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화로 읽는 문화다양성의 코드

영화로 읽는 문화다양성의 코드

김헌식 (지은이)
평민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영화로 읽는 문화다양성의 코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화로 읽는 문화다양성의 코드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88971155967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2-12-15

목차

■ 프롤로그 : 영화에서 문화다양성과 다문화를 읽다

제 1 장 : 언어, 음식, 음악 코드의 다양성
01_생선 쿠스쿠스 (The Secret Of The Grain) : 요리, 평화와 화합의 전도사
02_밴드 비지트(The Band's Visit) : 음악은 다문화의 대화채널
03_더 비지터(The Visitor) : 꿈을 향한 이주, 삶을 위한 연주
04_8마일(8 Mile) : 역차별, 상대적 약자와 강자
05_방가?방가! : 노래방과 다문화 공간
06_파파 : 다문화 아이돌 그리고 대중음악의 양면
07_카모메 식당(かもめ食堂) : 합리적 음식 상품화의 역설

제 2 장 : 종교, 결혼, 가치관 코드의 다양성
01_스패니쉬 아파트먼트(The Spanish Apartment) : 아시아 통합 유학 프로그램 모색
02_레몬 트리(Lemon Tree) : 안보의 논리와 개인의 권리
03_누들(Noodle) : 상처가 상처와 나눌 소통을 부른다
04_나의 그리스식 웨딩(My Big Fat Greek Wedding) : 디아스포라의 문화적 대응방식
05_클래스(Class) : 다문화 교실의 미래 풍경
06_로나의 침묵(The Silence Of Lorna) : 혼테크와 시민권
07_파이란(Failan) : 순수한 여성이주민, 한국 남성의 환타지인가
08_만추(Late Autumn) : 단지 “‘대화’ 했을 뿐…”
09_완득이 : 우리들의 어머니는 정말 누구일까
10_허수아비들의 땅(Scarecrows) : 이성애중심의 결혼이주와 다문화

제 3 장 : 인종, 인권, 노동 코드의 다양성
01_내 이름은 칸(My Name Is Kahn) : 부정적 일반화의 오류와 인권의 위협
02_자유로운 세계(It’s a Free World) : 이주노동자 직업고용센터의 유혹
03_크래쉬(Crash) : 인종과 문화 사이에 있는 불가분의 연결고리
04_처음 만난 사람들(Hello, Stranger) : 인간미가 있는 사회를 위한 작은 실천
05_빵과 장미(Bread And Roses) : 한 손에는 생존권, 한 손에는 인권
06_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Swallowtail Butterfly) : 자본의 버블과 노동의 이동
07_황해(The Yellow Sea) : 킬러직종의 이동 그리고 연변 이미지 논쟁
08_의형제 : 왜 정보요원이 이주결혼여성을 추격하는가
09_달링은 외국인(My Darling Is A Foreigner) : 커플들의 다문화경험 임상 보고

제 4 장 : 이주민과 정주민의 문화 코드의 다양성
01_히말라야, 바람이 머무는 곳(Himalaya, Where The Wind Dwell) : 낙원의 현실, 현실로 나온 낙원의 사람들
02_천국보다 낯선(Stranger Than Paradise) : 이주 이상향의 이미지는 어디에서 오는가
03_그랜 토리노(Gran Torino) : 다문화 사회의 구성 원칙, 플랫폼 정책
04_로니를 찾아서(Where Is Ronny) : 소시민과 이주민의 화해
05_세리와 하르(Seri & Harr) : 이주민 자녀의 애환과 희망
06_반두비(Bandhobi) : 원조교제와 롤리타를 넘는 사랑
07_방황의 날들(In Between Days) : 이국성과 동일성, 유학생은 어떻게 존재하는가
08_초능력자(Haunters) : 미디어 속 이주민의 전형성
09_박치기!(We Shall Overcome Someday!) : 이산의 강, 분단의 강, 화해의 다리

■ 에필로그를 대신하여 : 외계인 디아스포라와 코리언 디아스포라

저자소개

김헌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정보콘텐츠학 박사로 카이스트 미래세대행복위원회 위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퓨처 호라이즌 자문위원이며 2007년부터 교보문고 북 멘토로 활동해 오고 있다. <이순신의 일상에서 리더십을 읽다>, <서동출세기 연구>, <세종 소통의 리더십>, <세종, 그 애민의 리더십을 읽다>, 신돈 미천하여 거칠 것이 없어라> 등 역사인물을 통해 미래세대가 열어갈 세상을 모색해오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문화의 교류와 공유 그리고 새로운 문화의 탄생을 이끌어내고 있는 것 가운데 하나가 다문화 현상이다.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와 배려, 공유 그리고 융합의 의지가 없다면 다문화 없는 다문화주의에 한정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서 다문화는 결혼이주민이나 이주노동자를 중심에 두고 있는 개념만은 아니다. 여러 요인에서 민족이나 인종, 국가의 차이가 있는 이들이 접촉하고 교류하는 상황에서 존재하게 되는 다종한 환경 속의 문화들을 가리킨다.
서로의 문화를 전하고 다른 문화를 존중할 수 있도록 교육과 연습의 장이 있어야 한다. 다만, 그러한 여러 상황을 개인들이 모두 경험하거나 겪을 수 없으며 사전에 어떤 상황에 개인들이 처하게 될지 알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요한 것이 예방적 차원에서 다양한 상황을 접할 수 있는 시네마 영상 콘텐츠를 통해 교육과 훈련을 보완, 확충하는 것이다. 또한 다문화의 공간적 조우의 상황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힘으로써 문화적 다양성의 생성 요인을 파악하고 그런 상황을 대비할 수 있게 한다. 이 책은 이러한 사유에서 비롯되었다.
(중략)
영화에 관련되면서 현실문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Tip에 덧붙였고 해당 영화와 Tip에서 생각해봄 직한 문제나 화두들을 제기해보았다. 이를 통하여 본문의 지적과 요약에 대한 일정 정도의 복습과 함께 자신의 주장을 정리하거나 이의제기하도록 만들었다. 이런 단계도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에 대한 초보적인 이해와 학습을 돕는 데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