원 안내서다. 경쟁에서 밀리지 않아야 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단계별로 꼼꼼하게 기술하였다.

목차

책을 펴내며
책의 개요

제1장 봉직의와 개원의

1. 봉직의와 개원의 22
1) 봉직의와 개원의 차이
2) 봉필개선의 시대
3) 봉직의와 개원의 수입
4) 봉직의 이직

2. 봉직의가 병원생활 잘하는 법 26
1) 개원가의 기본 지식
2) 근로계약서 잘쓰는 법
3) 보수와 세금 문제
4) 병원(원장)의 평판
5) 병원의 재무 상태

3. 봉직의 꿈은 개원 29
1) 개원이 꿈인 봉직의
2) 이직과 의업추천 여부
3) 의원과 병원의 적정 개원연령
4) 선호하는 3월 개원

4. 폼 나게 병원을 떠나는 법 32
1) 분노의 퇴직
2) 조용한 퇴사
3) 퇴직은 시작
4) 시작과 실행

5. 병의원 개원 트렌드 36
1) 의료환경 변화
2) 인기과 집중 현상
3) 양극화 현상
4) 서울에 집중된 의원 개원
5) 표시과목의 변화
6) 의, 한, 치과대학과 병의원 개원

제2장 개원준비

1. 의료사업의 길 44
1) 성공한다는 의미
2) 병원의 설립 목적, 미션과 비전
3) 핵심가치와 핵심역량

2. 개원의 정석 49
1) 유사병원 벤치마킹
2) 협상과 계약
3) 인적자원의 병원의 핵심
4) 말보다 문서

3. 병원건립 준비 52
1) 의료기관 사업계획
2) 사업계획서 내용
3) 병원 개원 준비
4) 병원 개원 프로세스
5) 개원 준비 항목

4. 병의원 개원 일정 계획 61
1) 개원 일정 세우기
2) 개원 계획 수립
3) 병원 개원 일정

5. 병원건립 기획 69
1) 병원 건립기획 방법
2) 건립추진단 및 기획단
3) 건립 실행 단계

6. 의료컨설팅의 활용 72
1) 의료컨설팅의 영역
2) 컨설팅을 받는 이유
3) 컨설팅 업체 선정

제3장 의료기관 구분과 설립

1. 의료기관의 구분 76
1) 의료법에 의한 구분
2) 설립구분별 의료기관
3) 개설주체에 따른 의료기관
4) 의원과 병원급 의료기관의 표준업무

2. 의료기관 종별 지정기준 81
1) 상급병원 지정 기준
2) 전문병원 지정
3) 한방 전문병원 지정
4) 재활의료기관 지정
5) 인증의료기관

3. 설립주체에 따른 의료기관 91
1) 의료법인 의료기관 개설
2) 부속 의료기관 설립
3) 경제 자유구역내 외국 의료기관 개설
4) 의료 사회적 협동조합

4. 동업개원(Group practice) 99
1) 동업개원이란
2) 동업개원 준비하기
3) 세부적인 동업약정서

5. 브랜드 네트워크 개원
1) 병의원 네트워크 경영
2) 네트워크 병원 구축
3) 네트워크 운영 조직
4) 병원경영지원회사

제4장 개원 입지

1. 입지선정과 진료권 110
1) 개원과 입지선정
2) 개원입지 보는 법
3) 개원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2. 상권별 개원입지를 보는 법 119
1) 중심상권
2) 지하철 역세권
3) 신도시 지역
4) 택지 개발지구 내 병원입지

3. 전문과목별 개원 추세와 입지 124
1) 진료영역이 모호해진 의료시장
2) 서울 강남의 성형외과 개원
3) 서로 겹치는 진료과
4) 영역을 넓히는 진료과
5) 다양한 진료 피부과
6) 대형화 중심상권 안과
7) 산부인과, 여성의원, 소아청소년의원
8) 거점지역 비뇨의학과
9) 진료컨셉이 중요한 가정의학과
10) 비급여 시장 치과
11) 병상을 갖춘 한의원

4. 경쟁병의원 조사방법 130
1) 카카오맵과 네이버 지도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3) 보건 의료 빅데이터 개방 시스템
4) 맘카페 키워드 검색

5. 의료와 부동산, 임대계약 133
1) 병원 개원 부지와 건축물
2) 부동산 이력 조사
3) 임대 계약과 개원일정

제5장 병의원 시설

1. 의료기관의 시설기준 138
1) 시설기준 및 규격
2) 의료기관 시설 공동 운영 활용 가능범위
3) 종합병원이 별도로 갖추지 않아도 되는 시설

2. 의료기관의 시설규격 141
1) 입원실
2) 중환자실
3) 음압 격리병실
4) 수술실
5) 응급실
6) 방사선 장치 등

3. 요양병원 시설 153
1) 휠체어 및 복도 공간
2) 환자 편의 증진시설
3) 엘리베이터와 잠금 장치

4. 건물용도 변경 후 병원개원 155
1) 주차 대수
2) 엘리베이터
3) 피난 계단
4) 소방시설
5) 전기 용량
6) 의원용도 건축물

5. 편의시설 설치 대상시설 157
1) 공공건물 및 공중이용시설
2) 편의시설 설치기준
3) 의원과 병원의 편의시설 종류
4) 환자를 위한 편의시설 유치

