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도시계획/설계
· ISBN : 9788972955252
· 쪽수 : 373쪽
· 출판일 : 2021-10-31
책 소개
목차
서문 3
제1장 도시재생의 이해_황재훈(도시공학과) 5
Introduction of Urban Regeneration
제2장 지역개발과 지역재생_홍성조(도시공학과) 48
Regional Development & Regional Regeneration
제3장 단지재생_변나향(건축학과) 92
District Regeneration
제4장 공동체 주택과 마을 계획_박경옥(주거환경학과) 130
Community Housing and Village Planning
제5장 도시재생과 리모델링_김미경(주거환경학과) 180
Urban Regeneration and Remodeling
제6장 도시유산의 문화가치_안대환(건축학과) 226
Urban heritage Valuation
제7장 도시녹화_박봉주(원예과학과) 286
Urban Greening
제8장 사회적경제 정책론_김학실(행정학과) 332
Social Economy Policy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의 도시재생은 공공중심으로 진행되고 있고, 다양한 참여주체간의 심각한 이해 폭의 Gap이 존재한다. 특히 서구와 달리 한국의 도시재생의 정책과 제도를 위한 사업으로 존재하고 주민에게 선 경제지원으로 진행되어 서구의 자생적 도시재생, 운동개념의 도시재생과는 기본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공모 그리고 행정을 위한 도시재생으로 나타나고 장소적 특성과는 거리가 먼 결과 혹은 모든 지역의 Contents가 대동소이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재생 2에서는 한국적 도시재생의 틀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통한 장소통합적 도시재생으로 새롭게 거듭나야 한다.