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상상력과 지식의 도약

상상력과 지식의 도약

김상환, 김상현, 최문규, 오생근, 이지훈, 조민환, 조송식, 최경옥, 최재경, 박치완, 이강영, 김범준, 김상욱, 정지훈, 정소연, 신승철, 남문현 (지은이), 장태순, 박영선 (엮은이)
이학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상상력과 지식의 도약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상상력과 지식의 도약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61472159
· 쪽수 : 391쪽
· 출판일 : 2015-04-30

책 소개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총서 3권.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을 넘나드는 다양한 분야의 대표 학자들(김상환, 최문규, 오생근, 이지훈, 조민환, 김범준, 이강영, 정지훈 등)이 나눈 초학제적 대화를 담고 있으며, 넓은 관점에서 상상의 문제에 접근한 귀한 사례로서, 향후 국내외 초학제 연구의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총서를 발간하며
머리말


제1부 동서의 상상력 이론과 실제

창의적 사고의 논리 | 김상환
칸트에 있어서 상상력의 두 측면 | 김상현
낭만주의와 상상(력)의 해방|최문규
초현실주의에 있어서 상상과 현실 | 오생근
물질적 상상, 형상적 상상 | 이지훈
유가와 도가에서 미, 예술, 상상 | 조민환
동아시아에 상상은 있는가: '상상(想像)', 신사(神思), 본체적 소요(逍遙) | 조송식
메이지의 상상, 번역: 'society'가 '사회'로 번역되기까지 | 최경옥


제2부 과학적 상상력과 예술적 상상력

수학적 상상력 | 최재경
과학적 상상력과 시적 상상력의 구분, 정당한가? | 박치완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 이강영
통계물리학으로 상상해본 사회 복잡계 | 김범준
상상력을 상상하며: 융합에서 소통으로 | 김상욱
과학기술 패러다임 변화와 융합적 상상력 | 정지훈
SF, 과학적 상상과 상상적 과학의 교차 | 정소연
상상의 예술을 위한 '손 없는' 창조 | 신승철
세종의 자격루 창제에서 발현된 장영실의 상상력과 창의성 | 남문현