6. 의원 내부 공간과 기능 162
1) 동선
2) 대기실
3) 접수
4) 진료실
5) 기타 공간

제6장 병원 공간과 건축

1. 병원건축의 특성 168
1) 4가지 측면의 병원 건축
2) 미래 지향적인 병원 건축
3) 병원 기능에 따른 공간의 분류

2. 병원설계 173
1) 병원의 기본컨셉
2) 설계 업무 내용
3) 병원 설계업체 선정과 계약
4) 단계별 설계
5) 설계도서의 작성방법 기준

3. 건축 심의 및 허가 179
1) 허가 전 건축심의
2) 건축허가
3) 시공전 철거
4) 지하 안정성평가

4. 건축시공사 선정과 시공 180
1) 시공사 선정
2) 건축 시공계약
3) 건축 시공과 현장 소장

5. 감리와 건설사업관리 186
1) 감리자를 정하는 기준
2) 단계별 공사감리 업무 내용
3) CM의 역할과 업무내용

6. 병원 리모델링 188
1) 확장 및 축소전략
2) 리모델링 방법
3) 리모델링 절차

7. 메디컬 빌딩 기획과 건축 193
1) 메디컬빌딩의 성공요소
2) 적합한 입지
3) 건축 규모

제7장 병원의 정원과 조직

1. 병원 근무 직종과 업무 196
1) 병원 직종의 특성
2) 간호사의 업무
3) 간호조무사의 업무
4) 의료기사의 업무
5) 병원 근무자의 업무

2. 병원 조직과 인력추계 203
1) 조직 편제
2) 중소병원의 조직
3) 개원초 적정 인력 추계

3. 통계로 보는 의료인력 205
1) 활동 인력
2) 의료인력의 특징
3) 의료인력과 종사자 수

4. 의료인의 정원 209
1) 의료기관에 두는 의료인의 정원
2) 직종별 정원
3) 당직 의료인의 수
4) 간호간병통합 서비스

5. 인력선발과 배치, 교육 216
1) 좋은 인재 찾는 법
2) 의원에서 병원으로 종별 전환시 인력
3) 직원 교육
4) 직원의 근로계약
5) 의사의 근로계약

6. 병원의 임금 구조와 근로 224
1) 직급의 구분
2) 호봉제 임금표
3) 최저임금제도와 임금
4) 퇴직금 제도
5) 시용과 해고

제8장 의료장비 선정과 운영

1. 의료장비 선정 234
1) 장비 선정의 기본 원칙
2) 장비선정 검토사항
3) 장비 선정 절차

2.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241
1) 설치 및 운영
2) 종류
3) 신고 요령

3. CT 및 MRI 장비수와 설치기준 241
1) CT와 MRI 촬영건수
2) 의료자원과 의료이용의 상관관계
3) CT 및 MRI 설치기준

4. 특수 의료장비 설치 운영 246
1) 특수의료장비의 종류
2) 특수의료장비의 설치등록
3) 특수의료장비 운용 인력 기준
4) 특수의료장비의 품질관리검사
5) 특수 의료장비 설치·운영 준수사항

제9장 네이밍과 개원초 마케팅

1. 의료기관 명칭과 상표권 254
1) 의료기관 명칭 본문에는 없는데 넣어 주십시요
2) 진료과목 표시
3) 상표권

2. 브랜드와 네이밍 260
1) 병원 브랜드와 개인브랜드
2) 브랜드 네이밍의 법칙
3) 로고와 심볼, 캐릭터 및 슬로건
4) 병원이름 변경하기

3. 의료광고 규정 270
1) 의료광고 관련 의료법
2) 의료광고의 금지사항
3) 전문병원 명칭 사용 규제
4) 의료광고 심의

4. 병원 포지셔닝 전략 278
1) 포지셔닝(Positionig)
2) 포지셔닝 성공 원칙
3) 전문병원 포지셔닝 전략

5. 개원초 마케팅 282
1) 개원초 광고 예산
2) 믿을만한 마케팅 업체
3) 개원초 홍보매체의 활용
4) 병원 내외부 사인물

제10장 개원초 세무와 자금조달

1. 개원 준비와 세무 290
1) 사업자등록
2) 면세사업자
3) 세무대리인 선임
4) 현금출납부와 증빙서철
5) 거래증빙

2. 세금과 사업장 현황신고 294
1) 종합소득세
2) 신분변경시 소득세 납부
3) 지방세
4) 4대 보험
5) 사업장 현황신고

3. 병의원의 수익, 비용, 필요경비 298
1) 수익항목
2) 비용항목
3) 필요경비

4. 의료기관 회계기준 305
1) 의료기관 회계기준의 준수대상
2) 재무제표
3) 결산서 제출
4) 공시항목

5. 병원 개원 투자금 307
1) 병원의 개원 투자 자금 항목
2) 상가 건물 매입 방법
3) 건물을 임대하여 병원개원

6. 개원자금 조달 방법 310
1) 자기자금 조달
2) 증여와 자금출처
3) 금융권 차입과 거래은행

제11장 병의원 개설

1. 의원과 병원의 개설 318
1) 의원 개설은 신고, 병원은 허가
2) 동일 건축물에서 2개의 의료기관 개설
3) 복수 의료기관 개설 운영
4) 약국과 관련하여 병의원 개설이 불가한 경우
5) 인근 지역 확장 개원

