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88970859415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09-04-13
목차
01/ 기회비용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02/ 매몰비용도 일종의 비용인데 왜 고려대상이 아닌가요?
03/ 실업이 감소하면 노동이 증가하니까 생산가능곡선이 이동하지 않나요?
04/ “가격이 하락했음에도 공급량이 늘어났으므로 공급의 법칙에 어긋난다”라는 설명이 틀린가요?
05/ 라면은 쌀의 대체재인가요, 보완재인가요?
06/ 미국산 쇠고기와 돼지고기가 정상재와 열등재 관계라고 말할 수 있나요?
07/ 연예인의 수입이 왜 소방대원보다 훨씬 더 높나요?
08/ 탄력성과 수요곡선의 기울기는 어떤 관련이 있나요?
09/ 단위 탄력적이면 총수입의 변화는 없어야 한다?
10/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과점시장의 예를 들어주세요.
11/ 독점적 경쟁시장과 과점시장은 어떻게 구분하죠?
12/ 담합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닌 것 같아요
13/ 산 정상에서 파는 컵라면은 왜 비싼가요?
14/ 최저임금이 오르면 전보다 돈을 더 많이 받게 돼 좋은 것 아닌가요?
15/ 모든 독점시장은 규모의 경제 때문에 생기는 것인가요?
16/ 비행기 탑승객들이 몰래 담요를 가져가는 행위는 외부효과를 유발한다고 볼 수 있나요?
17/ 긍정적 외부효과가 있어도 시장실패라고 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요?
18/ 민간이 생산하는 공공재도 가능한가요?
19/ 시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모두 시장실패의 현상인가요?
20/ 비싸진 재화를 더 많이 소비하면 경제법칙에 어긋나는 건가요?
21/ 우리 집 안마당에 길러먹는 채소도 GDP에 포함되나요?
22/ 일부가 소비되지 않아도 “3면 등가의 법칙”이 성립할까요?
23/ 한류스타가 벌어들이는 돈은 GDP에 포함되지 않나요?
24/ 총수요는 “소비+투자+정부지출+수출”인가요, “소비+투자+정부지출+수출-수입”인가요?
25/ 실질 GNI는 후생수준을 나타내는 지표가 아닌가요?
26/ 10분위 분배율과 10분위 배율은 다른 건가요?
27/ 명목변수와 실질변수를 구분하는 이유는?
28/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항상 손해를 보나요?
29/ 모든 금리를 한국은행이 정하는 것인가요?
30/ 주말에 1시간씩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데도 취업자인가요?
31/ 마찰적 실업과 자발적 실업도 실업자인가요?
32/ 경기 호황기에는 물가와 이자율이 최고로 오르나요?
33/ 통화량이 총수요를 변화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34/ 선진국이 후진국과 교역해서 얻는 이득이 있을까요?
35/ 보호무역이 경제성장을 방해하나요?
36/ 환율 상승이 항상 경상수지 개선을 가져오지는 않나요?
37/ 국내 물가가 오르면 수출이 잘 될까요, 아니면 안 될까요?
38/ 특허권 매매가 자본 거래에 해당하나요?
39/ 이자율이 올라가면 주가가 떨어지나요?
40/ 채권의 가격과 이자율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