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전기전자공학 > 네트워크/데이터통신
· ISBN : 9788972836957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08-06-13
목차
PART I 서론 및 배경
1장 인터넷상에서의 이동성: 서론
2장 IP 버전 6
2.1 개발 동기
2.2. 용어 정의
2.3 IPv6 형식
2.3.1 IPv6 헤더 형식
2.3.2 IPv6 확장 헤더
2.4 IPv6 주소
2.5 이웃 발견 프로토콜
2.5.1 라우터 발견
2.6 상태상실형 주소 자동설정
2.6.1 이웃 찾기
2.6.2 중복 주소 탐지
2.7 요약
3장 IPsec
3.1 서론
3.2 IPsec이란 무엇인가
3.3 보안연계
3.3.1 SA 유형
3.3.2 선택자
3.3.3 관련 데이터베이스
3.4 트래픽에 대한 처리
3.5 IKE 프로토콜
3.6 요약
PART II IP 이동성
4장 이동성의 개념과 원리
4.1 서론
4.2 이동성 문제는 로밍과 핸드오버 모두를 포함한다
4.2.1 로밍 문제: 패킷들은 어떻게 이동 노드의 현재 위치에 도달하는가
4.2.2 강인성 문제: IP 주소 변경에도 연결이 유지되어야 한다
4.2.3 강인성 이후의 문제: 실시간 이동성의 지원
4.3 인터넷의 원리: 코어 망에 대한 투명성
4.4 네트워크 주도형 이동성
4.5 애플리케이션 계층 또는 세션 계층에서의 이동성
4.6 IP를 사용하는 이동성 지원
4.7 요약
5장 이동 IP를 사용하는 이동성 지원
5.1 서론
5.2 이동성 이벤트와 조치
5.2.1 새로운 서브넷으로의 이동에 대한 탐지
5.2.2 IP 연결성의 복원
5.2.3 이동 후 패킷 전달
5.2.4 이동 노드와 교신 노드 사이의 최적 경로 통신
5.3 이동 IP가 어떻게 IP 이동성을 지원하는가
5.3.1 이동 IP 관련 용어
5.3.2 이동 IP에서 서브넷 이동의 탐지
5.3.3 홈 에이전트와 교신 노드에 위치정보 갱신 메시지 보내기
5.3.4 패킷 전달
5.4 기본 이동 IP 프로토콜의 한계
5.5 요약
6장 이동 IPv6 프로토콜
6.1 바인딩 캐시 관리
6.2 리턴 경로성의 발전 경과
6.3 보안 관리
6.4 의탁주소에 패킷 전달하기
6.5 홈 에이전트 발견
6.6 이동 탐지 및 링크 확립
6.7 요약
7장 바인딩 캐시 관리
7.1 홈 주소 목적지 옵션
7.2 이동성 헤더
7.3 바인딩 갱신
7.3.1 바인딩 갱신 수신에 따른 홈 에이전트의 조치
7.3.2 바인딩 갱신을 전송하기 위한 이동 노드의 조치
7.4 바인딩 확인
7.5 바인딩 리프레시 요청
7.6 바인딩 오류
7.7 이동성 메시지 옵션
7.7.1 바인딩 인가 데이터 옵션
7.7.2 임시 값 인덱스
7.7.3 대체용 의탁주소
7.7.4 바인딩 리프레시 권고
7.7.5 채움 옵션
7.8 요약
8장 리턴 경로성
8.1 리턴 경로성 - 동작 원리
8.2 홈 주소 테스트 개시 메시지
8.3 의탁주소 테스트 개시 메시지
8.4 홈 주소 테스트 메시지
8.5 의탁주소 테스트 메시지
8.6 바인딩 관리 키의 사용
8.7 실질적 위협 모델
8.7.1 데이터 하이재킹
8.7.2 주소 소유권
8.7.3 홈 주소 옵션의 사용
8.7.4 라우팅 헤더 타입 2의 사용
8.8 정적 공유키를 사용하여 경로 최적화 보호하기
8.9 요약
9장 이동 노드와 홈 에이전트를 위한 IP 보안
9.1 서론
9.2 이동 노드와 홈 에이전트 사이의 보안연계 설정
9.3 바인딩 갱신과 이동 노드에서의 IPsec 처리
9.4 바인딩 갱신과 홈 에이전트에서의 IPsec 처리
9.5 IKE, IPsec, 그리고 이동 IPv6
9.6 요약
10장 패킷의 처리
10.1 개요
10.2 IPv6-in-IPv6 캡슐화
10.3 라우팅 헤더 타입 2
10.4 이동 노드에 보낼 패킷의 캡슐화
10.5 역 터널링
10.6 교신 노드에게 직접 전달
10.7 이동 노드에게 패킷을 직접 전달
10.8 바인딩 갱신의 전송
10.9 피기배킹 또는 행간 신호
10.10 요약
11장 이동의 탐지
11.1 이동 탐지 알고리즘
11.2 IP 주소설정
11.3 홈 복귀
11.4 이웃 발견 프로토콜의 변경사항
12장 동적 홈 에이전트 발견
12.1 개발 동기
12.2 홈 에이전트 및 접두어 발견
12.2.1 동적 홈 에이전트 발견
12.2.2 이동 접두어 발견
12.3 다른 홈 에이전트들의 발견
