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88970175508
· 쪽수 : 279쪽
· 출판일 : 2024-01-22
책 소개
목차
제1부 WHY 인사평가 트랜스포메이션
ChapterⅠ. 인사평가 패러다임 변화
1. 우리는 왜 인사평가를 하는가?
2. 인사평가의 두 가지 모습:성과관리 vs. 근무평정
3. 글로벌 기업의 인사평가 변화
4. 국내기업의 인사평가 변화
ChapterⅡ. 인사평가의 문제점은 무엇일까?
1. 계량화에 대한 환상
2. 상대평가? 절대평가?
3. 승진대상자 우대 현상
4. 목표설정 애로
5. 평가권 문제(1차 평가-2차 평가)
6. 성과평가와 역량평가의 차이
7. 평가 피드백 애로
제2부 HOW 인사평가 트랜스포메이션
ChapterⅢ. 첫 번째 솔루션
성과책임(Accountability)에서 출발해라
1. 성과책임이란 무엇인가?
2. 성과책임의 개념(1)
3. 성과책임과 영향력
4. 성과책임의 개념(2)
5. 성과책임 규명
6. 성과책임 사례 분석
7. 성과책임과 인사관리 실무
8. 성과책임의 개념(3)
9. 성과책임 규명 vs. 성과책임 인식
10. 성과책임과 조직문화의 변화
ChapterⅣ. 두 번째 솔루션
MBO(Management by objectives and self-control)의 본질을 회복하자
1. MBO란 무엇인가?
2. MBO 실무
3. MBO vs. OKR vs. BSC
ChapterⅤ. 세 번째 솔루션
평가권을 1차 평가자에게 위임하라
1. 평가권의 변화:1차 평가자 중심의 평가권 설계
2. 평가등급 결정 기준
3. 평가등급 결정 절차
4. 평가등급 결정 시 핵심이슈
5. 절대평가 성공 방안:인건비 예산 배분 방식
ChapterⅥ. 네 번째 솔루션
KPI에 의한 평가에서 벗어나라
1. 정량평가는 공정한가? 그리고 정성평가는 불공정한가?
2. 정량평가 vs. 정성평가
3. KPI의 올바른 활용방법
4. 평가의 본질은 객관일까? 주관일까?
5. 주관적 평가를 어떻게 공정하게 할 수 있을까?
ChapterⅦ. 다섯 번째 솔루션
다면평가를 적극 활용하자
1. 다면평가를 왜 하는가?
2. 다면평가 사례
3. 동료 다면평가자 구성
4. 다면평가 시행 시 실무적 이슈
ChapterⅧ. 여섯 번째 솔루션
인사평가 운영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라
1. 인사평가 운영 개요
2. 성과목표란 무엇인가?
3. 목표합의 수립 절차와 원칙
4. 목표합의서 작성 이슈
5. 목표변경 이슈
6. 수시코칭 개념 이해하기
7. 수시코칭 절차와 원칙
8. 수시코칭 면담 이슈
9. 수시코칭 보고서 작성 이슈
10. 최종평가 절차와 원칙
11. 평가 사전 면담 & 평가 피드백 면담
12. 성과평가 양식 작성 이슈
제3부 DO 인사평가 트랜스포메이션
ChapterⅨ. 인사평가 설계와 변화관리
1. 인사평가 설계 프로세스
2. 인사평가 구조와 절차 설계
3. 역량평가에 대한 접근
4. 인사평가 개편과 취업규칙 변경 절차
5. 인사평가 변화관리(1)
6. 인사평가 변화관리(2)
7. 인재경영의 비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