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격궁루 육백년

자격궁루 육백년

남문현 (지은이)
건국대학교출판부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1,25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자격궁루 육백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격궁루 육백년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71077658
· 쪽수 : 604쪽
· 출판일 : 2022-03-15

책 소개

조선 궁중 천문대의 표준계시기 창제사업으로 장영실이 발명한 자격궁루의 후예로서 세계 천문의기와 시계 제작사에 기록될 의기와 시계를 제작한 선인을 역사 전면에 등장시킴으로써, 한국사 속에서 시간과 문화를 재구성한 저자의 자격루 오디세이의 세 번째 도정을 마무리한 연구 저서이다.

목차

화보_3
∙저자 서문_18
∙차례(국문)_24
∙Contents(영문)_32
∙프롤로그_45

제1편 보루각

제1장 자격궁루의 출현과 보루각 창설
1.1. 머리말 / 60
1.1.1. 장영실이 자격궁루를 발명하다 / 60
1.1.2. 순제가 손수 만든 궁루 / 62
1.1.3. 계시와 보시의 기준 / 64
1.2. 동아시아의 계시제도와 누각법 / 66
1.2.1. 역상수시 사상 / 66
1.2.2. 십이진각제와 오경제 / 68
1.2.3. 조선 초기의 계시제도 / 70
1.3. 조선조 이전의 누각법 / 73
1.3.1. 중국 누각의 유형 / 73
1.3.2. 조선조 이전의 누각법 / 76
1.4. 조선 초기의 계시와 보시제도 / 78
1.4.1. 경루와 종루 대종 / 78
1.4.2. 조선조 경루법의 창시 / 81
1.5. 태종 대 보시제도 개혁 / 83
1.5.1. 인정·파루 제도 / 83
1.5.2. 파루 당종법 / 84
1.5.3. 돈화문종 / 84
1.6. 세종 대 의표창제 / 85
1.6.1. 원-명대 천문·계시의기 시찰 / 85
1.6.2. 경점지기와 21전법 / 87
1.6.3. 한양 지방시를 표준으로 삼다 / 87
1.6.4. 장영실을 다시 연경에 파견하다 / 88
1.6.5. 경점지기를 혁신하다 / 89
1.7. 경루법을 실행한 자격궁루 / 90
1.7.1. 「보루각기」에 나타난 시각법 / 90
1.7.2. 12전법 / 91
1.7.3. 11전법 『누주통의』 / 95
1.8. 시보 체제 정비 / 98
1.8.1. 경복궁 내 전루소 / 99
1.8.2. 광화문 – 종루 간 전루소 / 99
1.9. 자격궁루의 실용 / 99
1.9.1. 공인 절차를 모두 밟다 / 99
1.9.2. 보루각 창설 / 101
1.10. 인물들 / 102
1.11. 맺음말 / 104

제2장 「보루각기」 역주 및 보루각루 설계
2.1. 머리말 / 106
2.1.1. 개요 / 106
2.2. 역주 / 107
2.2.1. 역주 방식 / 107
2.2.2. 「보루각기」 / 110
2.2.3. 「보루각명병서」 / 119
2.3. 보루각 창설 의의와 인물들 / 127
2.3.1. 보루각 / 127
2.3.2. 김돈金墩(1385∼1440) / 127
2.3.3. 김빈金鑌(개명 조銚, ?∼1455) / 128
2.3.4. 협력자들 / 129
2.4. 보루각루 복원·설계 / 130
2.4.1. 부품의 모듈화 / 130
2.4.2. 자동보시 수력식 기계시계 보루각루 모듈 M-7 모델 / 133
2.5. 맺음말 / 136

