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시간관리/정보관리 > 정보관리
· ISBN : 9788970859736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09-01-10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꾸준한 실용독서는 최고의 자기계발법이다
Part1 독서 전前__직장인과 독서전략
chapter.1 독서의 이유
직장인들이여, 하이컨셉·하이터치로 무장하자
최고의 효용성을 지닌 자기계발, 독서
리더leader가 되려면 리더reader가 되자
사회초년병과 대학생을 위한 독서 조언
올해의 책 다섯 권
chapter. 2 직장생활과 독서
지식사회를 살아가는 최강 경쟁력의 원천
창의성과 아이디어의 원천을 찾으라
환경이 독서력을 이끈다
몰입을 습관화하는 최고의 방법
디지털 vs. 아날로그, 그리고 책의 향기
미래를 경영하라
chapter.3 인생의 목표와 독서
운명을 바꾸는 습관, 독서
책 읽는 사람 vs. 읽지 않는 사람
힘든 시기를 무사히 넘기는 지혜 하나
성공적인 인생을 사는 현명한 방법
'글로 쓴다'는 것의 의미
펄떡이는 물고기처럼
Part2 독서 중中__직장인을 위한 실용독서법
chapter.4 실용독서 준비하기
독서효과를 높이는 독서목표 세우기
독서시간을 확보하라
여러 권의 책을 준비하라
주기적으로 도서를 구입하라
요약본의 용도는 따로 있다
정독과 다독의 장단점
독서목록을 정리하라
다치바나와 공병호의 독서법
지하철에서 책 읽기
chapter.5 직장인을 위한 도서선정하는 법
관심테마를 결정하라
베스트셀러 vs. 스테디셀러
책 자체에 대한 정보를 꼼꼼히 살펴본다
인터넷을 최대한 활용하라
정기적으로 서점을 방문한다
독서네트워크로 독서효율 높이기
문고판의 추억
생각이 차이를 만든다, 생각의 탄생
chapter.6 실용독서의 기술
독서법에 대한 책 읽기
속독速讀할 책과 숙독熟讀할 책
생각의 깊이를 조절하며 읽으라
핵심내용과 키워드를 파악하라
다양한 관점을 적용하라
깨끗한 책 vs. 지저분한 책, 스타일일 뿐이다
독서에도 슬럼프가 찾아온다
분야별 독서법
가장 영향력 있는 경영사상가 20인과 경제경영서 20선
모티베이터, 육일약국 갑시다
Part3 독서 후後__직장인을 위한 독서활용의 지혜
chapter.7 독서 후 정리법
책을 바로 덮지 말라
독서노트를 작성하라
소셜네트워킹 독서를 하라
책을 분류하고 정리하라
자신만의 독서법을 개발하라
롱테일 독서법
혜민아빠가 추천하는 직장인 자기계발 필독서 베스트 5
chapter. 8 실용독서 활용법
의미없는 책은 없다
실용독서의 목적
트렌드를 읽는 힘을 기르라
아이디어를 얻고, 업무에 창의적으로 적용하라
책의 가치를 재평가하라
책을 타산지석으로 삼으라
행운이란
피드백 이야기, 낯선 곳에서의 아침
chapter.9 독서와 글쓰기
독서와 글쓰기의 시너지효과
자신만의 책을 쓰라
문향文香: 글의 향기
인디라이터
닫는 글 나를 찾아 떠나는 행복한 여행길, 실용독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업무성과가 뛰어난 직원이 팀원이 아닌 리더의 위치에 오르면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팀원의 위치에서는 개인의 업무능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지만 리더에게는 업무능력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능력·동기부여능력·비전제시능력 등 팀원들을 통솔하는 리더십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능력은 어디서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 단순히 리더로서 경력과 경험이 쌓이면 되는 것일까? 실제적인 경험을 쌓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현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경쟁이 심화되고 전에 없이 조직구성원들에게 냉엄해진 사회에서는 결코 개인에게 충분한 시간을 주고 기다려주지 않는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답은 역시 독서에 있다. 리더에게 필요한 다양한 기술과 능력, 심지어 리더가 되었을 때 실패하는 이유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풀어놓은 책도 있다. 직접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책 외에도 성공한 리더의 리더십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 리더에게 필요한 기술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준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주기도 한다. 독서를 하면서 자신을 리더 위치에 놓고 자신이 책 속의 상황에 처했다면 어떻게 대처했을지 생각해보는 적극적인 독서방법을 사용한다면 많은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으며 충분한 간접경험이 된다. 꾸준히, 적극적으로 독서를 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간접경험이 쌓여서 자신의 상황에 걸맞는 방법을 취사선택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를 수 있다. - 본문 중에서
책을 많이 읽는 것이 좋은가, 아니면 한 권의 책을 읽어도 제대로 읽는 것이 중요한가? 정독이냐 다독이냐의 문제는 개인의 독서습성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가끔 독서를 시작하는 사람의 경우 질적인 독서가 중요할까 아니면 양적인 독서가 중요할까 하면서 고민하고 질문할 때가 있다. 그런 질문을 한다는 것 자체가 질적인 독서를 경험해보지 못했다는 반증이며 자신의 의지와 습관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의문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인간은 망각의 동물이다. 아무리 기억하고자 노력해도 모든 것을 기억할 수는 없다. 정독을 한다고 해도 실제로 기억할 수 있는 부분은 그리 많지 않다. 물론 정독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많은 사색의 시간은 중요하지만 그렇다고 다독을 한다고 해서 사색의 시간이 적다는 뜻은 아니다. 다독이라는 단어가 주는 뉘앙스가 책을 대충대충 많이 읽는 것을 의미하는 것처럼 들리지만, 정독과 다독은 하나의 주제에 대해서 한 권의 책을 세심하게 읽는 것과 같은 주제의 책을 많이 읽는 것에 대한 얘기로 이해하는 것이 옳다. 한 권의 책에서 모든 것을 흡수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한 분야에 대한 바이블이 존재해서 모든 것을 다 아우를 수는 없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