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71077658
· 쪽수 : 604쪽
· 출판일 : 2022-03-15
책 소개
목차
화보_3
∙저자 서문_18
∙차례(국문)_24
∙Contents(영문)_32
∙프롤로그_45
제1편 보루각
제1장 자격궁루의 출현과 보루각 창설
1.1. 머리말 / 60
1.1.1. 장영실이 자격궁루를 발명하다 / 60
1.1.2. 순제가 손수 만든 궁루 / 62
1.1.3. 계시와 보시의 기준 / 64
1.2. 동아시아의 계시제도와 누각법 / 66
1.2.1. 역상수시 사상 / 66
1.2.2. 십이진각제와 오경제 / 68
1.2.3. 조선 초기의 계시제도 / 70
1.3. 조선조 이전의 누각법 / 73
1.3.1. 중국 누각의 유형 / 73
1.3.2. 조선조 이전의 누각법 / 76
1.4. 조선 초기의 계시와 보시제도 / 78
1.4.1. 경루와 종루 대종 / 78
1.4.2. 조선조 경루법의 창시 / 81
1.5. 태종 대 보시제도 개혁 / 83
1.5.1. 인정·파루 제도 / 83
1.5.2. 파루 당종법 / 84
1.5.3. 돈화문종 / 84
1.6. 세종 대 의표창제 / 85
1.6.1. 원-명대 천문·계시의기 시찰 / 85
1.6.2. 경점지기와 21전법 / 87
1.6.3. 한양 지방시를 표준으로 삼다 / 87
1.6.4. 장영실을 다시 연경에 파견하다 / 88
1.6.5. 경점지기를 혁신하다 / 89
1.7. 경루법을 실행한 자격궁루 / 90
1.7.1. 「보루각기」에 나타난 시각법 / 90
1.7.2. 12전법 / 91
1.7.3. 11전법 『누주통의』 / 95
1.8. 시보 체제 정비 / 98
1.8.1. 경복궁 내 전루소 / 99
1.8.2. 광화문 – 종루 간 전루소 / 99
1.9. 자격궁루의 실용 / 99
1.9.1. 공인 절차를 모두 밟다 / 99
1.9.2. 보루각 창설 / 101
1.10. 인물들 / 102
1.11. 맺음말 / 104
제2장 「보루각기」 역주 및 보루각루 설계
2.1. 머리말 / 106
2.1.1. 개요 / 106
2.2. 역주 / 107
2.2.1. 역주 방식 / 107
2.2.2. 「보루각기」 / 110
2.2.3. 「보루각명병서」 / 119
2.3. 보루각 창설 의의와 인물들 / 127
2.3.1. 보루각 / 127
2.3.2. 김돈金墩(1385∼1440) / 127
2.3.3. 김빈金鑌(개명 조銚, ?∼1455) / 128
2.3.4. 협력자들 / 129
2.4. 보루각루 복원·설계 / 130
2.4.1. 부품의 모듈화 / 130
2.4.2. 자동보시 수력식 기계시계 보루각루 모듈 M-7 모델 / 133
2.5. 맺음말 / 136
제3장 세종 보루각루 복원·제작
3.1. 머리말 / 138
3.1.1. 개요 / 138
3.1.2. 제작 방법 / 139
3.2. 보시 시점마다 소환을 방출하는 물시계 장치 모듈 M-1 / 143
3.2.1. 국보 제229호 조사 / 144
3.2.2. 파수호 제작 / 150
3.2.3. 수수호와 부속품 제작 / 156
3.2.4. 부전 제작 / 158
3.2.5. 방목 제작 / 161
3.2.6. 물시계 설치대 제작 / 164
3.3. 물시계와 자격장치 궤 접속기기 모듈 M-2 / 169
3.3.1. 광판-함지박-통로 설계 / 169
3.3.2. 소환 이동통로 제작 / 170
3.4. 12시와 경점을 보시하는 자격장치 모듈 M-3 / 171
3.4.1. 자격장치 궤와 보개 / 171
3.4.2. 시공절차 / 171
3.4.3. 궤 밖에서 보이는 보시기구 / 173
3.5. 소환-대환 중계기 모듈 M-4 / 179