2. 개설신고와 진료준비 325
1) 개설신고시 필요서류
2) 보건의료자원 통합 신고 포털 등록
3) 성범죄 · 아동학대 · 노인학대 경력조회
4) VAN(신용카드단말기) 등록
5) 배상책임보험과 화재 보험

3. 개원 준비 329
1) 환자 권리와 의무 고지
2) 비급여 진료비용 등 고지
3) 의료인 등의 명찰 패용
4) 진료 준비 체크리스트

4. 의료기관 개설사항 변경 334
1) 변경신고 사항
2) 주요시설 현황 변경
3) 대진의 신고와 역할

5. 의료기관 휴업 및 폐업 336
1) 휴업기간
2) 휴·폐업 신고 및 이후 조치
3) 진료기록부 이관

제12장 개원이후 병원 운영

1. 의료기관에 대한 지도·감독 340
1) 개설 허가 취소 또는 폐쇄
2) 면허 취소
3) 업무정지
4) 자격정지

2. 병원의 문서와 규정, 매뉴얼 344
1) 병원의 문서
2) 병원 규정과 서식
3) 매뉴얼(업무 지침서) 작성
4) 개원초 리스크와 해결방법

3. 개원 후 경영평가 347
1) 외래 환자수 통계
2) 환자 거주지별, 성별, 연령별 분포
3) 퇴원 진료비 통계
4) 검사 통계
5) 손익분석

4. 개원 후 3년, 유지하거나 성장하거나 349
1) 진료실을 늘리는 시기
2) 확장을 고려하는 시기
3) 이전을 해야할 시기 및 검토사항
4) 병원으로 종별전환할 시기
5) 성장기와 쇠퇴기

저자소개

박병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자 박병상 박사는 국내 ㅤㅂㅕㄷ의원 개원 컨설팅의 1인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자는 수십 년 동안 수많은 중소병원과 의원의 개원을 현장에서 직접 지휘한 경험이 있으며, 이러한 경험과 이론을 정리한 저서가 10여권을 넘습니다. 박병상 박사는 병원급 의료기관의 건립본부장을 거쳐, 국내 최대 의료네트워크 경영지원회사의 대표를 역임하였습니다. 또 여러 병원의 개원 컨설팅 경험과 경영진단, 장기발전 등의 전략과 몇몇 해외 병원의 건립 계획에 파트너로도 참여했습니다. 박병상 박사는 경희대학교, 연세대 보건대학원을 마쳤으며,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보건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한국병원경영학회 학술이사, 한국병원경영연구원 연구원, 개원박람회 사무국장, 개원사관학교 운영 경험과 강의 및 언론기고 등의 활동을 하였습니다. 저서로 1998년 국내 최초의 개원정보서인 《병의원 개원가이드》를 냈으며, 이후 《의료기관 개원플러스 100》, 《성공하는 의사들을 위한 개원강좌》, 《병원 CEO를 위한 개원과 경영의 7가지 원칙》 등이 있습니다. 또 《의료기관 경영실무핸드북》, 《클리닉센터 개발 가이드》, 《실전 클리닉 개원 매뉴얼》, 《전문병원 개원과 건축》, 《고객응대 서비스 매뉴얼》등의 공저가 있습니다. 박병상 박사는 이외에도 -하나이비인후과 병원 네트워크 해외진출사업, -울진군의료원 중장기 발전방안 용역연구(2015년), -성남의료원 특성화 방안 연구보고서(2014년) 등 20여 편의 연구보고서와 -DEA효율성과 수익성 지표를 이용한 종합병원 경영성과 분석(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의료기사의 의사 지도권에 관한 연구(한국병원경영연구원, 2010). -DEA를 이용한 종합병원의 효율성 평가(한국콘텐츠학회, 2009) 등 10여 편의 학술연구 논문이 있습니다. 또 -전국 46개의 하나이비인후과 네트워크 관리, –개원 및 경영지원 업무, -네트워크 핵심역량, 비전과 미션 등 브랜드 정체성 확립, -개원 전 교육 및 전국네트워크 직원 역량 향상 교육(서울에서 진행), -전국 하나이비인후과 고객만족 및 브랜드 인지도 조사(N=2,215) 등 20여건의 네트워크 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 이외에도 -경희대 의료경영대학원,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외 대학 특강 다수, 병원 개원학교 운영, 개원관련 강의, -병원경영 MBA과정 / 이화여자대학교 의료MBA 등 강의, -조선일보 땅 집고 “메디컬빌딩 건축 마스터클래스” 전문 강사(1,2,3기 /2022년 3,5,8월) 등 숱한 강의와 병원신문을 비롯한 의료계 전문지 등에 병의원 개원 및 경영에 대한 많은 기고를 하였습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