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보통신 배움터

정보통신 배움터

(개정3판)

정진욱, 안성진, 김현철, 구자환, 이원혁 (지은이)
생능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보통신 배움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보통신 배움터 (개정3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컴퓨터공학 > 정보통신 공학
· ISBN : 9788970507040
· 쪽수 : 688쪽
· 출판일 : 2011-07-21

목차

PART I 정보통신 입문

CHAPTER 01 정보통신의 개요
1.1 정보통신의 개념
1.1.1 정보란 무엇일까요?
1.1.2 정보통신이란?
1.1.3 정보통신의 역할도 많겠군요
1.2 정보통신의 역사를 살펴볼까요?
1.2.1 가청 및 가시거리 통신
1.2.2 전기통신 : 원거리통신
1.2.3 정보통신 : 네트워크+컴퓨터
1.3 아날로그와 디지털
1.3.1 신호란 무엇인가요?
1.3.2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1.3.3 비트와 보오란?
1.3.4 스펙트럼과 대역폭이 뭔가요?
1.3.5 부호화란?
1.3.6 코덱이 뭔가요?
1.3.7 모뎀이란?
1.4 통신의 대부 전화망
1.4.1 통신망은 전화망의 이해로부터 시작되는군요
1.4.2 재미있는 교환기의 역사
1.4.3 전화망 구성을 알아볼까요?
1.4.4 전화번호는 어떻게 할당되나요?
1.4.5 전화망의 두뇌 SS7이란?(지능망)
■연습문제

PART II IP와 정보통신 기초

CHAPTER 02 전송 기술 및 교환 기술
2.1 전송방식의 유형
2.1.1 직렬전송과 병렬전송을 알아볼까요?
2.1.2 단방향 전송과 양방향 전송이라는 게 있군요
2.1.3 비동기식 전송과 동기식 전송을 살펴볼까요?
2.2 아날로그 전송과 디지털 전송을 알아보도록 할까요?
2.2.1 아날로그 전송이란?
2.2.2 디지털 전송이란?
2.2.3 아날로그 전송 방법의 종류를 알아볼까요?
2.3 다중화 전송방식의 이해가 필수랍니다
2.3.1 정보의 다중화란?
2.3.2 다중화 전송방식의 종류가 많군요
2.4 교환기술을 알아볼까요?
2.4.1 교환기가 뭔가요?
2.4.2 회선 교환방식이란?
2.4.3 패킷 교환방식이란?
2.4.4 ATM(셀) 교환방식이란?
2.5 전송매체도 알아봐야겠군요
2.5.1 UTP 케이블
2.5.2 동축(Coaxial) 케이블
2.5.3 광케이블(Optical Fiber)
2.5.4 무선 매체
■연습문제

CHAPTER 03 네트워크 기술
3.1 네트워크 분류 및 형태
3.1.1 OSI 7계층이란?
3.1.2 정보통신 표준화 조직에는 뭐가 있나요?
3.2 친숙한 근거리 통신망(LAN)이로군요
3.2.1 근거리 통신망이란?
3.2.2 근거리 통신망 구조가 복잡한가요?
3.2.3 근거리 통신망을 분류해 볼까요?
3.2.4 리피터란?
3.2.5 브리지? 갑자기 웬 다리?
3.2.6 스위치란?
3.2.7 드디어 라우터군요
3.2.8 게이트웨이는 또 뭔가요?
3.2.9 고속 LAN(FDDI, 고속 이더넷, (1/10/100)기가비트 이더넷)을 알아볼까요?
3.3 MAN
3.3.1 MAN이 뭔가요? 웬 남자?
3.3.2 MAN의 주기능이 뭔가요?
3.3.3 메트로(옵티컬) 이더넷이란?
3.4 광대역 종합정보 통신망
3.4.1 광대역 종합정보 통합망이란?
3.4.2 SONET이란?
3.4.3 광네트워크란?
3.4.4 종합정보 통신망이란?(ISDN, B-ISDN이란?)
3.4.5 ATM이란?
3.5 네트워크도 전세가 되나 봅니다
3.5.1 VAN? 갑자기 웬 봉고?
3.5.2 MVNO란?
3.6 MAN/WAN의 천하통일 캐리어 이더넷
3.6.1 네트워크의 새로운 강자, 캐리어 이더넷
3.6.2 기가코리아 프로젝트(GigaKorea Project)? IT 강국이여 영원하라
3.7 이동통신을 잠깐 살펴볼까요?
3.7.1 셀룰러 이동통신이란?
3.7.2 무선전화
3.7.3 무선호출
3.7.4 GPS란?
3.7.5 개인휴대통신 서비스(PCS)란?
3.7.6 저궤도위성통신이란?
3.7.7 TRS란?
3.7.8 IMT2000
■연습문제