3.5.1. 중계기 설계 / 179
3.5.2. 동통 제작 / 180
3.5.3. 대환 저장기 제작 / 182
3.6. 12시 보시 목인 작동용 전동장치 시기 모듈 M-5 / 185
3.6.1. 시기 설계 / 185
3.6.2. 명종기 제작 / 187
3.6.3. 보시기 제작 / 188
3.6.4. 자격장치 상층 사시 목인과 M-5의 연접봉 접속 / 191
3.7. 경점 보시 목인 작동용 전동장치 경점기 모듈 M-6 / 192
3.7.1. 경점기 설계와 제작 / 193
3.7.2. 경기·초점기·점기 부품 제작과 설치 / 202
3.7.3. 자격장치 상층 사경-사점 목인과 연접봉 접속 / 205
3.8. 보시 신호 자동 발신 수력식 기계시계 보루각루 모듈 M-7 / 207
3.8.1. 6개 모듈 조립 / 207
3.8.2. 계시와 보시 절차 / 208
3.8.3. 계시와 보시 성능에 미치는 요인 / 213
3.9. 맺음말 / 217
부록 / 219
1. 상량식과 「자격루 복원기」 수장식(국립고궁박물관, 2005.12.1.)_219
2. 보루각루 인수인계식 기념사진(2005.12.29. 국립고궁박물관)_226
3. 자격루 복원·제작 보도자료(문화재청, 2007.11.21.)_227
4. 보루각루 복원을 마치고_229
5. 자격루 복원 알림과 후원자들_230
제4장 보루각루의 연원과 특징
4.1. 머리말 / 232
4.2. 장영실과 알자자리 / 235
4.2.1. 장영실(전성기 1430∼1442) / 235
4.2.2. 알자자리(1136∼1206) / 237
4.3. 보루각루의 특징과 연원 / 241
4.3.1. 12시와 경점 시보 시점을 표시하는 물시계 장치(M-1)의 특징 / 241
4.3.2. 소환-대환 중계기 M-4 / 250
4.3.3. 종과 시패로 12시를 시청각 보시하는 데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시기 M-5 / 255
4.3.4. 경점기 M-6의 특징과 연원 / 265
4.3.5. 장영실과 알자자리 시계의 공통점 / 268
4.4. 중세 이슬람 과학기술의 중국 전래 / 270
4.4.1. 원대 『비서감지』의 이슬람 과학기술 서적 / 270
4.4.2. 원대에 서역기술을 활용한 계시기와 기구 / 272
4.5. 이슬람 과학기술의 한반도 전래와 창발적 진화 / 283
4.6. 맺음말 / 284
제5장 보루각 연혁
5.1. 머리말 / 286
5.1.1. 당종법 / 286
5.1.2. 대루원 / 288
5.1.3. 보루각의 전말 / 289
5.2. 창경궁 신보루각 / 291
5.2.1. 신보루각 창설 / 291
5.2.2. 보루각 정시의명 / 292
5.2.3. 계시기 교정 / 299
5.2.4. 보시체제 / 299
5.3. 임진왜란과 신구 보루각 / 301
5.3.1. 창경궁 금루 궁궐 밖으로 / 301
5.3.2. 창경궁 보루각 개수 / 302
5.3.3. 종묘서와 경희궁 누국 / 304
5.4. 경루법의 변혁 / 308
5.4.1. 시헌력법 출현 ─ 구법에서 신법으로 / 308
5.4.2. 영·정조 대 경루법 / 315
5.4.3. 영·정조 대 서양과학에 대한 인식 / 328
5.5. 정시의대, 일영대로 개칭 / 330
5.5.1. 황윤석의 일영대 측영기 조사 / 330
5.6. 경복궁 보루각과 보시체제의 변천 / 339
5.6.1. 창경궁 보루각 시대 폐막과 경복궁 보루각 복구 / 339
5.6.2. 경복궁 누국-종각 보시체제의 복구 / 342
5.7. 보루각 관련 용어의 변천 / 348
5.8. 맺음말 / 350
제2편 흠경각
제6장 「흠경각기」 역주 및 흠경각루 설계
