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G2시대 중국발전의 빛과 그림자

G2시대 중국발전의 빛과 그림자

한인희, 강준영, 양평섭, 박한진, 전병곤, 강진석, 임대근, 장리리 (지은이)
대선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000원 -0% 2,500원
140원
16,3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G2시대 중국발전의 빛과 그림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G2시대 중국발전의 빛과 그림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중국문화
· ISBN : 9788988944622
· 쪽수 : 297쪽
· 출판일 : 2010-11-22

책 소개

2008년 8월 8일 베이징올림픽이 개막된 후, 8월 10일부터 인터넷 신문 [프레시안]에 연재 한 ‘중국탐구’를 엮어서 책으로 냈다. 2009년 런던 G20회의 이후 ‘차이메리카’라고 불리 우는 G2시대의 대두는 우리에게 새로운 인식의 틀을 갖게 하고 있다. 이 책은 중국을 공부하는 학생, 중국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있거나 중국을 이해하려는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목차

머리말

1장. G2시대 중국의 힘 11
● 미국발 금융위기와 중국의 대응 / 양평섭 12
●“취임 초기, 중·미 관계의 파동에 주목한다”/ 장리리 16
● 아소 내각 출범 이후의 중·일 관계 / 장리리 20
● 사르코지의 프랑스, 중국과 외교갈등 / 한인희 25
● 중국, 경제대국을 넘어 금융강국으로… / 양평섭 29
● 중국 위안화가 미국 달러화를 대체할 날은? / 강준영 33
● 中·아프리카 관계,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 장리리 37
●‘중국 역할론’의 허와 실 / 강준영 43
● 금융위기 이후 중국과 중동 아랍 국가 관계의 발전 / 장리리 48
● 중·미, 전략·경제 대화와 한반도 / 전병곤 52
● 부자된 동생中‘왕년의 형님’러시아, 양국관계 어디로? / 장리리 55
● 100년의 치욕과 60년의 발전, 중국은 어디로? / 전병곤 60
● 상하이 협력기구, 중국외교의 새로운 역량 / 강준영 63
● 오바마 중국방문이 남긴 것 / 강준영 68
● 2010년 중국의 대외관계 전망 / 장리리 72
● 최근 중·미 관계 갈등이 빈번해지는 까닭은? / 장리리 76
● 중국의 출구전략과 중·미 환율갈등 / 양평섭 80
● 드골의 역사적 예견을 현실화시키고 있는 사르코지 / 장리리 85
● 천안함·댜오위다오 사태와 미국의 세계전략 조정 / 장리리 90


2장. 튜닝 중인 중국 95
● 문화제국주의를 꿈꾸는 중국 / 한인희 96
● 여전히 영웅이 필요한 중국 / 임대근 101
● 중국은 지금‘파인튜닝’중 / 박한진 105
● 티베트 사태의 근원 / 강준영 111
●‘대약진 운동’에서 배운다 / 한인희 114
● 이젠 국가보다 지역의 개념이 중요하다 / 한인희 119
●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정부업무 보고’읽기 / 강준영 125
●“중국경제, 이대로는 안 된다”/ 박한진 129
● 새로운 성장동력 모색하는 중국 / 양평섭 132
● 중국중심의 동아시아 통합에 대비해야 / 양평섭 135
● 유난히 붉어진 중국, ‘신애국주의’를 보는 눈 / 한인희 139
● 2010년, 중국정치 / 강준영 145
●‘구글 차이나’사태를 바라보는 원근법 / 강진석 149
● 중국, 안정과 성장의 기로에서… / 강준영 154
●‘2010兩會’가 던진 메시지 / 박한진 159
● 스크린에 등장한 21세기 판 공자 / 강진석 164
● 왜 중국엔 자연재해가 잦을까? / 한인희 167
● 상하이엑스포의 4대 미래 트렌드 / 박한진 174
●‘중국 모델’, 서체중용에서 중체중용으로? / 강진석 179
●‘창의력 빈국’중국, 교육대국 위한 발걸음 딛는다 / 한인희 185
● 내몽고가 달라지고 있다 / 박한진 192
● 탕산 이후 30년, ‘중화 대가정’은 성공했나? / 임대근 195


