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그레이트 차이나? Great China?

그레이트 차이나? Great China?

(한.중.북 애증의 삼국지, 그리고 끝없는 스트레스)

한인희, 강준영, 양평섭, 박한진, 전병곤, 강진석, 임대근, 장리리 (지은이)
대선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000원 -0% 2,500원
140원
16,3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그레이트 차이나? Great China?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그레이트 차이나? Great China? (한.중.북 애증의 삼국지, 그리고 끝없는 스트레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중국
· ISBN : 9788988944639
· 쪽수 : 326쪽
· 출판일 : 2011-03-07

책 소개

<프레시안>에 연재중인『중국탐구』의 글들을 모은 ‘중국 속의 中國’ 시리즈 2권. 한국· 중국· 북한 삼각 구도를 중심으로 한 한반도 문제와 각 분야의 지속적 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국의 고민 등 우리의 관심을 끄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필자들이 각자의 분야에서 고민했던 여러 가지 관점을 담고 있다.

목차

머리말

Ⅰ 한국·중국·북한 애증의 삼국지

1장. Win-Win은 가능한가 ?

대중국 수출"새 틀 짜기"시급하다 / 박한진
중국의 변화에서 새로운 수출 기회를 / 양평섭
김대중, 불굴의 민주 투사이자 이지적인 정치가"/ 장리리
시진핑의 방한과 한·중 관계 전망 / 전병곤
한·중 정상 회담과 북·중 정상 회담 사이에서 / 강준영
천안함 사건과 중국의 딜레마 / 전병곤
한·중 FTA가 필요한 이유와 과제 / 양평섭
천안함 사건 이후 한·중 관계의 과제 / 전병곤
한·중 수교 18년, 무엇을 위한 갈등인가? / 강준영
막 오르는"시진핑 시대"와 한·중 관계 / 강준영
내수 위주 선회하는 '中 경제, 우리의 기회와 도전은? / 양평섭

2장. 혐한(嫌韓)과 친한(親韓) 사이

중국이 한국에"따오기"f를 기증한 이유는? / 한인희
중국인의"반한("?韓)"변검술 / 강진석
베이징 속 코리안 네트워크의 변화와 모색 / 강진석
장나라 실크로드는 계속될 것인가 ? / 강진석
섣부른 중국인 무비자는 부실만 키운다 / 강진석
중국의"한글공정"? 흥분을 가라앉혀라 ! / 임대근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애환과 기쁨 / 강진석

3장. 혈맹은 영원한가 ?

김정일의 와병설과 북·중 관계 / 전병곤
북·중 협력 관계 강화의 전략적 의도 / 전병곤
김영일 북한 총리의 방중과 동북아 정세 / 장리리
북한의 로켓 발사 이후 중국의 대응 / 전병곤
북한의 2차 핵실험 이후 중·북 관계의 변화 / 전병곤
중국의 북핵 해결 구상 및 역할 전망 / 전병곤
중국의 창·지·투[長·吉·圖] 계획과 김정일의 방중 / 전병곤
김정일 중국 방문이 남긴 것 / 강준영
북한의 '中 동북 4성화를 막으려면" / 전병곤
중국이 북한 3대 세습을 용인하는 3가지 이유 / 전병곤
북한 압박 계속되면 북·중 관계는 더욱 긴밀해질 것"/ 전병곤

Ⅱ 파워 중국의 스트레스

1장. 중국 통합과 위대한 중화


천수이벤 증후군 / 한인희
새로운 양안 관계의 시작 ? / 강준영
태풍 모라꼿과 달라이 라마의 대만 방문 / 강준영
교집합 찾은 '中-대만,"합집합"도 ? / 박한진
'中·대만 사이에 남은 것은"정치적 대립"의 제거뿐 / 장리리
위안화 환율, 어디로 가는가 / 박한진
남 중국해 영토 분쟁, 미국은 빠지는 것이 바람직"/ 장리리
중국이 6자회담에 집착하는 이유 / 강준영
"중국·인도 관계의 ‘신속한’발전을 원한다"/ 장리리
중국 경제 2010년 회고와 2011년 전망 / 박한진
중국 물가, 영국을 따라잡고 미국을 넘어서다 / 양평섭

2장. 끝없는 스트레스

깊어가는 가을,"따자시에"를 맛보지 않겠는가 / 한인희
간자체 한자, 사라지나? / 임대근
21세기, 중국 지식인의 위상과 곤경 / 강진석
중국 독립 영화의 오늘 / 임대근
중국 교과서에까지 실린 김용 소설의 매력 / 강진석
추락하는 에는 날개가 있다 / 강진석
첸꾸에이저[潛規'?], 중국 사회의"숨겨진 규칙"/ 한인희
'中 문화 산업 수혜자들," 공익성"에도 기대봐? / 임대근
빠르게 성장하는 중국"인터넷 여론"에 주목해야 / 한인희
2010년 결산, 중국 사회 문제 10대 키워드 / 한인희