6.1. 머리말 / 354
6.1.1. 간의대 흠경각 창설 / 354
6.1.2. 「간의대기」 흠경각조 / 355
6.2. 역주 / 357
6.2.1. 역주 방식 / 357
6.2.2. 역주 / 358
6.3. 흠경각루 복원·설계 / 364
6.3.1. 옥루로 작동시키는 전동장치 모듈 H-2 / 364
6.3.2. 혼의를 이용한 태양운동 모듈 H-3 / 369
6.3.3. 옥녀와 4신 보시 모듈 H-4 / 374
6.3.4. 12시와 경점 보시 모듈: m-5와 m-6 / 376
6.3.5. 12지신과 옥녀의 작동 모듈 H-7 / 386
6.3.6. 의기 작동 모듈 H-8 / 388
6.3.7. 흠경각루 모듈 H-9 / 389
6.3.8. 농촌풍경과 외관 / 389
6.4. 맺음말 / 391
제7장 흠경각루의 연원
7.1. 머리말 / 392
7.1.1. 『제가역상집』 속의 의상창제 관련 문헌 / 392
7.1.2. 인용서목引用書目 해설 / 394
7.1.3. 흠경각루 창제에 활용한 「의상편」 / 397
7.1.4. 이순지李純之(?~1465) / 398
7.2. 연원 / 400
7.2.1. 옥루 / 400
7.2.2. 태양 운행 연시 / 402
7.2.3. 옥녀와 4신 / 403
7.2.4. 사신과 무사 / 404
7.2.5. 12지신과 옥녀 / 405
7.2.6. 의기 / 407
7.2.7. 「빈풍·칠월편」 / 409
7.3. 흠경각루 복원에 대한 역사적 고찰 / 411
7.3.1. 수운의상과 흠경각루 / 411
7.3.2. 수운의상대와 『신의상법요』 / 414
7.3.3. 계시기구로 작동하는 의기 / 421
7.3.4. 이민철과 알자자리의 전동장치 / 424
7.3.5. 이산적 계시법을 활용한 동력전달 방식의 유사성 / 428
7.4. 맺음말 / 429
제8장 흠경각 연혁과 전승
8.1. 머리말 / 432
8.2. 연혁 / 434
8.2.1. 성종 대 흠경각루 보수 / 434
8.2.2. 명종 대 소실과 복구 / 435
8.2.3. 광해군 대 중창 / 437
8.3. 전승 / 438
8.3.1. 효종 대 훼철 / 438
8.3.2. 전통의 계승과 진화 / 439
8.3.3. 제정각 창설 / 441
8.3.4. 송이영 자명종의 중수 / 451
8.4. 영조 대 규정각과 흠경각 / 459
8.4.1. 규정각 창설 / 459
8.4.2. 흠경각 창설 / 460
8.5. 고종 대 경복궁 흠경각 / 462
8.6. 맺음말 / 463
제3편 관상감
제9장 전통 천문·역산·계시학의 서구화
9.1. 머리말 / 466
9.2. 『육일재총서』 / 468
9.2.1. 개요 / 468
9.2.2. 내용 / 469
9.3. 『의기집설』 상권 / 474
9.3.1. 개요 / 474
9.3.2. 혼천의 / 477
9.3.3. 맺음말 / 488
9.4. 『의기집설』 하권 / 489
9.4.1. 혼개통헌의 / 490
9.4.2. 간평의 / 495
9.4.3. 험시의 / 502
9.4.4. 적도고일구의 / 515
9.4.5. 혼평의 / 520
9.4.6. 지구의 / 525
9.4.7. 구진천추합의 / 530
9.4.8. 양영규일의 / 535
9.4.9. 양도의 / 538
9.5. 남병철·남병길의 과학사상 / 545
9.6. 맺음말 / 548
∙에필로그_550
부 록: 한국의 천문·계시의기 연표 / 561
∎참고문헌 / 566
1. 고문헌 자료_566
2. 논문과 단행본_570
3. 보고서, 학위논문, 특허 등 기타 자료_580
4. YouTube(영상, 애니메이션)_581
∎찾아보기 / 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