엮은이 및 글쓴이 소개

저자소개

오생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명예교수이자 문학평론가이다. 서울대 불문학과와 동대학원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10대학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0년대에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하면서 접한 《광기의 역사》를 시작으로 《말과 사물》, 《감시와 처벌》 등을 읽으면서 전복적 사유와 한계 경험을 극단적으로 추구한 푸코의 세계에 빠져들었다. 그 후 푸코의 사상을 연구하고 그의 저술을 우리말로 옮기는 데 학문적 열정을 쏟았다. 저서로 《미셸 푸코와 현대성》, 《초현실주의 시와 문학의 혁명》, 《프랑스어 문학과 현대성》, 《문학의 숲에서 느리게 걷기》, 《위기와 희망》 등이 있으며, 역서로 《감시와 처벌: 감옥의 탄생》, 《성의 역사 4: 육체의 고백》 등이 있다. 제56회 대한민국학술원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조민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 동아시아학과 교수 겸 유학대학원장, 풍수명리철학회, 동양예술학회, 도가철학회, 도교문화학회, 간재학회, 서예학회 회장, 한국연구재단 책임전문위원(인문학) 등을 역임하였다. 철학연구회 논문상과 원곡 서예학술상을 수상하였다. 저서로는 『동양 문인의 예술적 삶과 철학』 『조선조 서예미학』 『동양의 광기와 예술』 『동양 예술 미학 산책』 『노장철학으로 동아시아문화를 읽는다』 『유학자들이 보는 노장철학』 『중국철학과 예술정신』등이 있다. 공저로는 『강좌 한국철학』등 20여 권이 있으며, 역서로는 『도덕지귀道德指歸』 『이서李漵「필결筆訣」역주譯註』 『태현경太玄經』등이 있다. 학술논문 160여 편과 서화잡지에 실린 100여 편의 서화평론글이 있다. 동양의 그림과 글씨 및 유물에는 유가철학과 도가철학이 담겨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동양철학과 동양예술의 경계 허물기에 주력하면서 예술작품을 철학적으로 이해하는 새로운 눈을 제시하고 있다.
펼치기
김상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현대철학의 다양한 통찰을 바탕으로 지금의 우리 모습과 시대를 진단하는 글을 써왔으며, 현대철학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재구성하는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내러티브 총서》 시리즈(공저, 2021-2023)와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공저, 2022), 『왜 칸트인가』(2019), 『근대적 세계관의 형성: 데카르트와 헤겔』(2018), 『김수영과 『논어』』(2018), 『니체 프로이트 맑스 이후』(2013)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차이와 반복』(2004)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환의 다른 책 >
박치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 및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프랑스철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프랑스 부르고뉴 대학교에서 앙리 베르그송 전공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글로벌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호모 글로칼리쿠스』,『이데아로부터 시뮬라크르까지』가 있고, 공저로는 『공간의 시학과 무욕의 상상력』, 『비주얼 컬쳐 시대의 이해』, 『지식의 역사와 그 지형도』, 『문화콘텐츠와 문화코드』, 『근대한국, 개벽사상을 실천하다』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아직도 보편을 말하는가?, 「동일성의 폭력과 차이의 허구」, 「의심의 ‘한국’ 철학, 한국에서도 철학을 하는가?」 등이 있다.
펼치기
남문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2년 경기도 남양주시 출생. 연세대학교 이공대학 전기공학과를 거쳐 같은 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에서 제어공학과 생체공학을 전공하여 공학석사와 공학박사 학위를 받음.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에서 박사후과정 신경제어공학 연구. *주요 경력 및 수상 이력 건국대학교 전기공학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 역임. 韓國技術史硏究所 소장, 상허기념도서관장, 박물관장, 산업대학원장 역임. 연세대학교 의료원 안과학교실 외래임상교수(비전임), 연세대학교 이공대학 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시간강사,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시간강사 역임. 대한전기학회 정회원 겸 전기역사전문위원회 부위원장. 한국전자공학회, 미국전기전자학회(IEEE) History Committee Member 역임. 대한의용생체공학회, 한국과학사학회, 한국사연구회, 한국돈황학회, 한국18세기학회 정회원. Advanced Historical Studies (U.S.A.) Editorial Board Member 위촉. 동방천문학사국제회의(ICOA) 집행위원, 한국산업기술사학회 초대 회장, 자격루연구회 이사장,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정회원 겸 이사, 외솔회 회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동산, 근대문화재 분과 위원, 과학기술 앰배서더, 과학기술부 과학기술사정립위원회 위원, 과학기술부 국립과학관 추진위원회 위원 역임. 