3장. 과속 스캔들 199
● 중국 실업문제의 정치·사회학 / 강준영 200
● 멜라민 파동 이후 중국에선… / 박한진 204
● 중국경제가 살려면? / 박한진 208
● 중국 최대의 유행어‘산자이[山寨]’를 아시나요? / 한인희 212
● 10년 만에 다시 만난 폴 크루그먼 / 박한진 217
● 소비가 살아야 중국경제가 산다 / 양평섭 220
●‘세계의 공장’중국도‘대졸자 취업전쟁’중 / 한인희 224
● 스타 지식인 위추위[余秋雨]의‘거짓기부’사건 / 임대근 229
●‘벼락부자’와‘부패관리’들에 대한 중국인들의 증오 / 한인희 234
● 중국의 출구전략 고민 / 박한진 241
● 글로벌 위기 이후 중국에 집중되는 무역구제 조사 / 박한진 244
● 인구 19억, GDP 6조 달러의 거대 교역권 출범 / 장리리 247
● 2010년 중국 소비시장 확대를 기대해 본다 / 양평섭 251
● 2010년 중국경제 어디로 가나? / 박한진 255
● 2010년 중국의 경제정책 운영 향방 / 양평섭 264
● 중국축구 이야기 / 한인희 269
● 중국에 번지는‘묻지마 살인’/ 한인희 277
● 중국 노동시장, 임금인상만으로 끝나지 않는다 / 강준영 284
● 중국, ‘세계의 공장’에서‘세계의 시장’으로… / 양평섭 288
● 양극화, 중국사회도 위험수준 / 양평섭 293

필자 소개 296

저자소개

한인희 (감수)    정보 더보기
현재 건국대학교 국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만 중국문화대학에서 정치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현대 중국의 영웅들」, 「중국을 사랑한 예술가들」, 「G2 시대 중국의 발전과 그림자」(공저), 「그레이트 차이나」(공저), 「중국의 정치적 현대화」(공저), 「중국의 정치동원」(공저), 역서로는 「중국외교사 1-4」, 「대만현대정치사 상/하」, 「수뇌론」, 「관료의 나라 중국」, 「이문화교류학」, 「한손에 잡히는 중국」(공역), 「중국을 움직인 30권의 책」(공역), 「마지막 황제의 비사」(공역), 「청조 황녀의 일생」(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강준영 (감수)    정보 더보기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장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대만 국립정치대학 동아연구소에서 중국정치경제학을 전공해 석⋅박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외국어대 국제지역연구센터장이며 한중사회과학학회 회장, 외교부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하였고 해군발전자문위원, 동북아역사재단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중국 및 국제관계 시사평론가로 활동중이며, 『한권으로 이해하는 중국』, 『중국의 정체성』, 『판도라의 상자 중국』등 20여권의 저역서와 약 110편의 학술논문이 있다. E-mail: jykang@hufs.ac.kr
펼치기
박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중국지역본부 본부장이자 중국통상전략센터 수석 연구위원. 한국외대에서 중국정치경제학으로 석사학위를, 중국 푸단 대학에서 기업관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거시경제, 다국적기업 전략 관리, 위안화 환율 동향 등이 전문 분야이며, KBS 〈박경철의 경제포커스〉, 〈성기영의 경제투데이〉를 비롯해 다양한 미디어에서 중국 경제를 해설했다. 〈한국경제신문〉과 〈서울신문〉 등에 칼럼을 연재했으며, 저서로는 《중국 CEO, 세계를 경영하다》, 《G2 시대: 중국발전의 빛과 그림자》 등이 있다.
펼치기
전병곤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국제관계학과에서 중국정치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가톡릭대학교 중국연수센타 전임연구원이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지은책으로는 <지역학의 현황과 과제>(1996)(공저)이, 옮긴책으로는 <반조류의 중국>(2001)(공역)이 있다.
펼치기
강진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대 중국어과와 철학과를 졸업했다. 중국 북경대학에서 진래 교수의 지도 아래 「주자체용론연구」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대학 중국외교통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중국학회, 중국학연구회, 중국현대철학연구회에서 주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학에서 ‘중국철학의 이해’, ‘중국정치사상사’ 등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체용철학』, 『중국의 문화코드』, 『중화전통과 현대중국』(공저), 『현대신유학과 중국특색의 사회주의』(공저), 『주자학의 형성과 전개』(공저), 『중국 속의 중국: G2 시대』(공저)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임대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 중국, 아시아 여러 지역의 문화가 더욱 건강하고 활기차게 상호 교류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중국영화와 대중문화, 아시아에서의 한류, 21세기 문화콘텐츠, 문화정체성과 스토리텔링 등의 관심 분야를 중심으로 강의, 저술, 번역에 힘쓰고 있다. 『문화콘텐츠연구』, 『한류, 다음』(공저), 『세계의 영화 영화의 세계』(공저), 『한국영화의 역사와 미래』(공저) 등의 책을 지었다. 한국외대에서 중국어를 공부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중국영화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대 인제니움칼리지 교수이자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회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대표, 전주국제단편영화제 조직위원장,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 회장 등을 맡고 있다.
펼치기
장리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중국외교학원 교수, 외교학과 주임(2004-2007년), 중화인민공화국외교부 특별초빙전문가, 중국국사학회 이사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