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내과 > 내과일반
· ISBN : 9788970895994
· 쪽수 : 321쪽
· 출판일 : 2005-04-15
목차
chapter 1. 결핵의 역사와 역학(epidemiology)
제1장. 결핵의 역사(history of tuberculosis)
제2장. 세계의 결핵 실태(global epidemiology of tuberculosis)
제3장. 한국의 결핵 실태(epidemiology of tuberculosis in Korea)
chapter 2. 결핵의 발병기전(pathogenesis)
제1장. 결핵균(M. tuberculosis)
제2장. 결핵균과 숙주(host)의 상호작용(interaction)
제3장. 결핵균 감염(infection)
제4장. 결핵의 발병(development of tuberculosis)
제5장. 결핵의 위험인자(risk factors)
제6장. 결핵의 병리(pathology)
chapter 3. 결핵의 진단(diagnosis)
제1장. 문진(history taking)과 이학적 검사(physical examination)
제2장. 흉부 방사선 촬영(chest X-ray)
제3장. 결핵균 검사(bacteriologic examination)
제4장. 투베르쿨린 검사(tuberculin skin test)
제5장. 조직학적 검사(histologic test)
제6장. 혈청학적 검사(serologic test)
제7장. 약제 감수성 검사(drug sensitivity test)
chapter 4. 항결핵 약제
제1장. 항결핵 약제의 분류
제2장. 아이나(Isoniazid)
제3장. 리팜핀(Rifampicin), 리파부틴(rifabutin)
제4장. 피라진아마이드(Pyrazinamide)
제5장. 에탐부톨(Ethambutol)
제6장.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s), capreomycin
제7장. 사이클로세린(Cycloserine)
제8장. 퀴놀론(Fluoroquinolone): ciprofloxacin, ofloxacin, levofloxacin
제9장. 티오아마이드(Thioamide): ethionamide, prothionamide
제10장. 파스(Para-aminosalicylic acid: PAS)
제11장. 기타 약제: Thioacetazone, macrolides, linezolid, interferon-gamma
chapter 5. 결핵의 치료
제1장. 항결핵 약물치료(chemotherapy)의 이론적 근거
제2장. 초치료 시 표준처방(standard chemotherapy)
제3장. 항결핵 약제의 투약 용량(dosage)
제4장. 약물치료의 시작
제5장. 약물치료 효과의 판정
제6장. 약물치료의 종결(completion of therapy)
제7장. 치료 중단(interruption of therapy) 시 대처
제8장. 약제 부작용(adverse drug reaction)에 대한 대처
제9장. 약물치료 중 환자 관리
제10장. 초치료 실패 결핵(treatment failure)의 약물 치료
제11장. 약제 내성 결핵(drug resistant tuberculosis)의 치료
제12장. 재발 결핵(relapse)의 약물 치료
제13장. 특수 상황(special situation)에서의 약물 치료
제14장. 스테로이드 보조요법(adjunctive therapy)
제15장. 폐결핵의 합병증(complication)과 치료
제16장. 폐결핵의 수술적 치료(surgical therapy)
chapter 6. 특수 상황에서의 결핵(tuberculosis in special situation)
제1장. 소아 결핵(tuberculosis in children)
제2장. 임신과 결핵(pregnancy and tuberculosis)
제3장. 에이즈와 결핵(AIDS and tuberculosis)
chapter 7. 폐외 결핵(extrapulmonary tuberculosis)
제1장. 결핵성 흉막염(tuberculous pleurisy)
제2장. 림프절 결핵(tuberculous lymphadenitis)
제3장. 기관지 결핵(endobronchial tuberculosis)
제4장. 골관절 결핵(bone and joint tuberculosis)
제5장. 위장관 결핵(gastrointestinal tuberculosis)
제6장. 결핵성 복막염(tuberculous peritonitis)
제7장. 비뇨기계 결핵(urinary system tuberculosis)
제8장. 결핵성 심낭염(tuberculous pericarditis)
제9장. 속립성 결핵(miliary tuberculosis)
제10장. 중추신경계 결핵(central nervous system tuberculosis)
제11장. 기타 부위의 결핵(tuberculosis in other organ)
chapter 8. 결핵의 예방(prevention of tuberculosis)
제1장. 접촉자 검진(contact investigation)
제2장. 감염의 예방(prevention of infection)
제3장. 비씨지 백신(BCG vaccine)
제4장. 예방 화학치료(prophylactic chemotherapy)
chapter 9. 결핵 관리
제1장. 미국의 결핵 관리사업
제2장. 단기 화학요법을 이용한 직접 복약 확인치료 시스템(directly observed therapy, short course: DOTS)
제3장. 한국의 결핵 관리사업
제4장. 한국의 결핵정보감시체계(Korean tuberculosis surveillance system)
제5장. 한국의 결핵 관리 실태와 개선방향
제6장. 다른 나라에서의 결핵 관리사업
chapter 10. 비결핵 항산균(nontuberculous mycobacteria) 감염증
제1장. 비결핵 항산균(nontuberculous mycobacteria)
제2장.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lung disease)
제3장. 기타 부위의 비결핵 항산균 감염증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