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현대사(아편전쟁 이후)
· ISBN : 9788971991282
· 쪽수 : 373쪽
· 출판일 : 2001-02-10
책 소개
목차
- 한국어판 서문
서론 저항과 모색
제1부 현대 중국의 지속과 변화
제1장 제국의 유산, 자본주의의 실패와 사회주의의 승리
1. 제국시대의 중국
2. 중화민국의 실패
3. 공산당이 지도한 중국 혁명
4. 중국 혁명의 영향
제2장 모택동 시기 사회주의의 승리와 위기
1. 회복과 통합
2. 사회주의 개조
3. 대약진운동
4. 회복과 조정 그리고 정치적 갈등
5. 문화대혁명
6. 화궈펑 교체기 : 실패한 절충
제3장 등소평 시기 구조개혁의 승리와 위기
1. 모택동의 리더십과 이념의 해체
2. 구조개혁을 위한 투쟁
3. 시장 스탈린주의의 영향
제2부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
제4장 국가 제도
1. 국가 기구와 구조
2. 헌법
3. 중국공산당
4. 정부의 조직과 규모
5. 법과 입법
6. 관변 대중조직과 인민정치협상회의
제5장 사회
1. 계급
2. 성
3. 도시와 농촌
4. 민족
제6장 도시의 정치경제
1. 모택동 시기
2. 등소평 시기
제7장 농촌의 정치경제
1. 모택동 시기 : 집단적 농업과 그 유산
2. 등소평 시기
3. 농촌개혁의 미래
제8장 정치
1. 엘리트 정치
2. 국가와 사회
3. 국가와 사회 관계에서의 자율성
결론 - 미래를 향하여
- 감사의 글
- 역자 후기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책속에서
중국의 사회주의는 몇 차례의 극적인 변화를 경험했다. 일찌감치 소비에트 모델을 버렸으며, 한동안은 국가사회주의 국가 중 가장 극좌적인 '계속 혁명'을 추구했다. 그 뒤 1979년에는 다시 방향을 바꾸어 폭넓은 구조개혁을 모색했다.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이 대중의 변화 요구에 의해 몰락했던 바로 그 시기인 1989년, 중국은 그들이 대처하지 못한 대중의 개혁 요구에 직면하여 다시 방향을 바꾸어 좀 더 단호하면서도 성공적으로 대응했다. 중국의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보다 안전한 방법은 21세기에 중국에서 주요 세력이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인가를 이성적이고 방어적으로 분석하는 일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