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전사 자료를 통해 본 한국어 전설모음의 형성 과정

전사 자료를 통해 본 한국어 전설모음의 형성 과정

허인영 (지은이)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900원 -5% 0원
1,10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전사 자료를 통해 본 한국어 전설모음의 형성 과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사 자료를 통해 본 한국어 전설모음의 형성 과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음운론/어휘론
· ISBN : 9788971551912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3-03-06

책 소개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중세어의 하향이중모음들을 대상으로 하여 일본어-가나를 비롯한 한국어와 다양한 언어의 전사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또 정리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에서 전설중모음이 형성되는 과정과 그 동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목차

1장.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사
1.3. 논의 구성

2장. 연구 방법과 자료
2.1. 연구 방법
2.2. 전사 자료의 특성
2.2.1. 전사 자료의 정의와 분류
2.2.2. 전사 자료의 현실성
2.2.3. 전사 자료의 지역성
2.3. 일본어 전사 자료
2.3.1. 학습서류
2.3.2. 일본 체류 기록
2.4. 한국어 전사 자료
2.4.1. 학습서류
2.4.2. 견문록류
2.5. 기타 외국어 전사 자료

3장. 일본어 - 한글 전사를 통해 본 모음의 변화
3.1. 일본어 전사 자료의 중요성
3.2. 일본어 /e/의 음가
3.3. 일본어 /e/의 전사 양상과 모음의 변화
3.3.1. 15․16세기 자료
3.3.1.1. 日本行錄 ․ 海東諸國紀: ㅕ~ㅖ
3.3.1.2. 伊路波: ㅕ~ㅖ
3.3.2. 17·18세기 자료
3.3.2.1. 捷解新語: ㅕ~ㅖ > ㅖ
3.3.2.2. 方言類釋: ㅕ~ㅖ
3.3.2.3. 倭語類解: ㅖ~ㅔ
3.3.2.4. 일본 체류 기록
3.3.3. 19·20세기 자료: ㅔ~ㅖ
3.4. 정리

4장. 한국어 - 가나 전사를 통해 본 모음의 변화
4.1. 검토 대상과 방법
4.2. 한국어 모음의 전사 양상과 모음의 변화
4.2.1. /ㅓ/의 변화: [ə]
4.2.1.1. 학습서류
4.2.1.2. 견문록류
4.2.2. /ㅖ/의 변화: [jej] > [je]
4.2.2.1. 학습서류
4.2.2.2. 견문록류
4.2.3. /ㅕ/의 변화: [je]~[jə] > [jə]
4.2.3.1. 학습서류
4.2.3.2. 견문록류
4.2.4. /ㅔ/의 변화: [əj] > [e(j)]
4.2.4.1. 학습서류
4.2.4.2. 견문록류
4.2.5. /ㆎ/의 변화: ([ʌj] >) [ai], [e(j)], [a]
4.2.5.1. 학습서류
4.2.5.2. 견문록류
4.2.6. /ㅐ/의 변화: [ai] > [aɛ]~[ɛ(j)]
4.2.6.1. 학습서류
4.2.6.2. 견문록류
4.2.7. /ㅚ/의 변화: [oj] > [we]~[ej]
4.2.7.1. 학습서류
4.2.7.2. 견문록류
4.2.8. /ㅟ/의 변화: [uj]
4.2.8.1. 학습서류
4.2.8.2. 견문록류
4.3. 정리

5. 전설모음 형성의 과정과 동인
5.1. 전설모음 형성의 과정
5.1.1. 15세기의 상황
5.1.2. 후설화와 전설화의 상호작용
5.1.3. 전설화의 점진적 확산
5.1.4. 모음 체계의 격변
5.2. 전설모음 형성의 동인
5.2.1. 체계적 동인
5.2.2. 음성적 동인
5.2.3. 범언어적 경향
5.3. 모음 체계 변화에 대한 관견
5.3.1. 만주퉁구스 제어의 전설모음 형성
5.3.2. 한국어 모음 체계의 변화

6. 결론
6.1. 논의 요약
6.2. 남은 문제

<부록>
転写資料を活用した韓国語音韻史の研究: 近世日韓の語学書を中心に

저자소개

허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2011)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2014)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202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사전학센터 연구교수 역임 고려대학교, 경기대학교, 숭실대학교 강사 역임 현 인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조교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