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72186441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0-01-3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개발 임팩트 투자 패러다임
1. 개발 임팩트와 사회적 임팩트
2. 사회적 임팩트 투자
3. 개발 임팩트 투자
제2장 개발 임팩트 투자 생태계
1. 개발금융의 패러다임 전환
2. 혁신적 개발금융
3. 개발금융의 블렌딩
4. 민간자본의 개발 임팩트 투자
제3장 결과지불과 개발임팩트채권(DIB)
1. ‘결과지불’과 DIB
2. 개발임팩트채권(DIB) 모델
제4장 개발 임팩트 투자 정책
1. 개발 임팩트 투자 생태계
2. 영국의 임팩트 투자 정책
3. 미국의 임팩트 투자 정책
제5장 글로벌 임팩트 투자와 SDGs 파이낸싱
1. 글로벌 임팩트 투자 프로젝트
2. SDGs 임팩트 투자
3. SDGs 블렌딩 전략
제6장 개발 임팩트 투자의 임팩트
1. 미국 USAID의 임팩트 투자
2. 영국, 독일, 한국의 임팩트 투자 정책
3. 민간기관의 개발 임팩트 투자 프로젝트
4. 개발임팩트채권(DIB) 사례
제7장 한국형 개발 임팩트 투자
1. 사회적금융과 임팩트 투자의 발전
2. KOICA의 개발 임팩트 투자 실험
3. 결론: 한국형 개발 임팩트 투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개발협력은 그간 ‘원조 패러다임’에 의존해왔다. 원조국과 국제기관과 자선단체 그리고 시민들의 선의적 기부로 개발이 가능했다. 그 덕분에 MDGs, SDGs가 추진되어 작으나마 의미있는 성과를 낼 수 있었다. 처참한 빈곤과 질병에서 다소 벗어나고 가난한 집 소녀들도 점차 학교 문턱을 넘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그간의 자원과 역량만으로는 개발이 커다란 결실을 맺지 못한 게 사실이다. 이 때문에 MDGs의 바통을 이어 받아 SDGs가 추진되었다. 그럼 SDGs는 무슨 돈으로 “단 한 명도 굶주리지 않게 하겠다”는 믿기 어려운 목표를 제시하는가? 총 대신 빵을 늘려야 하고, IT혁명에 녹색혁명도 결합되면 해볼 만하지 않을까.
또 과소비, 낭비로 버려지는 식량도 많고 투자처를 몰라 잠자는 자본도 엄청난 것이 지구적 현실이다. 게다가 선진 경제국과 소비자들의 과잉 생산과 과소비로 지구를 오염시켜, 가뭄, 홍수, 폭염 등 기후변화의 피해는 빈곤층에 가장 많이 쏠리는, ‘지구적 불의’(global injustice)가 지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