제3장 세종 보루각루 복원·제작
3.1. 머리말 / 138
3.1.1. 개요 / 138
3.1.2. 제작 방법 / 139
3.2. 보시 시점마다 소환을 방출하는 물시계 장치 모듈 M-1 / 143
3.2.1. 국보 제229호 조사 / 144
3.2.2. 파수호 제작 / 150
3.2.3. 수수호와 부속품 제작 / 156
3.2.4. 부전 제작 / 158
3.2.5. 방목 제작 / 161
3.2.6. 물시계 설치대 제작 / 164
3.3. 물시계와 자격장치 궤 접속기기 모듈 M-2 / 169
3.3.1. 광판-함지박-통로 설계 / 169
3.3.2. 소환 이동통로 제작 / 170
3.4. 12시와 경점을 보시하는 자격장치 모듈 M-3 / 171
3.4.1. 자격장치 궤와 보개 / 171
3.4.2. 시공절차 / 171
3.4.3. 궤 밖에서 보이는 보시기구 / 173
3.5. 소환-대환 중계기 모듈 M-4 / 179
3.5.1. 중계기 설계 / 179
3.5.2. 동통 제작 / 180
3.5.3. 대환 저장기 제작 / 182
3.6. 12시 보시 목인 작동용 전동장치 시기 모듈 M-5 / 185
3.6.1. 시기 설계 / 185
3.6.2. 명종기 제작 / 187
3.6.3. 보시기 제작 / 188
3.6.4. 자격장치 상층 사시 목인과 M-5의 연접봉 접속 / 191
3.7. 경점 보시 목인 작동용 전동장치 경점기 모듈 M-6 / 192
3.7.1. 경점기 설계와 제작 / 193
3.7.2. 경기·초점기·점기 부품 제작과 설치 / 202
3.7.3. 자격장치 상층 사경-사점 목인과 연접봉 접속 / 205
3.8. 보시 신호 자동 발신 수력식 기계시계 보루각루 모듈 M-7 / 207
3.8.1. 6개 모듈 조립 / 207
3.8.2. 계시와 보시 절차 / 208
3.8.3. 계시와 보시 성능에 미치는 요인 / 213
3.9. 맺음말 / 217
부록 / 219
1. 상량식과 「자격루 복원기」 수장식(국립고궁박물관, 2005.12.1.)_219
2. 보루각루 인수인계식 기념사진(2005.12.29. 국립고궁박물관)_226
3. 자격루 복원·제작 보도자료(문화재청, 2007.11.21.)_227
4. 보루각루 복원을 마치고_229
5. 자격루 복원 알림과 후원자들_230

제4장 보루각루의 연원과 특징
4.1. 머리말 / 232
4.2. 장영실과 알자자리 / 235
4.2.1. 장영실(전성기 1430∼1442) / 235
4.2.2. 알자자리(1136∼1206) / 237
4.3. 보루각루의 특징과 연원 / 241
4.3.1. 12시와 경점 시보 시점을 표시하는 물시계 장치(M-1)의 특징 / 241
4.3.2. 소환-대환 중계기 M-4 / 250
4.3.3. 종과 시패로 12시를 시청각 보시하는 데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시기 M-5 / 255
4.3.4. 경점기 M-6의 특징과 연원 / 265
4.3.5. 장영실과 알자자리 시계의 공통점 / 268
4.4. 중세 이슬람 과학기술의 중국 전래 / 270
4.4.1. 원대 『비서감지』의 이슬람 과학기술 서적 / 270
4.4.2. 원대에 서역기술을 활용한 계시기와 기구 / 272
4.5. 이슬람 과학기술의 한반도 전래와 창발적 진화 / 283
4.6. 맺음말 / 284