CHAPTER 04 인터넷
4.1 인터넷이란?
4.1.1 프로토콜이란?
4.1.2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이란?
4.1.3 인터넷이란?
4.1.4 인터넷의 역사는 어떻게 되나요?
4.1.5 인터넷 서비스 및 주소 체계를 알아볼까요?
4.1.6 WWW(World Wide Web)가 뭔가요?
4.1.7 X-Internet이 뭔가요?
4.1.8 Internet-II도 있네요?
4.2 TCP/IP란?
4.2.1 TCP가 뭔가요?
4.2.2 IP가 뭔가요?
4.3 IPv4와 IPv6
4.3.1 두 개의 버전이 있군요
4.3.2 IPv4와 IPv6은 많이 다른가요?
4.3.3 라우팅이 뭔가요?
4.4 모바일 IP란?
4.4.1 IP가 움직이나요?
4.4.2 모바일 IP 네트워크 구성을 알아볼까요?
4.4.3 모바일 IP는 언제 어디서 사용하나요?
4.5 VLAN(Virtual LAN)과 VPN(Virtual Private Network)
4.5.1 VLAN은 또 뭐지요?
4.5.2 VPN이란?
4.6 인터넷이 제공하는 콘텐츠는 뭐가 있나요?
4.6.1 인터넷 포털
4.6.2 블로그가 뭔가요?
4.6.3 온라인 커뮤니티
4.6.4 게임을 모르는 사람도 있나요?
4.6.5 엔터테인먼트
4.6.6 인터넷에도 미디어가 있군요
4.6.7 인터넷 품질 보증(SLA)이 뭐지요?
■연습문제

CHAPTER 05 초고속 가입자 네트워크 기술
5.1 초고속 유선 가입자 네트워크 기술
5.1.1 초고속 유선 가입자 네트워크 개요
5.1.2 xDSL이란?(DDNS는 또 뭔가요?)
5.1.3 CATV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은 어떻게 되나요?
5.1.4 인터넷 공유기의 구성과 역할은 어떻게 되나요?
5.1.5 FTTx 기술이란? x 기술들이 정말 많군요
5.1.6 HFC는 뭔가요?
5.1.7 IEEE1394와 USB도 네트워크가 되는군요!
5.2 초고속 무선 가입자 네트워크 기술
5.2.1 초고속 무선 가입자 네트워크를 알아볼까요?
5.2.2 B-WLL
5.2.3 무선랜
■연습문제

CHAPTER 06 무선통신 기술
6.1 무선통신
6.1.1 이동통신의 기초를 알아볼까요?
6.1.2 이동통신의 발달 과정을 알아볼까요?
6.2 1세대 무선통신
6.2.1 1세대 시스템? 오래된 거군요
6.3 2세대 무선통신을 살펴볼까요?
6.3.1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6.3.2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6.3.3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6.3.4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6.4 2.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도 있군요
6.4.1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6.4.2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6.4.3 CDMAOne(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ne)
6.4.4 CDMA2000 1X
6.5 3세대 이동 통신을 살펴볼까요?
6.5.1 WCDMA(Wideband CDMA)
6.5.2 DECT(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phone)
6.5.3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6.5.4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6.5.5 CDMA2000 1x EV-DO(Evolution Data Only)
6.5.6 CDMA2000 1x EV-DV(Evolution Data & Voice)
6.6 차세대 무선통신 기술도 종류가 많군요
6.6.1 ALL-IP 네트워크
6.6.2 UWB(Ultra-WideBand)
6.6.3 지그비(Zigbee)
6.6.4 와이파이(WiFi)와 나만의 무선랜 마이파이
6.6.5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6.6.6 휴대인터넷
6.6.7 WiBro와 LTE
■연습문제

