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신앙생활일반
· ISBN : 9788972523383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00-03-01
목차
- 추천사
- 책을 내면서
- 서론
제1장 교회와 국가 관계의 역사적 고찰
제1절 종교와 국가 관계의 이해
제2절 초대교회 이전의 종교와 국가의 관계
제3절 초대교회와 국가의 관계
제4절 중세교회와 국가의 관계
제5절 종교개혁 시대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
제6절 현대 교회와 국가의 관계
1. 현대 신학자들의 국가관
2. 미국 교회의 국가관
3. 공산주의 국가와 교회의 관계
제2장 교회와 정치에 관한 성서적 고찰
제1절 구약성서의 교회와 정치
1.창조 언약과 구속 언약의 정치
2.구약성서의 정치제도
제2절 선지자의 선임과 사명
1. 선지자의 선임
2. 선지자의 사명
제3절 신약성서의 교회와 정치
1. 예수의 정치
1) 하나님의 나라
2) 산상수훈
3) 국가와 황금률과의 관계
4) 경제생활과 정치
5) 정치적 권력과 무력 사용에 대한 교훈
2. 사도들에 의한 정치
1) 바울의 정치
2) 베드로의 정치
3) 요한계시록의 정치
제4절 구약의 정치와 신약 정치의 이해와 적용
1. 구약과 신약 정치의 차이점
2. 구약과 신약 정치의 적용
제3장 한국 기독교와 정치에 관한 역사적 고찰
제1절 한국 교회의 정치적 역사
1. 기독교의 전래와 민족 운동
2. 기독교의 계몽 운동
3. 치욕과 수난 시대의 기독교
4. 기독교의 양적 성장 시대
5. 기독교의 현실 참여
6. 기독교의 성장 침체기
제2절 한국 기독교의 정치적 공헌
1. 국권과 왕권에 대한 도전
2. 정치와 종교의 합일주의 극복
3. 민족 의식의 형성
제3절 한국 기독교의 사회적, 정치적 책임
1. 사회적 책임
2. 정치적 책임
3. 사회적. 정치적 책임을 지는 기독교
제4절 정치 참여에 관한 논쟁과 신학적 대립
1. 군사독재 시대의 교회와 정치
2. 정치 참여에 대한 논쟁
1) 선교 논쟁
2) 용공성 시비
3. 정치 참여에 대한 신학적 대립
1) 보수주의 신학
2) 진보주의 신학
4. 교회와 국가에 관한 올바른 신학의 정립
제4장 교회와 정치 분리 원칙에 관한 고찰
제1절 제정 일치와 정교 분리 원칙의 태동
1. 제정 일치의 정교 분리
2. 종교 주도형 정교 분리
3. 종교개혁과 정교 분리
제2절 정교 분리 원칙과 민주주의의 태동
1. 신 수권 이론과 정교 분리
2. 권력 위임론과 정교 분리
3. 국민 정부론과 민주주의
제3절 미국의 정교 분리와 민주주의의 발달
1. 정교 분리의 유형
2. 미국의 헌법과 정교 분리
3. 미국 정교 분리원칙의 바른 이해
제4절 한국의 정교 분리에 관한 고찰
1. 역사적 고찰
2. 정교 분리의 발전 과정
제5절 바람직한 한국의 정교 분리
제5장 교회의 복종과 저항
제1절 성서의 저항 개념
1. 저항의 성서적 개념
2. 강제력과 폭력에 의한 저항
제2절 종교 신학자들의 저항
1. 루터의 견해
2. 칼빈의 견해
3. 죤 낙스의 견해
4. 사무엘 루더폴드의 견해
5. 독일 교회의 순종과 저항
제3절 로마서 13장과 베드로전서 2장의 성서적 바른 개념
1. 더 큰사랑의 표현
2. 신적 권위에 대한 복종
3. 양심의 표현
4. 타인의 모범
제4절 한국 교회의 저항과 복종
1. 로마서 13장의 번역에 관한 고찰
2. 한국 교회의 저항과 순종
제6장 기독교인의 정치 참여
제1절 구약성서의 정치 참여
1. 권선징악의 정치
2. 하나님 백성을 위한 정치
3. 모세와 이스라엘 민족의 해방
4. 이스라엘 지도자의 자격
제2절 신약성서의 정치 참여
1. 예수님의 정치
2. 성육신과 정치
3. 가장 큰 두 계명과 정치
4. 신약의 정치와 민주주의 태동
제3절 바람직한 정치 참여의 원리
1. 사명감과 참여 의지
2. 기독교인의 정치 참여 특성
3. 정치 참여의 구체적 방법
제4절 기독교인이 선출해야 할 정치 지도자
1. 훌륭한 정치 지도자 선출의 중요성
2. 지도자의 덕목
1) 모세의 리더십
2) 예수의 리더십
3) 바울 사도의 리더십
4) 베드로의 리더십
5) 현대 신학자들의 리더십
3. 훌륭한 지도자의 선택
-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