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질병치료와 예방 > 허리/디스크/척추/통증
· ISBN : 9788972092636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8-09-18
책 소개
목차
어지럼증 전문가Ⅰ
어지럼증 전문가Ⅱ
프롤로그 매력적이면서도 알 수 없는 미로의 여정
이 책을 출간하는 데 도움을 주신 분들
chapter 01 _ 휘청거리는 여자
01 과민한 대뇌와 편두통
02 편두통과 다른 두통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03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두통: 대뇌의 과민이 일으키는 편두통
04 어지럼증에 가장 흔하게 내려지는 진단: 전정성 편두통
05 어지럼증의 가장 위대한 모방자, 전정성 편두통
06 어지럼증의 미로에서 벗어나기
07 과민한 대뇌와 휘청거리는 여자
chapter 02 _ 과민한 대뇌
01 과민한 대뇌와 잠자는 숲 속의 미녀
02 글림프 시스템 : 대뇌의 노폐물 배출 시스템
03 꿈의 분석과 질병의 발생
chapter 03 _ 이명 : 대뇌 청각 영역의 과도한 민감
01 달팽이관 편두통
02 갱년기 이명·수면 무호흡 증후군 이명·불안 장애 이명
03 난치성 청력 손실 및 만성 이명
04 달팽이관 편두통은 남성 환자가 많고, 전정성 편두통은 여성 환자가 많다
chapter 04 _ 정서 계통의 악성 감기
01 불안 장애와 과민한 편도체
02 자율신경 실조와 시상하부 기능 이상
03 과민한 대뇌, 과연 누가 통제할 것인가
chapter 05 _ 중격의지핵 : 대뇌의 강력한 여파濾波 지점
01 어지럼증의 대상 작용 체계
02 이명의 스위치 : 중격의지핵
03 쾌락 중추는 어떻게 당신의 불안을 차단하는가
04 중격의지핵이 이명을 처리하는 방법
chapter 06 _ 어지럼증, 이명과 불안의 미궁에서 벗어나기
01 수면과 노폐물 배출
02 음식은 어떻게 당신의 대뇌를 변화시키는가
03 하루에 세 번 나 자신을 돌아보기一日三省吾身
04 의사가 듣기 좋아하는 말은 무엇일까 두통·어지럼증·이명 진찰 공략
05 약물의 표적 치료
chapter 07 _ 과민한 대뇌와 난치성 내과 질환
01 대뇌의 과민과 신체의 각종 증상
02 영리한 당신이기 때문에 비로소 대뇌가 과민해진다
에필로그 천사의 후광
책속에서
chapter 01 _ 휘청거리는 여자
01 과민한 대뇌와 편두통
아주 먼 옛날에도 편두통의 고통과 이에 수반되는 기이한 증상에 대한 해석이 존재했다. 그러나 이는 모두 일종의 불가사의한 억측에 불과했다. 예를 들어 신석기 시대의 사람들은 종종 환각을 수반하는 두통이 발생하는 이유를 머릿속에 악령이 들어갔기 때문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환자의 머리에 구멍을 뚫은 다음 주문을 외우며 악령을 쫓아냈다. 일설에 의하면 오스트레일리아, 극동 아시아 일부 지역 및 아프리카를 제외한 세계에는 원형의 톱으로 두개골에 구멍을 뚫는 방법이 널리 퍼져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방법이 전 세계에 보편적으로 존재할 수 있었던 이유는 분명 일정한 효과가 있기 때문이기는 했지만 먼 옛날 사람들은 당시에 그 방법이 왜 효과가 있는지는 알지 못했다. 그러나 과학 기술이 발달한 오늘날에는 두개골의 수술이 대뇌의 과민 상태를 변화시키는 데 일정한 도움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 가장 오래 된 의학 문헌을 보면 고대 이집트인들은 그나마 좀 더 나은 방법을 사용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3,500년 전에 이집트의 어느 도사는 신이 자신들을 불쌍히 여겨 두통으로 인한 고통을 멈추어 주기를 기원하며, 환자의 머리 위에 약초를 문 악어를 올리게 한 다음 신에게 기도를 드렸다.
이렇게 수천 년 동안 화타華?를 포함한 동·서양 문명의 현인들은 각자만의 방식으로 두통을 해석했다. 화타가 조조曹操의 고질병을 치료했었던 이야기는 줄곧 널리 전해지고 있다. 『삼국연의三國演義』에는 당시 위魏나라 왕 조조가 증상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두통을 앓고 있었다고 나와 있다. 조조는 의술이 뛰어난 화타에게 ‘자신만을 치료할 것’을 명령했고, 화타는 조조의 ‘어의’가 되었다.
후에 조조의 병인이 머릿속에 있다고 생각한 화타는 조조에게 두개골을 열어 보자고 제안했지만 조조의 의심을 사고 말았다.
화타가 자신을 암살하려 한다고 생각한 조조는 화타를 감옥에 가두어 죽게 만들었다. 이러한 이유로 혹시 조조에게 뇌종양이 있었던 것은 아닌지 의심하는 사람도 있지만, 조조의 발병 과정을 살펴보면 오랜 기간 두통이 반복적으로 발생했을 뿐 다른 증상은 없었으므로 편두통이었을 가능성이 더욱 높다.
물론 당시 과학의 기술 발전 정도를 고려하면 이처럼 대략적인 인지만으로는 복잡한 질병의 진상을 알아내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다. 1684년 토마스 윌리스Thomas Willis가 혈관학적인 가설을 제창하고 나서야 편두통에 대한 인류의 인식은 비로소 올바른 길로 나아가게 되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신경학의 아버지 토마스 윌리스에게 경의를 표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