PART III 정보통신 응용

CHAPTER 07 인터넷 서비스
7.1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살펴보지요
7.1.1 VoIP가 뭔가요?
7.1.2 H.323은 뭔가요?
7.1.3 SIP는 또 뭔가요?
7.1.4 VoIP와 SS7
7.1.5 소프트스위치란?
7.1.6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란?
7.1.7 콜센터가 뭔가요?
7.2 인터넷 방송 서비스
7.2.1 인터넷 방송이란?
7.2.2 인터넷 방송을 좀 더 알아보도록 할까요?
7.3 인터넷 보안 서비스
7.3.1 해킹이란?
7.3.2 해커가 뭘까요?(해커와 크래커)
7.3.3 맛있는 쿠키
7.3.4 바이러스? 웜?
7.3.5 어떻게 웜은 스스로 전파가 되죠?
7.3.6 IP 스푸핑? IP 스니핑?
7.3.7 DoS와 Ddos 공격
7.3.8 네트워크 지킴이 보안장비(Firewall, IDS, IPS)들은 어떤 게 있나요?
7.3.9 생체인식과 PKI
7.3.10 PGP는 또 뭔가요?
7.3.11 공인인증서는 왜 쓰지요?
■연습문제

CHAPTER 08 전자상거래 서비스
8.1 전자상거래 관련 국제 기구를 알아볼까요?
8.2 전자상거래의 역사
8.2.1 전자상거래 표준화, 정말 중요하군요
8.3 전자상거래 서비스의 유형을 볼까요?
8.3.1 B2C 전자상거래
8.3.2 B2B 전자상거래
8.3.3 B2G 전자상거래
8.4 모바일 상거래 서비스
8.4.1 둥둥둥! 모바일 상거래의 등장
8.4.2 모바일 상거래 서비스
8.4.3 모바일 지불결재 서비스
8.4.4 신용카드 무선 결재 서비스
8.5 T-커머스
8.5.1 T-커머스의 등장
8.5.2 T-커머스와 E-커머스가 다른 건가요?
8.5.3 T-커머스 유형
8.5.4 차세대 T-커머스의 대표주자 NFC를 알아볼까요?
■연습문제

CHAPTER 09 홈 네트워크 서비스
9.1 홈 네트워크란?
9.1.1 홈 네트워크가 뭐지요?
9.1.2 홈 네트워크는 어떻게 구성되나요?
9.2 홈 네트워크 기술
9.2.1 홈 게이트웨이가 궁금하군요
9.2.2 홈 서버가 하는 일은 뭔가요?
9.2.3 유선 홈 네트워크 기술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9.2.4 홈 PNA
9.2.5 IEEE 1394
9.2.6 PLC란?
9.2.7 블루투스가 뭔가요?
9.2.8 IEEE802.11
9.2.9 홈 RF란?
9.2.10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라는 게 있군요
9.3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알아볼까요?
9.3.1 홈 스트리밍 서비스란?
9.3.2 공장 자동화가 아닌 홈 자동화
9.4 홈 네트워크 보안이 중요하지요
9.4.1 홈 네트워크가 가정을 지킬 수 있나요?
9.4.2 국내 홈 네트워크는 어떻게 구축되었나요?
■연습문제