학술연구상(건국대학교, 1985), 한국출판문화상(저작상, 1996), 과학기술도서상(저술상, 1996), 강북사진공모상 대상(서울 강북구청, 1996), 공로패(미국전기전자학회 IEEE History Comm, 2003), 연구공로상(건국대학교, 2005), 감사패(대한전기학회, 2007), 옥조근정훈장(대통령, 2008), 감사장(교과부 장관, 2009), 외솔상(외솔회, 2010), 서울특별시 제64회 문화상(2015), 한국공학한림원 해동상(2017) 수상. *저술 및 업적 『한국의 물시계 ? 자격루와 제어계측공학의 역사』(한국출판문화상, 과학기술도서상), 『장영실과 자격루 - 조선시대 시간측정 역사 복원』, 『우리의 과학문화재』(공저), 『전통 속의 첨단 공학기술』(공저). 『전자측정』(교과서)(공저), 『전기공학개론』, 『개인용 콤퓨터를 이용한 自動制御 計算法』(편역), 『자동제어 시스템』, 『電氣回路와 信號』, 『제어 시스템 공학』(공저), 『뇌의 인공적인 확장은 가능한가』(공저). History of Mechanism and Machine Science Series, A Bridge between Conceptual Frameworks(Springer), Handbook, Encyclopaedia 등 국내외 편저(Book Chapters) 9편, 국역서 『儀器輯說』, 『推步續解』, 『量度儀圖說』, 『時憲紀要』(공역). “자격루 복원 제작” 등 연구용역 보고서 7건 외 150여 편의 논문과 시간측정 시스템 등 특허 등록 7건이 있음. *현재 건국대학교 명예교수이며, 서예, 사진 찍기, 고전 읽기 등 취미를 즐김.
펼치기
이지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파리1대학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고, 다시 같은 대학교에서 미학 박사과정을 마쳤다. 현재 통섭적 연구소 필로아트랩 대표로 있으며, 다양한 인문·예술 활동과 문화 정책·기획에 참여하고 있다. 과학, 예술, 문화를 가로지르는 인식·존재론에 관심이 있으며, 부산국제영화제 대중화위원장 및 국립현대미술관 웹진 아트뮤(Art:mu)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존재의 미학』(2008), 『예술과 연금술』(2004) 등이 있고, 『과학기술과 문화예술』(2010), 『욕망하는 테크놀로지』(2009), 『필로테크놀로지를 말한다』(2008), 『철학, 예술을 읽다』(2006) 등의 공저가 있다.
펼치기
최경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과 강사이다. 주로 일본 근대기 번역어와 문화, 한일 근대 어휘 비교를 연구하고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메이지기에 만들어진 근대 한자 어휘의 한중일 어휘 교류 관련 문제들이다. 저서로 『세계의 학교 평가』(공저, 2012) 『번역과 일본의 근대』(2005), 『한국 개화기 외래한자어 수용 연구』(2003) 등이, 논문으로 「메이지의 번역과 한국 수용 ─ [-ism]이 [주의]로 번역되기까지」(2013), 「메이지 번역어 성립과 한국 수용 ─ obligation을 중심으로」(2009)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칸트의 미감적 합리성에 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강의교수를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전임대우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 하이데거에서 랑시에르까지, 현대철학자들의 미술론』(공저), 『이성의 운명에 대한 고백: 순수 이성 비판』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임마누엘 칸트: 판단력 비판』이 있다.
펼치기
정소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과 철학을 전공했고, 2005년 과학기술 창작문예 공모에서 스토리를 맡은 만화 〈우주류〉로 가작을 수상하며 활동을 시작한 이래 소설 창작과 번역을 병행해왔다. 《EPI》 《오늘의 SF》 편집위원,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 초대 대표로 일했다. 《팬데믹》 《언니밖에 없네》 등에 작품을 실었고, 지은 책으로 《미지에서 묻고 경계에서 답하다》(공저) 《이사》 《세계의 악당으로부터 나를 구하는 법》 《앨리스와의 티타임》 《미정의 상자》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어둠의 속도》 《루나》 《이름이 무슨 상관이람》 《허공에서 춤추다》 등이 있다.
펼치기
조송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학과에서 동양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태동고전연구소(지곡서당)에서 한학을 연수하였으며, 현재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미술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는 『산수화의 미학』, 『중국 옛 그림 산책』, 『상상력과 지식의 도약』(이하 공저), 『아시아 실크로드 문화접변』, 『미학의 역사』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역대명화기(상, 하)』, 『표암유고』(이하 공역), 『동기창 화안』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욱 (기획)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예술을 사랑하고 미술관을 즐겨 찾는 ‘다정한 물리학자’. 카이스트에서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 도쿄대학교와 인스부르크대학교 방문교수 등을 역임했습니다. 주로 양자과학, 정보물리를 연구하며 70여 편의 SCI 논문을 게재했습니다.
펼치기
정지훈 (감수)    정보 더보기
대한민국 최고의 IT융합 전문가이자 미래학자이다. 한양대 의대를 졸업한 후 서울대 보건정책관리학 석사, 미국 남가주대학(USC)에서 의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경희사이버대학 교수를 거쳐 현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IGIST) 겸직교수, 다음세대재단 이사, Asia2G 캐피탈 공동창업자/제너럴파트너를 맡고 있다. 저서로 《거의 모든 IT의 역사》 《거의 모든 인터넷의 역사》 《무엇이 세상을 바꿀 것인가》 《제4의 불》 《오프라인 비즈니스 혁명》 등이 있다.