3장. 소프트 파워 세계화

<적벽대전>과 중국 영화의 위력 / 임대근
루쉰(魯迅)의 정신에 공자(孔子)의 영감을 덧입히다 / 강진석
중국 문화 "산업" 진흥에 시동 걸다 / 임대근
문화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한 중국 정부의 고민 / 임대근
2010년 중국 문화의 키워드 / 임대근
"만다린 팝"의 시대를 준비하자 / 임대근
거리의 골목에서 상하이의 미래를 보다 / 강진석
"인민에게 볼거리를 제공하라! "/ 임대근
2011년 중국의 목표는"자존심의 현대화"/ 임대근
천안문 광장에 공자상을 얹다 / 강진석

저자 소개


저자소개

한인희 (감수)    정보 더보기
현재 건국대학교 국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만 중국문화대학에서 정치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현대 중국의 영웅들」, 「중국을 사랑한 예술가들」, 「G2 시대 중국의 발전과 그림자」(공저), 「그레이트 차이나」(공저), 「중국의 정치적 현대화」(공저), 「중국의 정치동원」(공저), 역서로는 「중국외교사 1-4」, 「대만현대정치사 상/하」, 「수뇌론」, 「관료의 나라 중국」, 「이문화교류학」, 「한손에 잡히는 중국」(공역), 「중국을 움직인 30권의 책」(공역), 「마지막 황제의 비사」(공역), 「청조 황녀의 일생」(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강준영 (감수)    정보 더보기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장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대만 국립정치대학 동아연구소에서 중국정치경제학을 전공해 석⋅박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외국어대 국제지역연구센터장이며 한중사회과학학회 회장, 외교부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하였고 해군발전자문위원, 동북아역사재단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중국 및 국제관계 시사평론가로 활동중이며, 『한권으로 이해하는 중국』, 『중국의 정체성』, 『판도라의 상자 중국』등 20여권의 저역서와 약 110편의 학술논문이 있다. E-mail: jykang@hufs.ac.kr
펼치기
박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중국지역본부 본부장이자 중국통상전략센터 수석 연구위원. 한국외대에서 중국정치경제학으로 석사학위를, 중국 푸단 대학에서 기업관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거시경제, 다국적기업 전략 관리, 위안화 환율 동향 등이 전문 분야이며, KBS 〈박경철의 경제포커스〉, 〈성기영의 경제투데이〉를 비롯해 다양한 미디어에서 중국 경제를 해설했다. 〈한국경제신문〉과 〈서울신문〉 등에 칼럼을 연재했으며, 저서로는 《중국 CEO, 세계를 경영하다》, 《G2 시대: 중국발전의 빛과 그림자》 등이 있다.
펼치기
전병곤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국제관계학과에서 중국정치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가톡릭대학교 중국연수센타 전임연구원이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지은책으로는 <지역학의 현황과 과제>(1996)(공저)이, 옮긴책으로는 <반조류의 중국>(2001)(공역)이 있다.
펼치기
강진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대 중국어과와 철학과를 졸업했다. 중국 북경대학에서 진래 교수의 지도 아래 「주자체용론연구」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대학 중국외교통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중국학회, 중국학연구회, 중국현대철학연구회에서 주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학에서 ‘중국철학의 이해’, ‘중국정치사상사’ 등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체용철학』, 『중국의 문화코드』, 『중화전통과 현대중국』(공저), 『현대신유학과 중국특색의 사회주의』(공저), 『주자학의 형성과 전개』(공저), 『중국 속의 중국: G2 시대』(공저)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임대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 중국, 아시아 여러 지역의 문화가 더욱 건강하고 활기차게 상호 교류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중국영화와 대중문화, 아시아에서의 한류, 21세기 문화콘텐츠, 문화정체성과 스토리텔링 등의 관심 분야를 중심으로 강의, 저술, 번역에 힘쓰고 있다. 『문화콘텐츠연구』, 『한류, 다음』(공저), 『세계의 영화 영화의 세계』(공저), 『한국영화의 역사와 미래』(공저) 등의 책을 지었다. 한국외대에서 중국어를 공부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중국영화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대 인제니움칼리지 교수이자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회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대표, 전주국제단편영화제 조직위원장,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 회장 등을 맡고 있다.
펼치기
장리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중국외교학원 교수, 외교학과 주임(2004-2007년), 중화인민공화국외교부 특별초빙전문가, 중국국사학회 이사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