13장 네트워크 이동성
13.1 서론
13.2 NEMO 모델 및 관련 용어
13.3 NEMO 기본 프로토콜
13.4 NEMO에서의 경로 최적화
13.5 접두어 위임 및 관리
13.6 요약
PART III 고급 이동성 프로토콜
14장 고속 핸드오버
14.1 이동 노드의 동작들
14.2 고속 핸드오버의 실현
14.2.1 접속 지연 병목
14.2.2 접속 지연 줄이기
14.2.3 수신 지연에서의 병목
14.2.4 수신 지연 줄이기
14.3 패킷 경로 변경의 의미
14.3.1 주소 충돌의 전면적 예방
14.4 요약
15장 고속 핸드오버 프로토콜
15.1 인근지역 접두어 발견
15.1.1 프록시 광고를 위한 라우터 조회의 전송
15.1.2 프록시 라우터 광고의 전송
15.2 전달 경로의 설정
15.2.1 고속 바인딩 갱신
15.2.2 고속 바인딩 확인
15.3 액세스 라우터 간 통신
15.4 접속의 선언
15.5 요약
15.6 메모
16장 콘텍스트 전송
16.1 서론
16.2 액세스 라우터에서의 콘텍스트 생성
16.3 콘텍스트 전송의 설계
16.3.1 자료구조의 표현
16.3.2 콘텍스트 자료구조의 형식
16.3.3 핸드오버 신호 교환에서 콘텍스트 전송 옵션의 사용
16.4 요약
17장 계층적 이동성 관리
17.1 서론
17.2 계층적 이동성 모델
17.3 프로토콜 동작
17.3.1 이동성 앵커 포인트의 발견
17.3.2 이동성 앵커 포인트(MAP)의 등록
17.3.3 패킷 전달
17.4 요약
PART IV IP 이동성의 적용
18장 CDMA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IPv6
18.1 서론
18.2 이동 IP 동작
18.2.1 데이터 링크 계층 확립
18.2.2 홈 네트워크 매개변수들의 부트스트래핑
18.2.3 이동 IPv6 홈 등록
18.3 IP 도달성 서비스
18.4 이동 IPv6과 IMS
18.4.1 SIP 개요
18.4.2 개인 이동성과 장비 이동성
18.5 요약
19장 전사적 IP 이동성
19.1 서론
19.2 VPN 이동성
19.2.1 IKEv2 이동성 및 다중홈 이용(Mobike)
19.3 중간 장비 관리
19.4 IPv6 고속 핸드오버를 IPv4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19.4.1 프로토콜 동작
19.5 요약
20장 무선 LAN에서의 고속 핸드오버
20.1 서론
20.2 WLAN에서의 접속 확립
20.3 핸드오버 병목
20.3.1 WLAN 고려사항
20.3.2 IP 고려사항
20.4 핸드오버 지원의 개선
20.5 관련 연구
20.6 요약
PART V IP 이동성에서의 새로운 주제들
21장 다중접속과 이동성
21.1 서론
21.2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
21.3 사례 연구: VoIP 핸드오버
21.3.1 실험 개요
21.3.2 실험
21.3.3 분석
21.3.4 요약
21.4 연구문제들의 분류
21.5 메모
22장 매끄러운 핸드오버
22.1 서론
22.2 배경과 문제에 대한 기술
22.2.1 헤더 압축
22.2.2 헤더 압축을 사용하는 매끄러운 이동성
22.3 헤더 압축 콘텍스트 전송의 설계
22.3.1 콘텍스트 구조의 정의
22.3.2 재배치 타이밍과 상태 일관성
22.3.3 상태 갱신 규칙
22.3.4 핸드오버 신호 교환과의 동기화
22.4 성능 조사
22.4.1 기본 핸드오버
22.4.2 예측형 콘텍스트 전송
22.4.3 반응형 콘텍스트 전송
22.4.4 핸드오버 동안의 상태 천이
22.5 메모
23장 위치정보 프라이버시와 IP 이동성
23.1 서론
23.2 이동 IPV6에서의 위치정보 프라이버시 문제
23.2.1 홈 주소의 노출
23.2.2 의탁주소의 노출
23.2.3 문제 해설
23.3 관찰자로부터 홈 주소 숨기기
23.3.1 프라이버시-태그의 계산
23.3.2 경로 최적화 바인딩 갱신에서의 프라이버시-태그
23.3.3 관련 연구
23.3.4 모의 홈 주소의 사용
23.3.5 이동 IPv6 메시지의 보호
23.4 의탁주소의 노출
23.5 결론
24장 리턴 경로성을 사용하는 이동 IPv4 경로 최적화
24.1 서론
24.2 참조 모델과 가정
24.3 프로토콜 동작
24.4 메시지 형식
24.5 보안상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