CHAPTER 10 유무선 통합 서비스
10.1 휴대 인터넷
10.1.1 휴대 인터넷이란?
10.2 이동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10.2.1 IMT-2000? CDMA? EV-DO? 복잡하군요
10.2.2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10.2.3 WIPI? 와이파이랑 다른 건가요?
10.2.4 휴대 인터넷과 HSDPA가 뭐가 다르죠?
10.3 유무선 통합
10.3.1 유무선 통합 현황(국내)
10.3.2 유무선 통합 현황(국외)
10.3.3 유무선 통합 서비스 출현 배경
10.3.4 유무선 통합의 산물 FMC와 FMS
10.4 모바일 서비스가 너무 많아요
10.4.1 움직이는 VoIP, mVoIP
10.4.2 N-스크린이란?
10.4.3 테더링 서비스는 또 뭔가요?
10.5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10.6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10.6.1 인터넷 무전기 PTT 서비스, 대답하라 오버
10.6.2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
■연습문제

CHAPTER 11 웹 서비스 기술
11.1 웹 서비스란?
11.1.1 웹 서비스가 무엇인가요?
11.1.2 웹 서비스는 어떻게 동작하나요?
11.1.3 웹 서비스를 어디에 활용할 수 있을까요?
11.2 SOAP란?
11.3 UDDI란?
11.4 WSDL이란?
11.5 HTML과 신세대 HTML, HTML5
11.6 웹 서비스 적용 사례와 웹 서비스 관리
11.6.1 웹 서비스 적용 사례를 알아볼까요?
11.6.2 웹 서비스 관리란 무엇인가요?
11.7 Web2.0은 도대체 뭔가요? 웹 서비스도 버전이 있나 보군요?
■연습문제
PART IV 차세대 정보통신 세계

CHAPTER 12 방송 융합 서비스
12.1 영상 미디어 서비스 개요
12.1.1 멀티미디어란?
12.1.2 JPEG 그리고 MPEG란 뭔가요?
12.1.3 MP3(MPEG Audio Layer-3)란?
12.1.4 H.264가 대세라는데요?
12.1.5 DVD란?
12.1.6 멀티미디어 통신이란?
12.1.7 멀티미디어 활용 분야는 어디인가요?
12.2 디지털 방송 서비스
12.2.1 디지털 방송 서비스란?
12.2.2 지상파 디지털 방송
12.2.3 위성 디지털 방송
12.2.4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란?
12.2.5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란?
12.2.6 디지털 워터마킹이란?
12.2.7 PVR(Personal Video Recorder)이란?
12.3 IPTV
12.3.1 IPTV 서비스 가입자가 많군요
12.3.2 모바일 IPTV
12.4 DVR(Digital Video Recoder)
12.5 주문형 방송 서비스
12.6 영상전화 서비스
12.7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도 유용하군요
12.8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은 또 뭔가요?
■연습문제

CHAPTER 13 차세대 신기술 서비스
13.1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13.1.1 위치기반 서비스가 뭔가요?
13.1.2 위치기반 서비스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3.1.3 위치 측정 기술을 알아볼까요?
13.1.4 GPS가 뭔가요?
13.2 텔레매틱스 서비스
13.2.1 텔레매틱스가 뭐죠?
13.2.2 GPS를 이용한 CNS(Car Navigation System)이란?
13.2.3 드림넷 서비스란?
13.2.4 네이트 드라이브 서비스란?
13.2.5 차량 원격진단 서비스란?
13.3 지능형 교통정보 서비스
13.3.1 교통정보 시스템에도 지능이 있나 보군요
13.3.2 지능형 교통정보 서비스에 필요한 기술은 뭔가요?
13.4 스마트카드
13.4.1 스마트카드가 뭔가요?
13.4.2 스마트카드는 여러 군데에서 사용하겠군요
13.5 소셜 서비스(Social Service)
13.5.1 소셜 네트워크가 대세군요
13.5.2 소셜 미디어는 뭐고 종류는 어떤 게 있나요?
13.5.3 새로운 상거래 소셜 커머스
■연습문제