제5장 보루각 연혁
5.1. 머리말 / 286
5.1.1. 당종법 / 286
5.1.2. 대루원 / 288
5.1.3. 보루각의 전말 / 289
5.2. 창경궁 신보루각 / 291
5.2.1. 신보루각 창설 / 291
5.2.2. 보루각 정시의명 / 292
5.2.3. 계시기 교정 / 299
5.2.4. 보시체제 / 299
5.3. 임진왜란과 신구 보루각 / 301
5.3.1. 창경궁 금루 궁궐 밖으로 / 301
5.3.2. 창경궁 보루각 개수 / 302
5.3.3. 종묘서와 경희궁 누국 / 304
5.4. 경루법의 변혁 / 308
5.4.1. 시헌력법 출현 ─ 구법에서 신법으로 / 308
5.4.2. 영·정조 대 경루법 / 315
5.4.3. 영·정조 대 서양과학에 대한 인식 / 328
5.5. 정시의대, 일영대로 개칭 / 330
5.5.1. 황윤석의 일영대 측영기 조사 / 330
5.6. 경복궁 보루각과 보시체제의 변천 / 339
5.6.1. 창경궁 보루각 시대 폐막과 경복궁 보루각 복구 / 339
5.6.2. 경복궁 누국-종각 보시체제의 복구 / 342
5.7. 보루각 관련 용어의 변천 / 348
5.8. 맺음말 / 350

제2편 흠경각

제6장 「흠경각기」 역주 및 흠경각루 설계
6.1. 머리말 / 354
6.1.1. 간의대 흠경각 창설 / 354
6.1.2. 「간의대기」 흠경각조 / 355
6.2. 역주 / 357
6.2.1. 역주 방식 / 357
6.2.2. 역주 / 358
6.3. 흠경각루 복원·설계 / 364
6.3.1. 옥루로 작동시키는 전동장치 모듈 H-2 / 364
6.3.2. 혼의를 이용한 태양운동 모듈 H-3 / 369
6.3.3. 옥녀와 4신 보시 모듈 H-4 / 374
6.3.4. 12시와 경점 보시 모듈: m-5와 m-6 / 376
6.3.5. 12지신과 옥녀의 작동 모듈 H-7 / 386
6.3.6. 의기 작동 모듈 H-8 / 388
6.3.7. 흠경각루 모듈 H-9 / 389
6.3.8. 농촌풍경과 외관 / 389
6.4. 맺음말 / 391

제7장 흠경각루의 연원
7.1. 머리말 / 392
7.1.1. 『제가역상집』 속의 의상창제 관련 문헌 / 392
7.1.2. 인용서목引用書目 해설 / 394
7.1.3. 흠경각루 창제에 활용한 「의상편」 / 397
7.1.4. 이순지李純之(?~1465) / 398
7.2. 연원 / 400
7.2.1. 옥루 / 400
7.2.2. 태양 운행 연시 / 402
7.2.3. 옥녀와 4신 / 403
7.2.4. 사신과 무사 / 404
7.2.5. 12지신과 옥녀 / 405
7.2.6. 의기 / 407
7.2.7. 「빈풍·칠월편」 / 409
7.3. 흠경각루 복원에 대한 역사적 고찰 / 411
7.3.1. 수운의상과 흠경각루 / 411
7.3.2. 수운의상대와 『신의상법요』 / 414
7.3.3. 계시기구로 작동하는 의기 / 421
7.3.4. 이민철과 알자자리의 전동장치 / 424
7.3.5. 이산적 계시법을 활용한 동력전달 방식의 유사성 / 428
7.4. 맺음말 / 429

제8장 흠경각 연혁과 전승
8.1. 머리말 / 432
8.2. 연혁 / 434
8.2.1. 성종 대 흠경각루 보수 / 434
8.2.2. 명종 대 소실과 복구 / 435
8.2.3. 광해군 대 중창 / 437
8.3. 전승 / 438
8.3.1. 효종 대 훼철 / 438
8.3.2. 전통의 계승과 진화 / 439
8.3.3. 제정각 창설 / 441
8.3.4. 송이영 자명종의 중수 / 451
8.4. 영조 대 규정각과 흠경각 / 459
8.4.1. 규정각 창설 / 459
8.4.2. 흠경각 창설 / 460
8.5. 고종 대 경복궁 흠경각 / 462
8.6. 맺음말 / 463

