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천문학 > 우주과학
· ISBN : 9788970902074
· 쪽수 : 158쪽
· 출판일 : 2000-08-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
1. 올버스의 파라독스
2. 허블의 관측
3. 빅뱅우주론
4. 올버스 파라독스의 해결
과거로 가는 타임머신
1. 우주론의 대노쟁
2. 빛여행시간효과
3. 과거의 우주는 현재와 달랐다
태초의 빛
1. 빅뱅의 흔적
2. 창세기와 현대우주론
생각하는 별먼지
1. 우리는 어디로부터 왔는가?
2. 별빛에 숨겨진 비밀
3. 별의 일생과 원소의 생성
4. 우리는 모두 별먼지
지구와 우주의 운명
1. 태양의 진화와 지구의 종말
2. 우주의 진화와 운명
우주의 나이 논쟁
1. 또 다른 갈릴레오 재판
2. 우주의 나이 측정법
3. 먼 은하의 관측과 우주의 나이
우주에서의 인간의 위치
1. 코페르니쿠스 혁명
2. 천문학의 대논쟁
인간을 위한 우주
1. 인간 창조를 위한 우주의 조건
2. 오메가 값의 비밀
3. 그랜드 디자인
외계지성체와의 만남
1. 사실과 허구
2. 드레이크 방정식
3. 허락되지 않은 만남
천문학과 국가경쟁력
1. 방어할 가치가 있는 나라
2. 역사를 통한 교훈
3. 우주시대의 천문학
4. 우리나라 천문우주학의 전망
부록 1 은하계 형성의 비밀을 밝힌 한국의 천문학자들
부록 2 은하진화탐사선:우리나라 최초의 우주망원경 계획
용어설명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현대 천문학이 밝혀낸 은하라고 하는 또 하나의 생태계 안에서 일어나는 별의 생성과 죽음, 그리고 그에 따른 중원소의 증가는 태양과 지구의 형성, 그리고 인간 출현으로 이어지는 장엄한 드라마다. 오늘날 우리 몸을 이루는 대부분의 원소들이 머나먼 과거에 뜨거운 별의 중심에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놀라운 사실은 우리에게 심오한 자연철학적 의미를 전해준다. 우리의 궁극적인 고향은 바로 별이다. 우리는 다름 아닌 별먼지의 아주 일부분인 셈이다. 마치 연어가 자신이 태어난 곳을 향해 필사적으로 헤엄을 치듯, 별먼지로 이루어진 인간의 필사적인 노력은 결국 우리 자신의 기원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가능케 하였다. 우주에 대한 인간의 호기심은 바로 궁극적 회귀본능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