펼치기
이강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입자물리학 이론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건국대학교, 고려대학교, KAIST 연구교수 및 고등과학원, 서울대 이론물리학연구센터, 연세대학교 연구원을 거치며 힉스 보손, 암흑물질, 게이지 이론 등에 관해 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물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LHC에서 SND@LHC 실험에 참여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스핀》(계단, 2018), 《불멸의 원자》(사이언스북스, 2016) 《보이지않는 세계》(휴머니스트, 2012), 《LHC 현대물리학의 최전선》(사이언스북스, 2011) 등이 있다. 《LHC 현대물리학의 최전선》으로 제52회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최문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했고, 독일 빌레펠트대학교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4년 이후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장, 연세대학교 문과대학장을 역임했다. 대표적인 저서로 『(탈)현대성과 문학의 이해』 『독일 낭만주의』 『문학 이론과 현실 인식』 『자율적 문학의 단말마?』 『파편과 형세–발터 벤야민의 미학』 『죽음의 얼굴』(연세학술상) 『감정의 인문학적 해부학』 등이 있다.
펼치기
최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하고 캘리포니아대 버클리 캠퍼스 수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포항공과대 교수와 서울대 교수를 거쳐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고등과학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며 미분 기하학, 특히 최소 넓이를 갖는 극소 곡면론 연구에 헌신한 공로로 1995년 한국과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범준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서 초전도 배열에 대한 이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스웨덴의 우메오대학교와 아주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김범준의 물리 장난감』(2024), 『세상은 왜 다른 모습이 아니라 이런 모습일까?』(2023), 『김범준의 이것저것의 물리학』(2023), 『보이지 않아도 존재하고 있습니다』(2022), 『상상력과 지식의 도약』(공저, 2015) 등이 있다. 2006년 한국물리학회에서 용봉상을 수상하였고, 과학의 대중화를 넘어 대중의 과학화를 꿈꾼다.
펼치기
신승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베를린 훔볼트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같은 학교 이미지행위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현재 강릉원주대학교 조형예술?디자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학과 미술 이론, 건축 이론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미지 문제를 중심으로 예술과 과학, 인문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활발한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바이오 아트 : 생명의 예술』 , 『시뮬라크룸에서 이미지 존재로: 가상 예술의 도상파괴주의』 등이 있다.
펼치기
박영선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에서 철학, 홍익대와 숭실대 대학원에서 사진과 미디어아트를 공부했고, 「디지털사진과 기억예술: 디지털사진 기반 시각예술에 나타나는 기억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진아카이브 책임연구원과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원을 지냈다. 근현대 문명의 세부를 결정하는 시각매체인 사진과 시스템의 관계, 그것을 매개로 펼쳐지는 문화예술 현상에 관심을 가지고 작업해왔다. 《또 다른 시간》, 《인왕산과인왕산과》 등의 개인전을 열었고, 『지역아카이브, 민중 스스로의 기억과 삶을 말한다』, 『풍경 너머 풍경』, 『체계와 예술』, 『연결합도시』 등의 공저, 「예술적 실천으로서의 디지털 아카이빙과 사진의 상호관계」, 「아카이브 다시 그리기」 등의 연구논문을 썼다.
펼치기
박영선의 다른 책 >
장태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교수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파리 8대학(생드니)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현대철학과 예술철학을 주로 공부하고 있다.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단과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의 연구원을 지냈고, 현재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철학, 혁명을 말하다』(공저, 2018), 『체계와 예술』(공저, 2017), 『동서의 학문과 창조: 창의성이란 무엇인가?』(공저, 2016), 『현대 정치철학의 모험』(공저, 2010), 『이야기의 끈』(공저, 2021), 『일꾼과 이야기꾼』(공저, 2022)이 있고, 옮긴 책으로 『비미학』(2010)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