제3편 관상감

제9장 전통 천문·역산·계시학의 서구화
9.1. 머리말 / 466
9.2. 『육일재총서』 / 468
9.2.1. 개요 / 468
9.2.2. 내용 / 469
9.3. 『의기집설』 상권 / 474
9.3.1. 개요 / 474
9.3.2. 혼천의 / 477
9.3.3. 맺음말 / 488
9.4. 『의기집설』 하권 / 489
9.4.1. 혼개통헌의 / 490
9.4.2. 간평의 / 495
9.4.3. 험시의 / 502
9.4.4. 적도고일구의 / 515
9.4.5. 혼평의 / 520
9.4.6. 지구의 / 525
9.4.7. 구진천추합의 / 530
9.4.8. 양영규일의 / 535
9.4.9. 양도의 / 538
9.5. 남병철·남병길의 과학사상 / 545
9.6. 맺음말 / 548

∙에필로그_550

부 록: 한국의 천문·계시의기 연표 / 561

∎참고문헌 / 566
1. 고문헌 자료_566
2. 논문과 단행본_570
3. 보고서, 학위논문, 특허 등 기타 자료_580
4. YouTube(영상, 애니메이션)_581

∎찾아보기 / 582

저자소개

남문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2년 경기도 남양주시 출생. 연세대학교 이공대학 전기공학과를 거쳐 같은 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에서 제어공학과 생체공학을 전공하여 공학석사와 공학박사 학위를 받음.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에서 박사후과정 신경제어공학 연구. *주요 경력 및 수상 이력 건국대학교 전기공학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 역임. 韓國技術史硏究所 소장, 상허기념도서관장, 박물관장, 산업대학원장 역임. 연세대학교 의료원 안과학교실 외래임상교수(비전임), 연세대학교 이공대학 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시간강사,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시간강사 역임. 대한전기학회 정회원 겸 전기역사전문위원회 부위원장. 한국전자공학회, 미국전기전자학회(IEEE) History Committee Member 역임. 대한의용생체공학회, 한국과학사학회, 한국사연구회, 한국돈황학회, 한국18세기학회 정회원. Advanced Historical Studies (U.S.A.) Editorial Board Member 위촉. 동방천문학사국제회의(ICOA) 집행위원, 한국산업기술사학회 초대 회장, 자격루연구회 이사장,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정회원 겸 이사, 외솔회 회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동산, 근대문화재 분과 위원, 과학기술 앰배서더, 과학기술부 과학기술사정립위원회 위원, 과학기술부 국립과학관 추진위원회 위원 역임. 학술연구상(건국대학교, 1985), 한국출판문화상(저작상, 1996), 과학기술도서상(저술상, 1996), 강북사진공모상 대상(서울 강북구청, 1996), 공로패(미국전기전자학회 IEEE History Comm, 2003), 연구공로상(건국대학교, 2005), 감사패(대한전기학회, 2007), 옥조근정훈장(대통령, 2008), 감사장(교과부 장관, 2009), 외솔상(외솔회, 2010), 서울특별시 제64회 문화상(2015), 한국공학한림원 해동상(2017) 수상. *저술 및 업적 『한국의 물시계 ? 자격루와 제어계측공학의 역사』(한국출판문화상, 과학기술도서상), 『장영실과 자격루 - 조선시대 시간측정 역사 복원』, 『우리의 과학문화재』(공저), 『전통 속의 첨단 공학기술』(공저). 『전자측정』(교과서)(공저), 『전기공학개론』, 『개인용 콤퓨터를 이용한 自動制御 計算法』(편역), 『자동제어 시스템』, 『電氣回路와 信號』, 『제어 시스템 공학』(공저), 『뇌의 인공적인 확장은 가능한가』(공저). History of Mechanism and Machine Science Series, A Bridge between Conceptual Frameworks(Springer), Handbook, Encyclopaedia 등 국내외 편저(Book Chapters) 9편, 국역서 『儀器輯說』, 『推步續解』, 『量度儀圖說』, 『時憲紀要』(공역). “자격루 복원 제작” 등 연구용역 보고서 7건 외 150여 편의 논문과 시간측정 시스템 등 특허 등록 7건이 있음. *현재 건국대학교 명예교수이며, 서예, 사진 찍기, 고전 읽기 등 취미를 즐김.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