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학
· ISBN : 9788971551769
· 쪽수 : 402쪽
· 출판일 : 2020-05-15
책 소개
목차
Ⅰ. 서론
Ⅱ. 한국 자유민주주의의 역사적 특징
1. 서구 자유민주주의 사상의 수용
2.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후의 자유민주주의
3. 한국 자유민주주의의 역사적 특징
4. 한국현대 지성사에서 『사상계』의 위치
Ⅲ. 자유민주주의의 신성화: 사상전과 탈후진에의 길(1952~1960)
1. 1950년대 자유민주주의의 반공주의적 성격
2. 탈후진 전략으로서의 자유민주주의론
3. 1950년대 후반 근대화론의 도입과 신생국가론
4. 1950년대 함석헌의 민중개념과 민주주의론
Ⅳ. 자유민주주의와 근대화의 변증법(1960~1972)
1. 4?19민주항쟁 전후의 자유민주주의론
2. 4?19~5?16시기 혁명의 전유를 둘러싼 경합과 전략들 - 경제제일주의의 사회적 구성과 ‘생산적 주체’ 만들기
3. 5?16군사쿠데타에 대한 대응과 군정연장 반대의 민주주의론
4. 함석헌의 5?16군정 비판
5. 한일회담 반대운동과 ‘조국근대화론’ 비판
6. 산업화 우선의 신생국 민주주의론
7. 함석헌의 근대화론 비판과 민중 중심의 민주주의론
8. 삼선개헌 반대운동과 절대권력 비판론으로서의 민주주의
Ⅴ. 예외상태와 정상회귀에의 열망(1972~1979)
1. ‘예외상태 상시화’로서의 유신헌법과 한국적 민주주의 담론
2. ‘자유민주주의’로 ‘한국적 민주주의’ 비판하기
3. 장준하의 통일문제 재인식
4. 1970년대 신상초의 전향과 평등지향의 민주주의론
5. 1970년대 함석헌의 ‘씨?’론과 반독재민주화운동
Ⅵ.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