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역사소설 > 한국 역사소설
· ISBN : 9788970278483
· 쪽수 : 478쪽
· 출판일 : 2025-02-24
책 소개
목차
글을 시작하면서
일러두기
ㆍ복면한 무장대, 대동청년단 간부 집 침입
ㆍ제주 4·3 사건 발발
ㆍ김달삼과 김억렬 연대장, 소위 평화회담
ㆍ연대장 박진경 대령 암살과 군경의 토벌 작전
ㆍ무장대의 김녕리 유지·우익인사 살해
ㆍ김달삼, 김녕리까지 파고들어 청년 포섭
ㆍ유격대 사령관 김달삼의 야심과 ‘인민 유격대 투쟁 보고서’
ㆍ여수 14연대 반란과 제주 4·3 사건에 미친 영향
ㆍ남로당 무장대의 월정리 습격과 만행
ㆍ무장대의 무자비와 잔혹성
ㆍ군경에 의한 김녕리 주민 처형
ㆍ기구한 운명의 세 여인
ㆍ경찰관과 희생자 부인 간의 사랑
ㆍ양민 집단 학살 사건
ㆍ소개 이주민과 동굴 피신 주민 처형
ㆍ무장대의 군에 대한 최대 보복 작전
ㆍ한재길 지서장, 동복리장 즉결 처형 막아
ㆍ토벌군의 대승과 무장대의 대패(大敗) 전투
ㆍ이덕구 인민 유격대 사령관 사살
ㆍ무장대 중간 두목 우경원의 은신과 체포
ㆍ무장대 내의 반란, 고승옥 유격대 사령관 살해
ㆍ제주 젊은이, 빨갱이 오명 씻기 위해 6·25 전쟁 자원출정
ㆍ무장대의 김녕리 남흘동 습격, 양민 살해 및 소녀 납치
ㆍ제주 4·3 사건 토벌 종결, 평화 도래
ㆍ제주인의 연좌제 질곡
ㆍ4·3 사건 토벌군 지휘관과 6·25 전쟁
ㆍ4·3 사건 희생자 현황
ㆍ미군정과 4·3 사건
ㆍ4·3 사건의 실체적 진실
ㆍ초토화 작전(焦土化 作戰) 피해, 국가 책임
ㆍ4·3 무고한 희생자, 결국 건국에 기여한 애국자
글을 마치면서(후기)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