CHAPTER 14 유비쿼터스 기술
14.1 유비쿼터스란?
14.1.1 유비쿼터스가 뭔가요?
14.1.2 유비쿼터스 네트워킹과 컴퓨팅이란?
14.2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은 어떤 것이 있나요?
14.2.1 광대역 네트워크와 상시접속
14.2.2 모바일과 상시접속
14.2.3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14.2.4 IPv6
14.3 유비쿼터스 정보기술
14.3.1 무선 식별(RFID) 기술
14.3.2 센서 기술
14.3.3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연습문제

PART V 정보통신 윤리

CHAPTER 15 정보통신 윤리
15.1 인터넷 윤리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15.1.1 인터넷의 특성을 알아볼까요?
15.1.2 인터넷의 순기능과 역기능
15.1.3 인터넷에도 윤리가 있군요
15.2 인터넷 사회의 문제점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15.2.1 유해정보가 뭔가요?
15.2.2 인터넷 중독(Internet Addiction)이란?
15.2.3 개인정보와 지식재산권
15.2.4 해킹과 컴퓨터 바이러스 피해
15.2.5 인터넷 사기
15.2.6 인터넷 광고, 스팸 공해
15.3 네티켓이란?
15.4 인터넷 윤리와 관련된 법률에 대하여 알아볼까요
15.4.1 정보통신관련 현행 법령 체계가 정말 많군요
15.4.2 느린 거북이 정보통신윤리 관련 법규
15.5 인터넷 윤리 관련 기관과 제도를 알아봅시다
15.5.1 인터넷 윤리 관련 기관이 정말 많군요
15.5.2 인터넷 윤리 관련 제도가 상당히 많군요
■연습문제

찾아보기

저자소개

정진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4년 성균관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1979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전자공학과 졸업(공학석사) 1991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전자계산학과 졸업(이학박사) - 주요 경력 1973~1985년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실장 1992~1993년 미국 Maryland 대학교 객원교수 1997~1998년 컴퓨터 침해사고 대응팀 협의회(CONCERT) 운영위원장 2002~2002년 한국정보처리학회 회장 1985~2011년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교수 2007~2010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장 2009~2015년 인터넷윤리실천협의회 회장 2011년~현재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명예교수 - 관심분야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관리, 네트워크 보안, 인터넷 QoS
펼치기
안성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8년 성균관대학교 정보공학과 졸업(공학사) 1990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정보공학과 졸업(공학석사) 1998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정보공학과 졸업(공학박사) - 주요 경력 1990~1995년 KIST/시스템공학연구소 연구원 1996년 정보통신기술사 1999년~현재 성균관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2022년~현재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회장 - 관심분야 네트워크관리, 산업(연구)보안, 컴퓨터교육, AI윤리, 데이터과학
펼치기
김현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0년 성균관대학교 정보공학과 졸업 1992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정보공학과 졸업(공학석사) 2005년 성균관대학교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부 졸업(공학박사) 현재 남서울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 - 주요 경력 1992~2002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선임연구원 2003~2005년 ㈜아이트로닉스정보통신 연구소장 2005~2006년 한국정보통신대학교(ICU) 교수 - 관심분야 초고속 통신망, 광 인터넷, BcN, IPTV
펼치기
구자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5년 성균관대학교 정보공학과 졸업 1997년 성균관대학교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부 일반대학원 졸업(공학 석사) 2006년 성균관대학교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부 일반대학원 졸업(공학 박사) 주요 경력 1997년~1999년 한국정보시스템(KIS) 기술개발연구소 연구원 1999 ~2002년 LG CNS 정보기술연구소 연구원 2006년~2007년 성균관대학교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부 연구교수 2007년~2010년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Postdoctoral Fellow 2010년~2011년 현재 (주)차후 부설연구소 본부장
펼치기
이원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0년 성균관대학교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부 졸업 2002년 성균관대학교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과 일반대학원 졸업(공학석사) 2009년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졸업(공학박사) - 주요 경력 2003년~현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책임연구원, 양자&차세대연구망팀 팀장 - 관심분야 광통신 네트워크, 컴퓨팅 전용망, 네트워크 관리, 양자암호통신망 구축 및 관리 기술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